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 서@@가 전학 가는 날이었다.
마지막 날이니 의미 있는 체험을 해 주게 하고 싶어서
색종이로 크리스마스 트리 만들기를 했다.
아이들이 참 좋아하였다.
4교시에 나와서 이별 인사를 하고, 아이들이 쓴 카드와 내가 선물할 책을 줬다.
급식 먹고나서 책벌레가 간다고 하니
아이들은 그제서야 이별이 실감 났나 보다.
아이들의 울음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왔다.
특히 책벌레와 같은 모둠인 아이들은 정말 흐느껴 울었다.
급식 도우미 할머니들이 왜 우냐며 돌아다니시면서 물어봤다.
친구가 전학 가서 운다고 하니 할머니들도 눈물이 난다 하신다.
밥 먹을 생각도 안 하고 계속 우는 아이도 있고,
우는 친구를 옆에서 휴지 챙겨주며 달래는 아이도 있었다.
기특하게도 운다고 놀리는 아이는 한 명도 없었다.
책벌레도 너무 슬퍼서 밥을 먹는둥 마는둥 하고 있는데
어머니가 오셨다.
어제 눈이 많이 와서 이사하기가 많이 불편할텐데 ......
어머니도 책벌레도 눈물을 흘리시며 정든 교실을 떠나셨다.
복도까지 따라나와 " 잘 가" 라고 말하는 아이도 있었다.
그렇게 우리는 여섯 명의 친구들을 떠나 보냈다.
상실감이 큰 아이들을 어떻게 달래줄까 고민하다
먼저 놀잇감을 주고 놀게 했다.
놀다 보니 아까 꺼이꺼이 울던 아이들도 하하호호 웃었다.
다행이다.
여섯 명의 친구를 떠나 보낸 아이들에게 어떤 위로를 해 줄 수 있을까 생각하다 이 책이 떠올랐다.
서두에
" 얘들아, 우린 어차피 헤어지게 되어 있단다.
언젠가는 선생님과도 헤어지고, 여기 있는 친구들도 2학년 올라갈 때 뿔뿔이 흩어진단다.
전학 간 친구들은 조금 일찍 헤어진 것일 뿐이야. 그리고 사람은 언젠가는 죽기 때문에 결국 다 헤어져" 라고 말해줬다.
너무 비장하게 말했나?
호기심 많은 생쥐 아모스와
듬직하고 친절한 고래 보리스의 우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쩜 우리의 상황과 이렇게 딱 맞아떨어지는지....
아모스와 보리스는 같이 살 수 없다. (친구들과 우리가 같이 공부할 수 없듯이)
아모스는 생쥐라서 뭍에 살아야 하고,
보리스는 고래라서 물에서 살아야 한다.
"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둘은 몸은 떨어져 있어도 절대 친구를 잊지 않을 거라고 한다.
사는 곳은 다르지만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은 변치 않을 거라고 한다.
급식을 싹싹 잘 먹던 안@@
조잘조잘 이야기를 잘하던 박@@
그림을 잘 그리던 연@@
수영을 잘하던 강@@
독후감을 잘 쓰던 박@@
책벌레 서@@
이제 너희와 우리가 사는 곳, 공부하는 학교는 다르지만
떨어져 있어도
우리가 함께 했던 추억들과
너희가 우리에게 주었던 감동들을 늘 기억할 거란다.
아이들에게도 여섯 명에 대한 추억을 일기로 써 오라고 하였다.
일기장에 이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면
이 다음에 커서 자신의 일기장을 들춰 볼 때마다 새록새록 그들에 대한 추억이 생각나지 않을까!
이별에 대한 경험은 슬프고 아프지만 사람을 성장시킨다.
우리 꼬맹이들도 여섯 번의 이별을 경험하면서
마음이 조금씩 자랐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