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도서 받을 게 있는데 까먹고 있다가 어제서야
" 아 그렇지? 서평 도서 올 때가 됐는데.... 왜 나만 못 받았지?" 하는 생각이 불현듯 들었다.
하교 후에 교무실에 내려가 우편함을 찾아 보니
한 권이 아니라 어디선가 또 한 권의 책이 주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교실에 올라와 개봉해 보니
이런 책들이 들어 있었다.
이건 내가 신청해서 받은 도서이고,
나머지 하나는 왜 왔는지 모른다. 이 출판사에서 계속 보내주는데 나도 모르게 서평단이 되었나?
하도 깜빡깜빡 잘해서 나도 나를 믿을 수가 없다.
아무튼 매번 책을 보내주시니 감사할 따름이다.
작가 이름을 보니 소중애 선생님이시네. 마침 교실에 아들이 있어서 먼저 읽어보라고 했더니
" 엄마, 이건 김치에 대한 책이에요. " 한다. 그리고 배추들이 싸우는 그림을 그린다.
재미있었나 보다.
잠깐 읽어 보니 김장 담그는 이야기 속에 다문화 가정 이야기도 살짝 믹스를 해 놓았다.
결혼해서는 김장을 한 번도 담궈 본 적이 없어서....한창 김장철이지.
이 그림책을 보니 어릴 적 온 식구가 김장 담그던 추억이 떠오른다.
다음은 우리 반 어린이가 읽어 보라고 가져온 책이다. 바로 <김 구 >선생님에 대한 책이다.
작가는 이원수 님. 새싹 인물전에 비하면 정통 위인전에 가깝다. 저학년은 다소 어려울 듯하다.
" @@야, 다 읽었어? 어려운 맡이 꽤 많이 나오던데..." 하자
" 다 읽었어요." 한다.
이 아이처럼 자기가 감명 깊게 읽은 책을 나에게 빌려 주는 경우도 간혹 있다.
빨리 읽고 나서 내 책 빌려줘야지.
그리고, 독서동호회 때 나눌 책이다.
"현시창"은 " 현실은 시궁창"의 줄임말로,
가수 에미넴이 "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 이라고 노래한 데서 유래했다.
가슴속에 품은 꿈을 이루기에는 자신 앞에 놓인 현실이 너무 보잘 것 없을 때 자조적으로 쓰인다.
이 표현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 직면한 사회 현실을 적나라하게 나타내 네티즌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벗어날 수 없는 답답한 현실 속에 신음하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엮은 저자는
" 현시창"을 " 현실을 직시하라 그리고 창을 들라" 라고 새롭게 고쳐 읽는다. (책 뒷면 인용)
지금, 2012년, 대한민국에 사는 젊은이들의 삶을 알고자 하는 분들은 꼭 읽어보셨으면 한다.
" 대한민국은 청춘을 위로할 자격이 없다" 는 말에 가슴이 뜨끔하다.
그러고 보면 젊은이들이 투표 안 한다고 욕할 것도 없다.
그들이 투표하지 못 하게 만든게 바로 기성세대들이니깐.
신랑 책이어서
" 여보, 밑줄 그어도 돼요?" 하자
" 연필로 그어요" 라고 허락해 줬다.
팍팍 그어야지.
다른 선생님들은 어떤 부분에 밑줄을 그어 오실 지 궁금하다.
너무 먹먹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쉬엄쉬엄 읽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