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갔다와서 딸과 다시 외출을 했다 . 우리 모녀는 역마살이 끼었나 집에 있질 못하는 편이다 . 단골 헤어샵에 가서 헤어팩을 사고 근처 롯데백화점으로 갔다 .

그냥 윈도우 쇼핑을 즐겼다 . 이 백화점은 항상 사람이 많다. 위에 영화관이 있어서기도 하지만 워낙 상계동에 인구가 많은데 백화점은 여기뿐이라서 그런 듯하다. 할인코너와 타임서비스 코너에 사람이 몰렸다.

돌아다니면 돈 쓰니 카페가서 책이나 보자 싶어 장소를 옮겼다. 지인이 ˝ 롱블랙˝이라는 커피가 맛있다고 해서 투썸플레이스로 갔다. 창가는 자리가 없었다 . 롱블랙과 스트로베리피치프라페를 주문했다 . 머그잔에 달라고 덧붙여 말했다 . 스타벅스는 그말을 안하니 자동 종이컵이었다.

과연 커피맛은? 별5개이다 . 에스프레소를 먹기엔 부담스럽고 아메리카노는 어쩐지 싱거운 사람에게 제격이다 . 스타벅스는 스모키한 맛이 강한데 여긴 그렇지 않다 . 뒷맛이 부드럽다 .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의 중간 정도를 원하는 사람에게 추천해본다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울보 2016-01-10 22: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랑 가까운곳에 사시는군요
저는 딸이랑 종종 영화보러 가거나 그근처 한의원에 갈때 들리지요 ㅎ ㅎ

수퍼남매맘 2016-01-11 18:38   좋아요 0 | URL
울보 님! 오랜만입니다. 반가워요.
전 예전부터 가까운 곳에 산다는 것을 알고 있었답니다.

2016-01-11 2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12 1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알라딘! 선물 고맙습니다. 2016년도 성실히 활동하겠습니다. 도라에몽 달력이 마침 있었는데 겹치지 않았어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16-01-09 1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 알라딘 세트는 다양한 디자인이네요.
수퍼남매맘님, 편안한 저녁시간 되세요.^^
 
댓글부대 - 2015년 제3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이 책의 리뷰가 알라딘 서재에 많이 보이길래 어떤 내용일까 심히 궁금하였다.

댓글을 읽고 쓰는 입장으로서 책제목이 참 마음에 와닿기도 하였다. 

읽고나서의 느낌은 섬짓하다.

책에서와 같은 유사한 일이 그동안 있었을 지도 모르겠다는 무서움과

앞으로 이런 일이 자행될 수 있겠다는 두려움이 엄습해 왔다.


"장강명"이라는 작가의 이력이 참 특이했다.

75년생이니 비슷한 세대이다. 

공대 출신인데 기자 생활을 하였고, 지금은 소설을 쓰는 작가이다.

"한국이 싫어서"라는 책을 썼다고 하는데 이 책도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제3회 4.3평화문학상을 탄 작품이라고 하는데 4.3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심사평을 보면 왜 이 책이 4.3사건을 전면적으로 다루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상작이 되었는지 나온다. 수긍이 간다.

폭력이라는 연장선에서 두 사건이 만나고 있기 때문이다. 


기자 생활을 토대로 해서인지 이 책은 신문 기자와 "찻캇탓"이 인터뷰를 하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중간중간에 찻캇탓이 속한 팀-알렙이 계획하고 행동한 일이 기록되어 있는데

19금 내용이 꽤 적나라하게 나오므로

청소년에게 재미있다고 추천하면 안 될 듯하다. 

안마방의 이야기들이 너무 충격적이었다.


연예인이나 공인이 악플로 인해 고통 받는다는 이야기는 이미 오래 전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누군가가  팀-알렙이라는 저격수를 고용하여 진보 사이트를 마비시키는 내용이다. 

누군가가 누구일까?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나라를 걱정하는 세력이다. 

이들이 돈이 필요하고 능력이 되는 댓글부대를 이용하여 좌빨 세력이라 칭해지는 진보 사이트를 댓글로 무차별 공격하는 것이다.

고작 세 명의 댓글로 사이트가 마비되고 무용지물이 되는 이런 일이 가능할까?

처음 댓글은 그들이 달지만 그 다음은 자기들 즉 진보 진영끼리 치고받는 형국이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사이트는 아수라장이 되고만다.


과연 그런 일이 가능할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책을 읽으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건 작가의 풍부한 지식과 철저한 조사, 그리고 흡인력 있는 내용 전개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이트와 보았음직한 사건들이 여러군데 나와 낯설지 않다는 것도 일조하는 듯하다. 

아무튼 댓글이 가진 폭력성을 잘 드러낸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경각심을 주는 고마운 책이어서 지인에게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개저녀기는 성균관에 간다 똑똑! 역사 동화
최영희 지음, 유설화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저녀기라니? 이 듣도 보도 못한 낱말은 무엇인고?

책을 읽어보니 성균관 유생을 도와주는 직동의 이름이었다.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에는 유생만 있었던 게 아니었다.

유생이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세숫물부터 해서 여러 가지 잔심부름을 하던 직동이라 불리는 아이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 책은 직동 중 하나인 개저녀기와 개저녀기가 모셨던 유생 성삼문의 이야기를 통해

성균관의 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1:1 즉 유생 한 명당 직동 한 명이었다고 한다. )


작가는 어느 날 성균관에 갔다가 직동의 이야기를 써보기로 마음 먹었고

이제야 이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고 한다.

작가 덕분에 우린 성균관에 유생만 있었던 게 아니라

그들이 나라의  일꾼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 

어린 아이들이 존재했음을  깨닫게 된다.


푸른숲에서 나온 역사 동화 시리즈를 좋아하는 독자로서

기존 책은 고학년에게 어울리는 내용인데 비해

이번 시리즈는 중학년에게 어울리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역사를 처음 접하게 되는 시기가 보통 중학년 정도인데

잘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어렵지도 그렇다고 너무 가볍지도 않은 내용이라 좋다. 

중학년 독자를 저격할 요량으로 주인공 개저녀기 나이도 열살로 한 듯하다. 

중학년 아이들이 즐겁고 재밌게 하지만 

역사의 큰 줄기 속에 "성삼문" 같은 위인만 있었던 게 아니라

개저녀기 같은 민초도 곳곳에 있었다는 걸 자연스레 깨달을 것 같다.


개저녀기는 개 저녁밥 줄 때 태어났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이름이 지어진 사연을 알고나니 참 슬프다.

엄마가 죽고나서 갈 곳 없던 개저녀기를 반촌에 살던 덕쇠라는 총각이 데려다 키운다.

반촌은 성균관의 살림살이를 맡아보던 곳으로

포졸 또한 함부로 드나들지 못하던 곳이라고 한다.

반촌의 아이들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직동으로 일하게 된다고 한다.

개저녀기 또한 반촌에 살고 있었기에 직동으로 일하지만 외부에서 데려다 키운 아이라해서

매번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당하곤 한다.


개저녀기가 직동으로서 처음 모시게 된 유생은 천재로 소문난 신입 유생 성삼문이다.

태어날 때 하늘에서 "태어났느냐?" 세 번 물었다고 해서 삼문이라 이름 지은 성삼문.

개저녀기 이름과 차이가 나도 참 많이 난다 싶다.


나이도 다르고, 신분도 다른 개저녀기와 성삼문의 성균관 생활을 지켜보는 재미가 솔솔하다.

성균관은 지금으로 말하면 서울대학교라 할 수 있고

유생은 이 곳에서 동재와 서재로 나뉜 곳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게 된다.

직동은 이곳으로 출퇴근하며 유생을 돌봐주는 일을 하는 것이다. 

직동으로 경력을 쌓고 관례를 치르면 성균관에서 상주하는 수복이 된다고 한다. 

이런 구조이니 성균관 유생과 수복이 된다는 것은 그야말로 가문의 영광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200명의 유생 중에서도 천재 소리를 듣는 성삼문의 직동이 된

개저녀기는 마냥 행복해 보이지 않아 보인다. 


아까도 말했듯이 직동은 유생을 돌봐야 하는 게 임무인데

신입 유생 성삼문이 공부만 하느라 번번히 끼니를 거르자

개저녀기는 고민에 빠진다.

왜냐하면 얼마 전 끼니를 거른 한 유생이 쓰러진 사건이 있어서이다. 

게다가 사사건건 반촌 출신이 아니라고 자신을 놀려대는 직동이 있어

생활이 녹록하지 않다.

나중에는 자신이 모시는 성삼문을 세 번 놀렸다는 오해까지 받아

대추나무에 재갈 물린 채로 꽁꽁 묶이는 벌까지 받게 된다.

직동이 되어 좋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아 보인다. 


그러나 인생 새옹지마라고...

이런 나쁜 일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헛똑똑이 같이 자신의 직동 얼굴조차 못 알아보고 데면데면하던 

성삼문이 개저녀기를 때린 고참 유생에게 당당히 따지거나

개저녀기의 이름에 담긴 새로운 뜻을 말해주는 훈훈한 이야기도 나온다.


책은 성균관의 유생과 직동 생활을 재밌게 알려주면서도 그 속에서 피어나는

신분과 나이를 뛰어넘은 우정도 들려준다.

개저녀기와 성삼문의 이야기가 실화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그 시대 성균관에는 유생만 있었던 게 아니라

그들을 극진하게 돌봤던 어린 직동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더불어 200명의 유생은 됨됨이가 다 달랐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성삼문처럼 신분을 뛰어넘어 직동을 자신의 가족처럼 돌보던 자도 있고

담뱃대 유생처럼 어리고 신분이 낮다 함부로 무시하고 괴롭히는 유생도 있다는 것 말이다.

그건 지금 시대도 마찬가지이다.

공부만 잘한다고 해서 됨됨이가 훌륭한 건 결코 아니다.

이들 중 누가 과연 나라의 일꾼이 되어야겠는가!


성삼문 같은 성균관 유생도 기억해야 겠지만

유생을 힘써 도와준 개저녀기 같은 직동 또한 기억해야 할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16-01-10 0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저녀기가 궁금하던차 였는데 이름이었군요?^^
중학년용 책이라니 관심이 가집니다
푸른숲 역사동화 시리즈 저도 좋더라구요^^

수퍼남매맘 2016-01-10 15:22   좋아요 0 | URL
성삼문이 개저녀기의 다른 해석을 알려주는 부분에서 뭉클했어요. 중학년용도 계속 출간한다니 반가운 일이지요.

2016-01-12 10: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12 11: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학교 근무하러 갔더니 택배가 하나 와 있었다.

푸른숲에서 보내 준 반가운 책이었다.

내가 좋아하는 역사 동화가 2권이나 들어 있다.

아들과 함께 잘 읽을 것 같다.








아들은 이 중에서 <마고할미>를 먼저 읽겠다고 가져갔고

-아직 역사 동화에는 관심이 없는 듯-

난 <오늘도 개저녀기는 성균관에 간다>부터 읽으려고 한다.


어제와 오늘 모처럼 겨울답게 춥다.

눈이 한번 쯤은 내려줘야 하는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16-01-08 06: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재밌겠어요
예쁜 책들^^

수퍼남매맘 2016-01-08 17:39   좋아요 0 | URL
독특한 이름의 ˝개저녀기˝ 읽고 있는데 재밌네요.
푸른숲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중학년 역사동화네요.

2016-01-09 12: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09 16:1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