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nationalgallery.org.uk/paintings/salvator-rosa-philosophy)

어제 오전에 일이 잘 안되길래 털고 일어나 내셔널 갤러리에 갔다. 가볍게 머리를 식히고 싶었다. 런던이 이런 게 좋다. 가까운 거리에 있고 또 무료다. 다빈치 특별전이 열리고 있었다. 이건 유료다. 신경을 자극받고 싶지 않아서 그냥 넘겼다. 내년 이월까지라는 것만 확인해 두었다.

이 방 저 방 거닐면서 그림들을 둘러 보았다. 내 요즘 취향은 방에다 걸어두면 어울릴 만한 그림이라서... 추상화가 더 구미에 당긴다. 그래서 고전 작품들로 가득한 벽들을 따라 천천히 걸으면서 적당한 주의만을 기울이며 그림들을 둘러 보았다.

그러다 이 그림이 눈에 딱 들어왔다. 왜냐고? 스피노자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제목을 확인해 보니 "Philosophy"다. 게다가 저 손에 들린 라틴 문구는, "Be quiet, unless your speech be better than silence"란다...-.-

그대의 말이 말할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닥치고 있으라. 말할 가치가 없는 것임에도 말하기를 고집한다는 것은 그대가 비윤리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럿셀은 판단 이론에 대한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을, 몇 년이 지난 후 호된(severe) 비판이었다고 회고한다.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에 좌절하여 심지어 자살 충동을 느꼈다고 고백한다.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을 받고는 학문함에 있어 처음으로 자신이 정직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그리고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을 자신의 일생에서 가장 중대한 사건이었다고 고백한다. 그런데 이 모든 기록들은 그의 개인적 기록이나 서신에 나오는 이야기들이다. 공적인 기록에 있어서는, 심지어 그의 자서전에도 이 사건이 제대로 기술되어 있지 않다. 럿셀은 자신의 약점이나 실수를 드러내고 인정하는 데 전혀 게의치 않는 사람임에도 말이다. 럿셀이 얼마나 큰 상처를 입었을까... 이런 걸 생각하다보면 내 가슴도 아프다.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은 정확히 어떤 것이었을까? 나는 이 비판의 학적인 측면을 매우 분명하게 파악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 비판의 윤리적 측면도 어느 정도 확신을 갖고 추측할 수 있다.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은 아마 이런 식이었을 것이다. "선생님이 이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선생님에게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뜻입니다. 만일, 이 문제를 이해하고도 책을 계속 쓰겠다고 고집한다면 그건 선생님이 사악하다는 뜻입니다." 럿셀의 상처는 자신이 사악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음에서 오는 상처였으리라고 나는 추측한다. 이런 상처는 결코 치유되지 않는다.

비장하고 싶지는 않지만... 철학은 철학함 자체가 항상 문제시된다는 걸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보라, 저 그림이 무엇으로 보이는가? 모세의 십계명이다. 젠장, 보지 말았어야 할 그림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11-11-27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생님이 이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선생님에게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뜻입니다. 만일, 이 문제를 이해하고도 책을 계속 쓰겠다고 고집한다면 그건 선생님이 사악하다는 뜻입니다." 럿셀의 상처는 자신이 사악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음에서 오는 상처였으리라고 나는 추측한다.

이부분에서 빵~터졌네요..ㅋㅋㅋㅋㅋ 사악하다는 한 마디 때문에 연구를 포기하다니..그러고보면, 럿셀은 참으로 윤리적이었네요. 역시 럿셀은 정치를 하면 안되는 사람이었습니다..ㅎㅎ

weekly 2011-11-27 17:23   좋아요 0 | URL
아마 실제 그런 대화가 있었다면 비트겐쉬타인이 사용했을 단어는 "dishonesty"였을 겁니다. 당시의 무어나 비트겐쉬타인, 럿셀 같은 사람들을 특징짓는 단어는 아마도 지적 결백성, 혹은 지적 결벽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요즘 런던은... 최악이다. 매일 매일 정체 모를 싸이렌 소리가 끊이지 않고 소방차와 앰뷸런스가 수시로 질주하고 거리는 곧잘 주차장으로 변한다. 어제는 킹크로스역 입구가 폐쇄되었다. 이유는 모른다. 나는 두 정거장을 걸어갔다. 거리의 사람들도 신경이 날카로와 보인다. 어깨를 부딪힌 두 남자가 신경전을 벌이는 것을 본다. 나도 신경이 날카로와 진다. 이런 데서 어떻게 올림픽을 치른다고... 나는 습관처럼 혀를 찬다.

스타벅스에 공부를 하러 들어갔다. 흑인 아저씨가 다가와 남성 잡지를 사달라고 한다. 나는 필요 없다고 한다. 잡지엔 2 파운드 가격이 붙어 있는데 이 아저씨가 1 파운드만 달라고 한다. "1 파운드?" 나는 주머니 속에서 동전을 모아 1 파운드를 만들어 건네 준다. "근데, 이 잡지는 필요없어요." 흑인 아저씨가 기분 나빠하지 않을까? 슬쩍 걱정 한 자락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다. 그런데 흑인 아저씨가 주먹을 내쪽으로 내밀며 "에이 요~"를 하자고 한다. 나는 너털 웃으며 주먹을 부딪힌다. 나는 흑인들이 좋다.

지하철을 타고 집으로 향한다. 내 옆에 앉아 책을 읽고 있던 젊은 남자 하나가 갑자기 벌떡 일어난다. 할머니 한 분이 옆에 서자 양보를 하려고 그런 것이었다. 할머니가 함박 웃으며 다음 역에서 내리니 괜찮다고 한다. 날카로왔던 나의 신경이 깨끗이 풀어진다. 나는 이런 장면을 사랑한다.

워털루에서 기차를 타고 집으로 오는 길. 아뿔싸, 앤스콤의 책에서 내가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가 다루어 지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내가 Russellian doctrine이라고 이름 붙이고 나의 작은 논문 곳곳에서 강조를 하던 것이었는데... 강조의 강도를 줄여야 겠다. 대수로운 것이 아닌 듯 다루어야 겠다고 마음 먹는다. 촌스럽고 싶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럿셀의 "철학의 문제들"은 가장 성공적인 철학 입문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 이 책이, 분명히 인식론에 지나치게 치우친 감은 있지만, 철학의 보편적인 논점들을 객관적이고 균형감있게 소개해 준 책임에는 틀림없지 않는가? 아니다. 이 책은 럿셀 자신의 철학 체계를 스케치한 풍경화다. 이 책이 철학 입문서라면 럿셀 철학의 입문서일 뿐이다.

2). 그래도 이 책이 평이하고 쉬운 문장으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써진 것은 맞지 않은가? 아니다. 감춰진 맥락을 따라잡지 못하면 이해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그러므로 결코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3). 그래도 이 책이 애매한 용어를 자제하고 논란이 많은 부분은 배제하여 어느 정도 객관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 문제들만 다루고 있는 것은 사실 아닌가? 아니다. 내가 보기에 이 책의 주제는 acquaintance 이론이고 이 이론은 제5장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있다. 그럼에도 이 이론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전혀 명료하지 않다. 나는 이 이론을 이해하느라 많은 시간을 들였다. 그러다 다음과 같은 글을 읽었다.

“The difficulty with Russell’s principle [of acquaintance] has always been to explain what it
means. The principle is that a subject cannot make a judgement about something unless he knows which object his judgement is about. … the real dispute concerns what it is to have such knowledge” (Evans).

허탈함을 동반한 웃음을 짓지 않을 수 없었다.

4). 그래도 말이다. 아무런 스캔들도 일으키지 않고, 아무런 논란꺼리도 없는 것이 어떻게 철학의 고전이 되었겠나? 이 책이 이토록 오래 살아남았다면 객관/평이/명료의 한 얼굴과 그에 상치되는 또다른 얼굴을 함께 갖고 있어서이지 않을까? 그렇다. 고전은 항상 두 얼굴을 갖는다. 결론은 착하게 살지 말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내가 지금 3층 짜리 집을 짓고 있다고 생각했다. 시간이 없으니 1, 2, 3층을 동시에 올릴 수 밖에 없다고. 그런데 아마 그건 불가능한 일인 것 같다. 각 층을 동시에 올릴 수 있을지는 몰라도 1층부터 차례로 올리는 것보다 더 빨리 집을 지을 수는 없을 거란 이야기다.

나는 지금 혼란에 봉착해 있다. 책과 논문들과 키보드 사이를 방황하다 불쌍한 듀리당의 당나귀 신세로 하루를 마치곤 한다. 오늘도 조급한 마음에 이것 저것 사이를 헤매 다니다 문득 깨달았다.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걸. 다음부터는 이렇게 해야지 하고 마음 먹은 일은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일이라는 걸.

(그리고 기억하라. 너 자신을 믿어서는 안된다는 걸. 뮤즈를 믿어야 한다는 걸. 이건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몇 주 전에 런던 테이트 갤러리에 갔었다. 이 갤러리의 가장 유명한 소장품은 아마도 오필리아일 것이다. 이 그림 앞에 오래 있지는 못했다. 너무도 끔찍해서...

(럿셀을 읽다가 커피 한 잔을 들고 벽에 테이프로 붙여 놓은 세잔의 커다란 컬러 도판 앞에 섰었다. 컬러 도판의 색상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복제판으로라도 하나 사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번 테이트에 갔었던 기억이 났고. 세잔 것은 아니었지만 갖고 싶은 복제판이 하나 있었는데 값이 너무 비쌌었지. 그러다 오필리아 생각이 났다. 끔찍했었지. 몸 서리가 쳐지도록 끔찍하다.)


(이미지 출처: http://www.tate.org.uk/opheli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