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을 만났어요 - 겨울 계절 그림책
이미애 글, 이종미 그림 / 보림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계절 중 어떤 계절을 좋아하세요?

전 요즘 들어 봄이 좋더라고요. 그런데 봄은 참 짧죠. 아쉬워요.

같은 질문을 아이들에게 하면 뭐라고 대답할까요?

제가 예전에 물어보니 아이들은 대부분 실컷 놀 수 있는 여름과 겨울을 좋아한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아이였을 때 겨울을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제가 살던 곳은 겨울이 되어도 눈을 잘 볼 수 없었던 따뜻한 남쪽이었습니다.

제 기억에 고등학교 졸업을 할 때까지 겨우 2-3번 정도만 눈을 만났던 것 같네요.

 

초등학교 때, 그 때는 국민학교였죠.

눈이 정말 많이 내린 해가 있었어요.

따뜻한 남쪽지방에서 그렇게 쌓인 눈을 본 것은 처음이었던 것 같아요.

저를 비롯한 아이들은 마냥 신 나서 겨울 방학인데도 불구하고 하나 둘 학교로 모여들기 시작했어요.

학교 가는 길이 경사가 심해서 그 곳에서 눈썰매를 타면 제격이라는 생각 때문이었죠.

그 때 썰매가 어디 있겠어요?

누가 쓰다 버린 상자를 바닥에 깔고 신 나게 썰매를 탔죠.

이 그림책을 보니

손과 발이 얼얼하고, 볼이 빨갛게 되는 줄도 모르고

친구들과 정말 신 나게 놀았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지금은요?

겨울이 오면 걱정부터 앞섭니다.

고향이 따뜻한 남쪽지방이라서 그런지 유난히 추위를 잘 타거든요.

갈수록 길어지고, 추워지는 겨울에

추운 나날을 어떻게 보내지 하며 걱정이 됩니다.

 

어제 딸이

그제 자기가 친구들과 만든 눈사람을 같이 보러가자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제가

" 아흐~ 추워서 싫어. 너나 보고 와!" 라고 했답니다.

참 나쁜 엄마죠?

자신이 만든 커다란 눈사람을 엄마에게 보여 주고 싶은 딸의 마음도 헤아리지 못하고....

제가 요즘 거의 절망 상태라서 말이죠.

딸은 방학식날(21일) 눈이 내리자 친구들과 함께 5시간 정도를 놀다 들어오더라고요.

눈만 있으면 해가 지는 줄도, 추운 줄도 모르고 마냥 놀 수 있는 게 아이들인 것 같아요.

제가 어릴 때 그랬던 것처럼 말이죠.

 

나 같은 어른이야 겨울이 되면

추위 걱정, 보일러 걱정, 수도관 걱정, 눈 치우기 걱정, 자동차 걱정, 빙판 걱정 온통 걱정 뿐이지만

아이들에게 겨울은 축복인 것 같습니다.

일 년에 한 번 만나는 겨울,

아이들이 겨울과 친하게 사이좋게 지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론을 믿을 수 없다.

이제 포털도 믿을 수 없다.

 

진작에 시사 in 을 구독하려고 했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가-진짜 게으르다-

오늘 아침 일어나자마자

정기구독 신청을 하였다.

왜 난 정치에 모르쇠로 살지 못하는지....

그건 나와 내 아이들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나도 언제 세뇌당할지 모르니

정신 바짝 차리고 깨어 있어야지.

이제 나꼼수도 없으니

더 이상 미룰 수가 없다.

 

 

저처럼

방송3사 및 포털을 더 이상 신뢰하지 못하시는 분들은

이곳을 클릭하여 보시길....

 

 

http://www.sisainlive.com/com/kd3.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은 책도 눈에 안 들어온다.

방학도 했으니

딸도 읽고,나도 읽을 겸 주문했다.

 

책으로나마 위안을 삼아야지.

 

초등6학년이 담임과 상담 후에 스스로 목을 매 자살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끔찍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찬샘 2012-12-22 0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ㅜㅜ
 

어제와 오늘, 그리고 앞으로 5년 내내 참담한 기분을 가눌 길이 없을 듯하다.

그렇지 않아도 몸 상태가 바닥을 치고 있었는데

그제 개표 결과를 보고나서는 아예 목소리가 잠겨 버렸다.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이 금방 반응을 일으키는 특이체질이어서 그렇다.

 

방학을 이틀 앞에 둔 아이들에게 좀 더 여유있게 웃어줘야 하는데

웃음이 나질 않았다.

오늘도 한 번씩 포옹을 해 줘야 하는데 맘이 지옥이라 그러지 못했다.

어찌 웃을 수 있으랴!

해맑은 너희들에게 지옥을 선사한 수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가슴에서 아직도 부글부글 활화산이 타오르는데

어찌 웃을 수 있으랴!

어제는 희망이 있었지만

오늘은 절망 뿐인 걸.

 

앞으로 5학년은 맡지 않을 것이다.

현대사를 배울 때

" 선생님, 독재자였던 그 분의 딸이 지금 대톨령이라는데 맞나요?" 라고 아이들이 물어오면 뭐라고 답해야 하나?

 

어제 초등교사들이 자주 애용하는 사이트에 가보니

나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아주 많으셨다.

나만 이렇게 허탈한 게 아니구나 싶어 조금 위로를 받았다.

다들 아이들에게 역사를 가르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는 말씀들이었다.

거짓말을 할 수도 없고 말이다.

 

당분간 이 참담함에서 벗어나긴 쉽지 않을 듯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12-21 2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기운 내셔야지요ㅡ.ㅡ

수퍼남매맘 2012-12-22 09:31   좋아요 0 | URL
며칠 있으면 나아지겠죠.

2012-12-22 07: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12-22 09: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카펫 소년의 선물 꿈터 지식지혜 시리즈 15
페기 다이츠 셰어 글, 린 모린 그림, 김지연 옮김 / 꿈터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사람의 힘은 어느 정도일까! 요즘 들어 그런 생각이 자주 든다.

 

얼마 전 독서동호회에 오셔서 방사능식품 강의를 해 주신 <별의 정원>이라는 닉네임을 가진 평범했던 두 아이의 어머니가 그렇고, 1년 8개월 간 "쫄지 마"를 외쳤던 나꼼수 멤버들이 그렇고, 교수직을 걷어차고 나와 국민들에게 알 권리를 깨우쳐 주는 표창원 교수가 그렇고, <현시창>을 쓴 임지선 기자가 그렇고, <현시창> 중에서 자신을 성희롱한 상사와 그를 옹호한 거대 회사를 향하여 연약한 여성의 몸으로 7년간 소송을 하여 이긴 그 분이 그렇다. 이 분들은 어디서 그런 용기가 솟아난 것일까! 계란으로 바위 치기 같은 싸움에 그들은 왜 스스로 자신을 던지는 것일까!

 

여기 12살 어린이가 자신의 인권을 유린하는 골리앗과 맞서 자기와 같은 형편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인간답게 살 자유와 권리를 찾아 주기 위해 용감하게 일어난 가슴 뭉클해지는 이야기가 그림책으로 나왔다. 어른인 나도 내기 힘든 용기를 고작 12살 어린이가 자신의 권리 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인권을 위해 분연히 일어나 걸어간 이야기를 읽으면서 어른의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기 그지 없고, 더불어 그렇다면 지금 내가 이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하게 된다. 또 난 정말 내 자녀에게 부끄럽지 않은 엄마로서 제대로 살고 있는가 반성하게 된다.

 

그림책은 파키스탄에서 카펫을 짜는 아동노예로 살아가는 <나딤>이라는 소년이 파키스탄에서 실제로 인권과 자유를 위해 투쟁하다 저격당하여 사망한 12살 아동인권운동가 < 이크발 마시흐> 를 우연히 만나고, 이크발 마시흐의 뒤를 잇게 되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실존 인물이었던 이크발 마시흐도 나딤처럼 아동노예였다가 자신의 인권을 되찾기 위해 분연히 일어나고 그 후로 줄곧 투쟁을 하였다고 한다. 12살 어린 나이에 총으로 저격당하여 생을 마감하기 까지 이크발 마시흐는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처럼 유린당하는 아동노예들을 위하여 몸을 바쳤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전태일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이크발 마시흐는 공기 속으로 사라졌지만 이크발 마시흐의 정신은 나딤과 또 다른 아이들의 마음 속에 뿌리를 내려 부당한 대우를 받고, 노예처럼 학대 당하는 아이들의 인권을 되찾기 위해 용기를 내어 자리를 박찰 수 있는 희망을 심어 줬다. 12살 이크발 마시흐, 한 사람의 힘은 정말 대단했다.

 

한 사람의 힘은 보잘 것 없어 보일 수 있다. 내가 뭐라고? 나 하나가 어떻게 사회를 바꾸겠어? 그런데 아니다. 세상은 이렇게 한 사람의 용기로써 조금씩 바뀌었고 발전되어 왔다. 전태일이 없었더라면, 이크발 마시흐가 없었더라면 어땠을지 상상해 보시라. 전태일이 있었기에 공돌이 공순이라 무시당하던 10대 청소년들이 얼마나 열악한 환경에서 노예처럼 일해 왔는지 세상이 알게 되었고, 이크발 마시흐가 있었기에 카펫이 얼마나 많은 어린이들의 노동 착취로 인해 만들어지는지 세상이 알게 되었다. 꿈을 꾸고, 학교에서 공부를 해야 하는 어린이들이 지금 이 순간도 가난과 배고픔에 시달리며 주인들에게 무수히 매질을 당하면서 노동력 착취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그들 한 사람이 있었기에 나같은 사람들도 알게 되었던 것이다. 그들의 용기 있는 폭로가 있었기에 세상이 그들의 낮은 소리에 귀기울이게 되었고, 그들의 고통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래서 뜻있는 사람들이 모여 힘을 모으게 되고 그리하여 세상이 조금씩 바뀐 게 아닌가!

 

이제 나도 여러분도 나딤이 되길 바란다. 이크발 마시흐의 희생과 용기를 보며 나딤이 일어서는 것처럼, 나도 여러분도 제 2, 제 3의 나딤이 되길 바란다. 내가 있는 이 자리에서, 내가 속한 사회에서 부당한 일이 있을 때 모르쇠로 일관하지 말고, 참지 말고, 쫄지 말고, 분연히 일어서길 바란다.

 

이크발 마시흐, 나딤, 전태일, 나 모두 골리앗 같은 세상에 비하면 정말 연약한 다윗일 뿐이다. 하지만 그 한 사람의 용기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12-21 0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