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가 피융 꿈터 지식지혜 시리즈 11
한노 유키요 글, 아사누마 도오루 그림, 김소미 옮김 / 꿈터 / 2012년 3월
장바구니담기


며칠째 비가 오는 개구리 마을. 개구리 케로는 며칠째 내리는 비가 야속한 듯 빗줄기에 손을 대 본다.

다른 친구들은 점프 연습을 하며 열심히 놀고 있는데 케로만 연잎에 앉아 빈둥거리고 있다. 친구들에게는 점프가 싫다고 말했지만 실은 케로는 점프를 못해서 그러는 거였다.자신이 잘못하는 것을 남 앞에서 했다가 더 망신당할까 봐 아예 하지 않는 사람들의 마음과 비슷한 것 같다. 그러다 보면 더 못하게 되는데 말이다.
" 케로야 그렇게 빈둥거리고만 있으면 평생 점프를 못하게 된단다. 용기를 내 봐"

어느 날 친구들이 연잎에 누워 빈둥대는 케로에게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자신들이 도와줄 테니 나뭇가지에 올라 한 번 점프를 해 보라는 것이었다. 친구들의 제안에 못이기는 척 따라나선 케로. 케로가 나뭇가지에 올라가자 친구들 여럿이 있는 힘껏 나뭇가지를 잡아 당긴다. 과연 케로는 점프에 성공할 수 있을까?

피융~
한 번도 점프를 하지 못했던 케로가 날아간다. 높이 아주 높이 날아간다.그 기분이 어떨까? 처음엔 무서웠겠지. 하지만 처음 올라간 세상이 신기하지 않았을까? 그동안 연잎에서 누워서만 보던 세상과는 분명 다른 더 넓은 세상을 보게 될 것이다.

빠지직 하는 소리가 들린다. 이게 무슨 소리?

갑자기 눈이 부시다. 혹시 여긴 하늘? 맞다.

하늘에 구멍을 내고 해님 근처까지 날아온 케로. 케로는 해님에게 야단을 맞을까 봐 전전긍긍하지만.

해님은 케로를 야단치기보다 케로와 함께 부서진 구멍을 향해 바람을 힘껏 분다. 그러자 하늘 아래 세상이 점차 맑게 갠다.

해님 옆에 앉아 있는 케로의 모습이 앙증맞다. 처음으로 점프를 해 본 케로는 난생 처음 해님과 만나게 되고, 해님을 도와 비가 오던 개구리 마을을 맑게 한다. 그리고 해님에게 약속을 한다. 다음에는 스스로의 힘으로 해님을 만나러 오겠다고 말이다.

누구에게나 해 보지 않은 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다. 특히 자신이 잘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서는 더 그렇다. 케로처럼 말이다. 하지만 한 번 마음을 부풀려서 자신감을 가지고 그 일에 도전해 보면 예전과는 다른 세상을 보게 될 것이다. 그 일이 성공했든 실패했든 상관 없다.도전한다는 그 자체 만으로 그 사람은 전보다 충분히 커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케로는 해님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열심히 점프 연습을 할 것이고, 연습이 쌓이고 쌓이면 분명 자신의 힘으로 해님과 다시 만날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4-06 2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4-06 2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4-07 23: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리뷰 400개 돌파로 자축하고 있는데

남편이

" 당신 최고의 독자로 뽑힌 것 같던데?" 하는 거다.

" 엉? 뭐요?"

아까 잠깐 학교에서 이 기사를 보긴 했는데 당연히 내 이름이 있을 리 없다고 생각하고 구경만 하고 넘어갔던 차라

남편의 말이 뻥인 줄 알았다.

하여 다시 들어가 보니  동화/명작/고전 분야에 내 이름이 있었다.

얏호! 신 난다.

그동안 꾸준히 리뷰를 써 온 것에 대한 선물인 듯하여 기분이 최고다.

내가 다른 분들처럼 여러 사람과 소통을 하는 것도 아니고, 특정인 몇분만  연락을 하고 지내는 편이라

매번 연말에 뽑는 알라딘 서재의 달인 100인에서 제외되곤 하였다.

리뷰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알리디너들과 소통하는 것도 중요하단 걸 그제서야 알았지만

그렇다고 무턱대고 다른 서재에 기웃기웃거릴 수도 없고...

그냥 열심히 내 할 일만 하자는 신조로 지내고 있었다.

 

그래서

진짜 기대를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렇게 뽑아 주시니 진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aladin.co.kr/events/wevent_book.aspx?pn=20120323_CBMenu4_Aladiner&categoryId=48810&pkid=10#left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04-06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넘 축하드려용^^

수퍼남매맘 2012-04-06 17:04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 고맙습니다. 님 서재에도 자주 들어가서 소통을 하여야 하는데....

희망찬샘 2012-04-06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아니, 아니 이런~ 근데 제 이름도 있네요. 수퍼맘님 아니었음 모르고 지나갈 뻔~ 한 일 중 하나네요. 그래서 며칠 전 갑자기 사람들이 많이 들어왔었나 보군요.

수퍼남매맘 2012-04-06 17:05   좋아요 0 | URL
희망찬샘은 2관왕이시던데요. 마구마구 축하드립니다.

희망찬샘 2012-04-06 21:42   좋아요 0 | URL
오, 이런이런~ 이것도 말씀 안 해 주셨음 모르고 지나갔을 일이네요. 뭔 2관왕하면서 다시 눌러 봤네요. 음... 기분 좋은 일이군요.

saint236 2012-04-06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수퍼남매맘 2012-04-06 17:05   좋아요 0 | URL
님 서재에 자주 들어가진 않지만 항상 좋은 글 읽으면서 " 맞아 맞아" 공감하곤 한답니다.

순오기 2012-04-06 2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합니다~~~~ 열심히 활동한 보람이 있었군요!!

수퍼남매맘 2012-04-06 22:58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도 2관왕에 오르신 것 같던데. 축하합니다.

희망찬샘 2012-04-07 23:07   좋아요 0 | URL
3관왕인 것 같던데요. 더 되시려나???

순오기 2012-04-09 22:01   좋아요 0 | URL
3관왕이지만 리뷰보다는 100자평으로 등극한 것이라 민망했어요.ㅜㅜ
 

알라딘 서재를 운영한 지 3년 째. 만 2년 정도 되었다.

리뷰 400개를 돌파하였다.

작년 이맘 때쯤 300개를 돌파하였다고 페이퍼를 올린 기억이 나는데....

 

요즘은 읽을 책들이 너무 많아서

제때에 리뷰를 못 올린다.

그런데다 집에 오면 컴퓨터를 차지할래야 할 수가 없다. 가족들 때문에 말이다.

특히 아들 때문에.....

 

그래도 400개의 리뷰를 달성한 것을 자축해 본다.

 

초심을 잃지 않아야 하는데.

좋은 책을 읽고 누군가에게 그 책을 소개해 주고 싶은 마음- 특히 어린이들에게-으로 시작된 나의 리뷰가

방향을 잃지 않고 오래오래 계속되기를 바랄 뿐이다.

 

정말 좋은 책들이 많다는 걸 요즘 들어 뼈저리게 느낀다.

안 읽은 책들도 너무 많다는 것에 매번 기가 죽기도 한다.

빨리 읽고 빨리 알려야 할 텐데 하며 마음이 조급해지지만

그럴수록 천천히...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희망찬샘 2012-04-06 06: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축하드려요. 저도 400권 돌파할 때 엄청 감동의 물결이 밀려오던데요.

수퍼남매맘 2012-04-06 12:48   좋아요 0 | URL
500개 돌파 할 때는 뭔가 이벤트를 해야겠어요. 그때 꼭 응모하셔야 해요. 받은 사랑을 되돌려 드려야죠.

희망찬샘 2012-04-07 23:07   좋아요 0 | URL
우후~ 네, 네. 전 수퍼맘님 서재에 자주 놀러오니까 이벤트를 꽉 잡을 자신 있어요.

순오기 2012-04-06 2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00권 돌파, 이제 500권을 향하여~~~~ 아자아자!!

수퍼남매맘 2012-04-06 22:59   좋아요 0 | URL
무한 질주~~

카스피 2012-04-06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우 리뷰 400개 참 대단하세용^^

수퍼남매맘 2012-04-06 23:03   좋아요 0 | URL
님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죠. 1000개 넘으신 분들이 알라딘에 꽤 많으시잖아요. 님 포함해서요. 부지런히 따라가 볼렵니다.
 
안녕, 태극기! 우리 얼 그림책 2
박윤규 글, 백대승 그림, 한철호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회 때문에 일주일에 꼭 한 번은 보게 되는 태극기.  태극기가 우리 나라의 상징이며 우리 나라의 국기임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솔직히 그 이상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있지는 않다.

 

교과 시간에 말로만 태극기를 사랑하여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보다 매주 한 번씩 국기에 대한 맹세를 하는 것보다 어쩜 태극기에 대해서 하나하나 더 자세히 알아가는 것도 분명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건 마치 대한민국 국민이기에 우리 5000년 역사를 알아야 하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상징이자 국기인 태극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좀 더 자세히 알아야 하는 게 당연한 것같다. 하지만 나부터도 태극기에 대해서 그렇게 잘 알고 있지는 못하다.

 

1학년, 2학년 교과서에 태극기에 대해 여러 가지 것들이 설명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아이들이 어려워하고, 따분해하기도 하던 참에 이렇게 태극기에 대하여 멋진 그림으로 알려 주는 책이 나와서 얼마나 반가운지 모르겠다. 태극기가 생겨난 이야기를 마치 신화를 보는 듯이 설명해 주고 있어서 아이들이 좀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법하다.

 

교과서에서 딱딱하게 배웠던 태극 모양과 괘가 상장하는 것들, 색깔이 상징하는 것들에 대해서 그림과 재미난 이야기로 알기 쉽게 설명해 주고 있으니 보조 교과서로 쓸 만하다. 그리고 처음에 만들어진 태극기의 모습부터 현재 태극기의 모습까지 담겨져 있어서 태극기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도 있다.

 

내가 국민학교 다니던 시절에는 태극기를 직접 만들어 보는 시간도 있었는데 요즘은 그런 시간이 없다. 하나하나 치수를 재서 가로와 세로및 괘를 그리고 컴퍼스를 이용하여 태극 무늬를 그렸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 교과서들은 부록에 자료들이 다 나와 있어서 색칠하는 것으로 끝나 버린다. 고학년 정도는 직접 태극기를 만드는 방법에 의거하여 자신이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 활동을 하는 것도 매우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편리해진 사회답게 아이들이 직접 해 보는 것보다 간편하게 부록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는 교육과정이 어떤 면에서는 진정 알고 해 봐야 할 것들에 대해서 간과하게 만들고 있다는 생각이 자주 들곤 한다.

 

책을 다 읽고 나서도 하나 궁금한 게  남아있다. 몇 해 전부터 의아하게 생각하던 부분인데 왜 우리 나라만 태극기를 향하여 경례를 할 때 오른손을 왼쪽 가슴에 대고 경례를 하게 되었을까? 다른 나라들은 모두 눈으로만 국기를 응시를 하는데 말이다. 난 그게 참 궁금하다. 왜 우리나라만 그러는 거지?

 

박윤규 작가님도 내가 좋아하는 작가 리스트에 올랐다. 엊그제 <아리랑>이란 책도 읽었는데 덕분에 나윤규 님의 <아리랑>내용에 대해 비로소 알게 되었다. 읽으면서 마음이 찡 했다. 두 작품을 연달아 읽고 나니 작가님이 어떤 마음으로 글을 쓰시는지 조금 알 것 같다. 기회 되는 대로 박 작가님 책을 꼭 챙겨 읽어 봐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 할머니 북비 그림책 3
엘리자베스 슈타인켈너 글, 미하엘 로어 그림, 이미옥 옮김 / 북비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붉은 톤의 그림이 따듯해 보여 궁금하던 그림책이었다. 새 할머니? 새를 좋아하는 할머니인가 했었는데 그게 아니라 치매를 앓는 할머니와 그 가족의 이야기였다.

 

여러 나라를 두루 여행하고, 여행한 나라에서 맛본 음식을  아주 맛나게 요리를 잘하시던 멋쟁이 할머니가 어느 날 부턴가 달라지셨다. 새에게 모이를 주기보단 자신이 더 많이 모이를 먹기도 하시고, 식탁 밑에 들어가 잠을 자기도 하시고, 심지어 가스렌지를 켜시고 손을 쬐기도 하신다. 그런 할머니를 혼자 놔둘 수 없다며 부모님은 집으로 할머니를 모시고 오고, '나"는 엄마의 부탁으로 하루를 할머니를 돌보게 된다. '나' 보다 더 어린 아이가 되어 버린 할머니를 잘 돌봐 드릴 수 있을까?

 

예전의 할머니도 좋았고. 지금의 할머니도 좋다는 손녀의 고백이 4월인데도 춥고 눈발도 나린 오늘, 붉은 톤의 그림만큼이나 따듯하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