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4/11 ~ 2011/4/17
-계획했던 것
1. 새로운과학정신 리뷰 쓸 것[빚]
2. CU 읽고 노트할 것[진행 중- 매우 더딤], 2.30
3. TED, Eva Vertes 리뷰 쓸 것[빚]
4. WS 읽고 노트할 것[빚]
5. CON 읽고 노트할 것[완료], 4/10, 4/10, 2.57
6. KONG 읽고 노트할 것[완료], 4/10, 4/11, 1.07
-그리고
7. TED 23개 봄
8. 매일 영어 1시간 안팍으로 공부함
----------------------------
총 6시간34분 동안 읽고 노트함

-다음 주 계획(우선 순위)
1. 새로운과학정신 리뷰
2. TED, Eva Vertes 리뷰
3. CU 읽고 노트
4. 영어 하루 1시간 이상 공부
5. 시간 통계를 위한 스프레드쉬트 포맷 고안할 것[월요일, 화요일]

-비고
1. 비교적 가벼운 읽을거리를 읽고 노트하는 것은 계획대로 되었다. 그러나 좀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리뷰들에는 손도 대지 않았고, 깊게 읽기가 필요한 책의 진도도 지지부진했다. 그래서 휴식 삼아 본 TED 토크의 수가 저토록 많아진 것. 나 자신을 비판하지는 않겠다. 피곤하여 에너지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그러나 방치하지도 않겠다. 어쨌든 일은 이루어져야 하므로. 하루 10분 정도 매일 매일의 진척을 리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아다시피 의지란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기억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리뷰란 기억을 상기하는 과정이 될 터이다.
2. 영어 공부한 것도 간단하게 노트를 하자. 나는 노트를 해놓지 않으면 머리가 모래를 움켜 쥔 손같이 느껴진다. 노트를 해놓으면 언제든 확인하고 되새김할 수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가벼워진다.  그러나 TED 강연은 전적으로 휴식으로 생각하자. 그건 노트할 필요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기록을 시작한 2011 3월부터 시작하여 통짜 파일로 관리할 것
*새로운 항목을 파일 상단에 위치시킬 것

13. 해드 퍼스트 프로그래밍, 5/23 ~ 5/28, 총 3시간 53분 걸림
12. 페이스북 이펙트(이준구 저), 5/23 ~ 5/24, 총3시간 25분 걸림
11. 페이스북 이펙트(커크패트릭 저), 5/11 ~ 5/16, 총 10시간 58분 걸림
10. 아이폰 사진 스쿨, 5/20 ~ 5/20, 총 1시간 8분 걸림
9.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 완독하기, 5/8 ~ 5/9, 총 7 시간 23분 걸림
8. 플랫폼 전략 읽음, 5/7 ~ 5/7. 총 1시간 45분 걸림
7. 부자통장 읽음, 5/1 ~ 5/1, 총 2시간 5분 걸림
6. 초월하는 애플, 초월하는 삼성 읽음, 4/30 ~ 4/30, 총 2시간 44분 걸림
5. 구글노믹스 읽음, 4/23 ~ 5/1, 총 4시간 2분걸림
4. CON 읽고 노트, 4/10 ~ 4/10, 총 2시간 57분 걸림
3. KONG 읽고 노트, 4/10 ~ 4/11, 총 1시간 7분 걸림

ET, note,  4/1 ~ 4/9, 총 3시간 30분 걸림
2. 생각하지않는사람들, read, 3/26 ~ 3/28, 총 5시간 52분 걸림
생각하지않는사람들, note, 4/1 ~ 4/3, 총 1시간 22분 걸림
생각하지않는사람들, review, 4/4 ~ 4/4, 총 2시간 12분 걸림
1. 새로운과학정신, read, 3/26 ~ 4/9, 총 5시간 16분 걸림
새로운과학정신, note, 3/26 ~ 4/9, 총 3시간 10분 걸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222 2012-06-05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방금 댓글로 놀랍다는 글 남기고 슬며시 둘러보고 있는데 또 놀랍군요...

페이스북 이펙트(커크패트릭)은 영문 원서겠지요...? 저도 이준구/패트릭 각각 소장하고있습니다. 읽고 노트하는 습관, 엄밀히 따지자면...으...말로 표현이 안되네요, 미국의 누가 노트에 자신의 원칙 열몇가지를 적어두고 매일 그에 합당한 행동을 하며 살았는지를 체크했다는데..누군지 기억이 안나네요, 여하튼 그런식으로 책을 읽고 단순히 따라하는게 아니라 뭔가 책의 근본적인 내용에 밀접하게 생활하려는 노트습관을 가지려는데 잘 안되네요...

모바일이라는 아주 멋진 도구가 있는데도 말이죠~;
 

ET,note, 4/1, 4/9, 3:30, D
생각하지않는사람들, review, 4/4, 4/4, 2:12, D
새로운과학정신, read, 4/1, 4/9, 2:03, D
새로운과학정신, note, 4/1, 4/9, 1:28, D
CU, read, 4/1, , 0:29, C
------------------------------------------------
총 9시간44분

-다음 주 계획
1. 새로운과학정신 리뷰 쓸 것
2. CU 읽고 노트할 것
3. TED, Eva Vertes 리뷰 쓸 것
4. WS 읽고 노트할 것
5. CON 읽고 노트할 것
6. KONG 읽고 노트할 것

-비고
1. 주의깊게 읽고 본 모든 것을 기록 항목에 넣을 것
2. 각 항목의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제때 확인할 것
3. 읽은 쪽수 기록할 것
4. 미디어 종류 기록할 것
5. 각 항목을 the first class와 the rest로 분류할 것
6. 스프레드쉬트를 공부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니콜라스 카 지음, 최지향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읽은 기간: 3/26 ~ 3/28
번역 상태: 나쁘다

한 마디로 평가하자면 이 책은 맥루한의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명제에 대한 각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적인 의미에서 그렇다. 첫째는, 말 그대로 맥루한의 저 명제에 대한 확장 부연이 이 책의 내용이라는 것이고, 둘째는, 그러므로(혹은 그러나) 이 책은 맥루한의 통찰 이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맥루한의 명제는 미디어가 단순히 콘텐츠를 전해 나르는 도구인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콘텐츠임을, 즉 우리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그리고 그 영향은 암시적임을 뜻한다.

저자는 타자기를 사용하게 된 니체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니체에게 벌어진 일이나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게 된 한국의 작가들에게 벌어진 일이나 똑같다. 즉, 문체가 간결하고 명료하게 변했다는 것. 그러므로 사고도.

저자는 우리 시대, 즉 인터넷의 시대를 조망하기 위해 신경 과학, 미디어의 역사, 심리학 등등의 영역으로 독자들을 끌고 다닌다. 다소 산만하고 피상적이란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이 가장 읽을 만 했다.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재미가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책의 후반부를 장식하는 저자의 무모한 문명 비판적 관점과 비교하면, 적어도 읽으면서 헛웃음을 짓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러나 후반부의 농담들 하나 하나를 들어 비판하는 것은 그만 두기로 하자. 소모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터넷 안에서 집중을 유지하는 것이 극히 힘들다는 것을 잘 안다. 아니 이 말에는 어폐가 있다. 우리가 인터넷 안에서 하는 일이란 "집중"이 아니라 "서핑"이기 때문이다. 전자책이 책을 대체할까? 확신을 갖고 말할 수 있는 건 신문이나 잡지는 그렇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것들은 "서핑"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오디오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은 전자책으로도 만들어 질 수 있으리라. 요점은 "집중"의 공간은 어떤 형태로든 남아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다작의 작가 스티븐 킹은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글을 쓰려거든 전화기부터 끊어 놓으라고 했다. 역시 다작의 철학자이자 놀랍도록 분주한 인간이었던 사르뜨르는 하루 일과 중 자신만의 시간을 일생에 걸쳐 관철해 내었다. 또, 오만가지 일을 해낸 한 명의 인간 크누스는 자신의 생산성의 비결을 "한번에 한가지 일만 하기"라고 요약해 주었다. 따지고 보면  멀티태스킹이란 것도 동시에 여러가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하나의 일만 하는 것이다. 결국 우리를 깊게 만들고, 우리를 생산성 있게 만드는 것은 홀로인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것을 견뎌내는 지성 이외의 다른 것일 수 없다는, 아주 평범한 상식을 재확인하게 된다. 저자는 바보같이 미래의 프로그래머들에게 인간의 두뇌를 과도하게 기계에 의존케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지 말아 달라고 애원한다. 나는 반대로 얘기하겠다. 아이폰의 텍스트 자동 완성 기능을 좀 더 똑똑하게 만들어 다오, 무척 짜증이 난다오! 인터넷의 빠름은 우리 문명의 빠름을 반영한다. 나는 그것을 거역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그에 휩쓸리고 싶지도 않다. 모두가 그 빠름에 허우적댈 때도 자기 중심을 잡고 차곡 차곡 성과를 뽑아낸 사람들이 있었지 않은가? 나는 그 사람들을 본받고 싶다. 가장 효율적인 미디어를 이용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간 기록을 시작하였다. 물론, 류비셰프에게 영감을 얻은 것이다.
*주간 통계를 기본으로 할 것. 그 밖의 잡다한 것은 해 나가면서 결정할 것. 어느 선까지 시간 기록을 이곳에 공개할지 여부를 포함하여.
*시간 기록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고 새 달이 시작되기도 했으니 지난 달 것을 몰아서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지난 달의 독서 기록. 포맷은 서명, 시작 날짜, 완료 날짜, 걸린 시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3/26, 3/28, 5.52
새로운 과학정신, 3/26, , 3.13
code name WS, 3/27, , 0.49
code name CU, 3/29, , 0.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