책을 샀더니 도라에몽이 태어난 느낌?^^
귀여워 죽겠다♥
#알라딘굿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원래 사마천의 「사기」에 관심이 많았다. 아마 어릴 적 보던 무협 드라마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열전 때문이었을 거다. 대표적으론 형가가 있다.

열전이 아닌 다른 편은 읽기 좀 두려웠는데 도서관에서 이 책을 발견하곤 냉큼 빌려 읽었는데 정말 술술 읽힌다. 이해도 쉽고 시대에도 맞게 아주 잘 만들어진 책이다. 번역가도 중국아동문학시리즈에서 익숙한 분이고 출판사도 사계절! 끄덕끄덕.
1권 다 읽다가는데 이런쪽에 관심있는 청소년이상의 독자들에게 추천하고픈데 주변엔 없어 북플에만 ㅠㅠ 5권까지 출간예정이라한다. 현재는 3권까지만 나온 듯한데 빨리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인을 만나봄 첫번째 시간 김상혁 시인.

시인을 처음 알게 된 것은 꽤 오래전 시인이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고 아직 첫 시집이 나오지 않았을 때. 그때 그냥 그의 시가 좋다는 지금은 시인이 된 P언니의 추천으로 그와 이웃을 맺은 그때.

그리고 직접 얼굴을 본 건 시인K의 출판 기념일. 세상 제일 많은 시인들을 본(만난 거 아닌 그냥 본) 그날 매우 가까이 앉아 있었고 난 아마 들뜨거나 혹은 부적응으로 얼토당토않은 말들을 뱉었을 가능성이 많은 그날.

그리곤 트친이 되고 그렇게 간간히 시인의 일상과 거침없는 문장을 구경하고 간혹 건네던 그런 사이.

그가 시에 대하여 이야기한다면 어떤 내용일까, 궁금했다.

그의 시를 더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길 기대했지만 그는 강연에서 자신의 시를 다루지 않는다고 했다. 대부분의 시인들이 그러하다고 했다. 아, 이건 낭독회가 아니었지! 다시 각잡고 유인물을 보니 이영광, 박상순, 박준, 김민정, 권혁웅, 황인찬, 김행숙의 시가 있음. 시인은 박상순과 김행숙의 시를 너무나 좋아한다고 했음.

특강의 주제는 <시는 당신을 닮는다> 그리고 소주제는 당신의 사랑, 불안 어쩌고저쩌고였으나 사실 그게 중요하지는 않아보임. 거기에 살짝 집착(?)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그의 이력에 교사가 있어야 할 것 같았음. 시인 자신도 수강자들을 보며 헛헛한 웃음을 보임. 추측건대 수강자 최고 나이 80대임. 하하하! 이런 강의 너무나 힘든 강의. 토닥토닥!


시대가 변해서 시에서 다루는 사랑도, 가족도 그리고 표현도 달라지는 것이라는 말에 공감. 사실 이 말만 가지고 가도 이날의 특강은 성공적! 게다가 나는 박상순이라는 시인을 김상혁 시인을 통해 처음 접하는데 매력적임. 어머, 그러고 보니 나도 명사로 글을 종료하는 중임. '-음'은 아니지만^^


시인이 시를 설명하는 것에 대체로 공감. 시를 굉장히 밝고 정확하게 낭독함. 내 경험상 O시인 다음으로 밝게 읽는 시인이었음. 그러나 그보단 정확성이 더 인상적임. 들으면서 아나운서인줄. 시인은 일부러 그렇게 읽는다고 함. 시인의 세계에서 생각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무엇일까,에 대하여 잠시 생각함. 시인의 말처럼 시인은 생각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 그러하기에 작은 행동 짧은 글 하나에도 생각이 담겨있는 것은 분명함. 시인들을 부담주려고 한 말은 아님. 오늘의 정리 끝! 아니지, 진짜 정리의 끝은 박상순의 [슬픈 감자 200그램]을 읽고 난 그 후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밤의 위고 튼튼한 나무 27
베르트랑 상티니 지음, 박선주 옮김 / 씨드북(주)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참 재밌고 가치있는데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책정보의 양이 너무 많네요. 영화사가 스포일러인셈인데 흥미를 갖고 읽을 수 있도록 책내용을 좀 덜 공갸해주면 좋겠네요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상록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철학자 황제가 전쟁터에서 자신에게 쓴 일기 현대지성 클래식 18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별한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탓에 가끔은 어떤 말에 기대고 싶을 때가 있어도 갑자기 찾아서 읽어볼 책이 마땅치 않아 대체론 그때 시집을 읽곤 했다. [고백록], [명상록], [수상록] 등의 명성은 들었지만 그저 언젠가 읽어보리라는 위시리시트였을 뿐 그 실체를 만난 것은 처음인데 왜 미국의 전직 대통령이 해마다 두번씩 읽는지 알 것 같다.

이 책을 읽는 것은 현재 진행형이다. 아주 더디게 읽고 있으며 그 읽는 방법과 속도에 스스로는 만족하지만 서평단으로 받은 책이라 리뷰를 미룰 수 없기에, 더구나 다 읽고 난 후나 절반 넘게 읽은 지금이나 느낌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기에 소감을 적어보려고 한다.


이렇게 읽고 있다. 마음에 닿는 글을 볼펜으로 옮겨적으며 다시 음미하면서.

대개는 검은 볼펜으로 옮기고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을 다잡는 마음으로 스스로에게 글을 남겼듯이 나 역시도 나 자신을 다잡는 마음이 강하게 드는 글은 파란 볼펜으로 옮기면서.


2세기에 한 나라의 황제가 이토록 끊임없이 자신의 나약함과 나태함과 무능함과 타락을 경계했다니 이건 한 개인이 읽기 보단 지도자들이 읽어야 할 글이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이토록 자신을 채찍질하고 손톱만큼도 봐주지 않는다는 마음가짐으로 삶을 살았구나 싶은 마음은 존경을 넘어 경외의 감정을 느끼게 한다. 이래서 미국의 전직 대통령이 해마다 두번씩 읽었구나!( 왜 지금 대통령은 읽지 않는건가?)


난 대톨령도 지도자도 아니지만 이 책 가득 저렇게 포스트잇이 붙어져 있다. 물론 그중엔 좀 무리다 싶은 생각도 있고 내가 전혀 공감이 가지 않는 글들도 있다. 그럴 땐 아우렐리우스가 아우렐리우스에게 쓴 특수한 경우라고 보아서 넘기면 된다. 하지만 글 자체가 보편적인 가치를 말하는 경우가 많아 19세기가 지난 현재에 읽어도 마치 요즘 어떤 종교인이 쓴 에세이인 양 마음에 와 닿는다. 게다가 시대가 다르기에 생기는 웃음 포인트도 있다. 가령, 겨드랑이 냄새가 심한 사람에게 화내면 안된다는 글과 그리고 몸무게 100킬로가 되는 것은 화내지 않으면서 오래 살지 못한다고 화를 내냐고 자문자답하는 글은 요즘 같으면 일부러 웃기려고 쓸 수 있는 글인데 둘다 너무나 정색하며 이야기하기에 의도하지 않은 웃음을 준다. 결론은, 원글 자체가 너무나 좋다. 내가 그리스어를 배우지 않은 것이 좀 속상할 정도로 말이다.


역자가 심혈을 기울여 원전을 번역하였다는 것은 주석을 통해서도 책날개에 역자 소개를 통해서도 충분히 알겠다. 다만, [명상록]이라는 책의 성격에 맞지 않게 책날개에 '역자는 언어에 타고난 수재로서...'라고 하는 문장을 읽자면 이 분이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는 의문이 든다. 또한 다른 명상록과 비교를 해 봐야겠지만 한국어를 좀더 유려하게 표현하면 좋겠다는 바람이 책을 읽으며 생긴다.하지만 그런 것들을 모두 감안하고서라도 이 책은 충분히 훌륭하다. 원전을 모르는 내가 이런 말을 하긴 주제넘지만 아마도 원전 자체가 너무나 훌륭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도 이 책을 해마다는 아니어도 틈틈히 자주 읽어 내 마음을 경계해야할 것 같다. 선한 사람으로, 권력보다는 철학을 중시하며 살고, 우주의 한 일원으로서 의미있게 살아가기 위해서 말이다. ​물론 나 말고 다른 사람(?)도 이 책을 좀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 사람도 선하며 의미있게 살아갔으면 하는 바람이 있으므로.


덧붙이는 글

이 사진은 어제 우연히 깔맞춤이 된 것을 보고 신기해서 찍어봤다^^ 아, 이런 것에 집착하지 말아야 하는데....ㅋ​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opulation 2018-05-24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거 시간날 때 느리게 느리게 조금씩 읽었어요. 2천년전 사람에게 많이 배우고 저 자신도 많아 돌아봤네요.

그렇게혜윰 2018-05-24 21:23   좋아요 0 | URL
2천년전 사람이라니 믿어지지 않아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