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9일부터 <몽실언니>온작품 읽기를 시작하여

12월 20일에 끝까지 다 읽었다.

 

거의 매일 1꼭지를 읽었고

마지막 날에는 3꼭지를 연달아 읽었다.

특히 마지막 23꼭지는 내가 읽어줬다.

중간중간 어려운 낱말은 사전 찾기를 하여 뜻을 알아갔다.

(물론 2명은 하지 않았다. 이 아이들은 중간에 포기한 아이들)

 

몽실언니가 아이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갔을지는 앞으로 다양한 독후활동을 하면서 함께 나눌 작정이다.

 

첫째로 주제 찾기를 하였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 힘든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자" 라고 말했고

소수 의견으로 " 다른 시각으로 사람이나 상황을 보자" 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그전에 봤던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랑 주제가 일맥상통한다고 본다.

아무리 상황이 열악하다 할지라도

그 속에서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고고 인생은 아름답다라고 말할 수 있는

귀도 아저씨, 몽실 언니, 권정생 작가 같은사람으로 성장하길 바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8-12-25 0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학급 아이들이 몽실언니를 완독했다는 거군요~ 짝짝짝!!♥
우리 큰딸 6학년 때 개장한 대형 마트 서점에서 골라 샀던 책이라 각인된 권정생 선생님의 몽실언니!!♥

수퍼남매맘 2018-12-26 20:03   좋아요 0 | URL
네~ 반 애들과 완독했어요. 언제 읽어도 눙클해요.
 

어젯밤이다 . 유성우가 내린다고 딸이 말해줘 온가족이 처음으로 아파트옥상으로 갔다 . 딸은 순식간에 떨어지는 유성우를 봤다는데 셋은 못보고 내려왔다 . 실망해서 입이 나온 아들.

부녀가 열심히 검색을 해보더니 다시 나만 빼고 셋이 옥상으로 올라갔다 . 고층 사니 그건 좋네 . 얼마후 셋이 흥분한 상태로 내려왔다 . 드디어 모두 유성우를 봤단다 . 다행이다. 아들이 못봤으면 계속 징징거렸을텐데 .... 나도 유성우는 아니지만 서울에서 별을 오랜만에 봤으니 됐다!!!

난 어릴 때 유성우를 딱 한 번 본 기억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 눈발이 날리기 시작했습니다 . 차 놔두고 버스 타고 출근 중입니다 . 눈길 조심하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8-12-13 1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이런 날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것이 제일 좋아요^^

수퍼남매맘 2018-12-13 18:34   좋아요 0 | URL
벌써 빙판이 되었어요 . 조심하셔요.
 

수련회 즈음에서 애들이 누가누구랑 사귄다고... 하는 고급 정보를 흘려줬다.

울반 엄친아(독후감 잘 쓰고, 1학기 회장)와 울반에서 공부 1등하고 항상 웃는 여학생이 사귄다는 거다.

그때부터

틈 날 때마다 놀리고 난리가 났다.

 

얼마 전 부터 이 애들이 등교 시각에 같이 교실에 들어오는 게 레이더에 감지됐다.

하루, 이틀, 사흘.,..

오늘 드뎌 궁금해서 물어봤다.

" 얘들아, 니네 등교할 때 같이 만나서 하냐?"

옆에 있던 다른 아이가.

" 네~~"

둘한테 직접 대고

" 둘이 사귀는 거 맞아?"

"...."

" 부모님은 아셔?"

" 네~~"

 

진짜였구나!!!

단순히 둘이 썸 타는 걸 다른 애들이 놀리는 걸로 알았는데....

선남선녀가 만남을 이어가고 있으니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아무튼

6학년 전체에 공식 커플이 된 듯하다.

다른 반도 다 알고 있더구만.

울반 애들이 엄청 부러워하고 있다.

어제도 자기들도 썸 타고 싶다고 모태 솔로 벗어나고 싶다고

얼마나 하소연을 하는지.

 

좋을 때다.

근데 초딩은 사귀면 무슨 일을 하지?

딸아이 말론 별로 하는것 없다 하던데...

카톡만 주고 받는다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북극곰 2018-11-30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너무 귀엽네요. 저도 초딩이들 남친여친은 뭐하는 거냐고 했더니,
피구할 때 남자애가 여자애 막아준다네요. 헐...ㅋ



수퍼남매맘 2018-12-03 11:53   좋아요 0 | URL
호호호! 그렇군요.
아침에 함께 등교하는 경우는 저도 처음 봅니다.

카스피 2018-12-01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저도 초딩들은 사귀면 무엇을 할지 무척 궁금해 집니당^^

수퍼남매맘 2018-12-03 11:53   좋아요 0 | URL
기회 되면 제가 자세히 물어보려고요. ㅋㅎㅎ
 

이번 아이들과 꼭 해 보고 싶었던 독후감 공모전 대회에 나가 큰 상을 탔다.

이제 30여일 후면 이 아이들과도 헤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아이들과 하고 싶은 일은 바로 <몽실언니>로 온작품 읽기를 하는 거다.

 

몽실 언니는 혼자서는 읽기가 녹록지 않다.

다른 읽을 거리도 넘쳐나는데 굳이 이 책을 고르지 않을 뿐더러

골랐다 하더라도 역사적 배경 지식이나 시대적 상황을 잘 알지 못하면

크게 이 작품에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다.

요즘 애들이 <보헤미안 랩소디>를 보며 공감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다.

 

난 이 아이들에게 너무 존경하는 권정생 작가를 꼭 알려주고 싶고

그 분의 작품 중 몽실 언니 또한 알려주고 싶다.

그래서 이 작품을 마지막 온작품 읽기로 선택했다.

 

어제 권정생 작가의 일생을 다룬 다큐를 보고

그분이 어떤 생을 살았는지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는지

어떤 작품을 썼는지

그분의 사상과

그분의 유언은 어떠하였는지

그분의 스토리를 알려줬다.

 

단순히 <강아지똥>의 저자로만 알고 있던 아이들이 숙연해지는 모습이 느껴졌다.

 

오늘부터 1꼭지씩 같이 읽어나갔다.

1꼭지는 내가 읽어주고

2꼭지는 아이들이 한 쪽씩 교대로 읽었다.

 

1947년, 일곱살이었던 몽실이가 어머니를 따라 집을 나오고 새아버지를 만나고

다리병신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보면서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였을까?

 

내가 지금 아무리 힘들다 하여도 몽실이만큼 힘들까 생각해 보라고 했다.

권 작가님도 볼펜 들 힘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벽에다 공책을 기대어 힘들게 글을 쓰셨다고 한다.

 

누구나 자기가 가장 힘들고 억울하고 슬프다 생각할 때가 있다.

그런 마음이 나를 지배하면 감사와 기쁨, 행복이 사라지고 만다.

 

몽실언니를 읽으면서 아이들 마음이 불편하면 좋겠다.

작가님이 좋은 책은 불편한 책이라고 했던 것처럼 말이다.

 

나와 함께했던 기억 중에 다 잊더라도

함께 <몽실언니>를 온작품읽기 했던 기억은 추억으로 오래 남길 바란다.

 

내일은 권작가님의 유언을 읽어주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