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펼치면 (가능한 한 밤에 읽으시라, 고 작가는 썼다) 끝내기 전에는 덮기 힘들다. 다음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 궁금해서가 아니다. 주인공인 노시인은 이미 죽어버렸고, 그의 연적이었을 다른 남자도 죽었다. 그리고 한 "처녀"는 요망하게 실쭉거리며 웃는다. 읽는 나를 잡아 끄는 힘, 그 관능은 바로 문장이다. 소설이 담는 이야기 못잖게 매력적인 문장은 끝까지 독자를 놓지 않는다.  

이미 난 독한 일본 소설을 한 권 읽었기에 어떤 설정에도 놀라거나 질리지 않을 준비가 되었고, 원조교제를 떠올리게 하는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에도 코웃음을 치면서 책을 펼쳤다. 그리고 이들의 별난 사랑 이야기를 읽어 주리라, 그리고 그들이 그 어떤 인간의 근본적인 본능이나 애욕을 꺼내도 내려다 보아 주리라, 마음 먹었다.  

늙은이라 자신을 자책하는 이적요는 이제 일흔이 되었고, 합병증으로 죽음을 향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가 이야기 내내 풀어 내놓는 것은 젊은 사람의 문장이다. 그 나이의 절반인 서지우는 (소설 후반부 '호텔 캘리포니아'에서 나오는 따블, 따따블을 다시 생각해 본다. 소설에서 가장 화려한 부분.) 그 차이만큼 더 늙어 보인다. 이 두사람이 만드는 애증의 관계 속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 고 은교는 불평했지만, 그건 은교라는 인물이 존재감이 없기 때문이다.  

제목까지 안겨주었지만 (한달반 만에 폭풍같이 만들어 냈다는 이 이야기의 인터넷 연재시 제목은 <살인 당나귀>다) 이적요 시인에게 은교는, 젊은 생명력을 품는 "사랑"의 본질로, 한은교 개인과는 한참 떨어져 있다. 시인도 은교의 마지막 모습을 멀리 바라보면서 그걸 깨달았는지 "너를 너무 몰랐구나" 하고 독백한다. 그에게 은교는 "처녀", 한번도 가져보지 않았던 "내 집의 아내 (300)" 였다. 서지우도 그렇다. 처음엔 미지근한 관계였다가, 동침도 하고, 욕심도 부려본다. 그러다 두 남자가 합창으로 "사랑"을 부르짖는다. 그 사이사이, 은교는 무용을 좋아하며, 어려운 집안에서, 일하는 홀어머니 (에게 습관적으로 맞고) 대신 동생들을 거두기도하고, 아는 오빠한테서 가슴에 헤나로 그림도 그리게 하고, 재수도 안하고 대학으로 진학한다. (그리고 왕따인가 보다. 여자 친구가 하나도 없다) 아, 무엇보다 흰살에 매혹적인 가슴선, 허리선을 가졌고, 물론 긴 생머리를 흩날린다. 작가도 이 완벽한 십칠세 소녀가 민망했던지 노래만은 못하는 설정을 안겼다.

사랑인 것인가?
나는 잘 모르겠다. 

사랑이었다면, 이적요를 향한 서지우의 마음이었을까, 서지우를 거두던 이적요의 배려였을까. 그둘은 진정 애증으로 묶여있었다. 헤어지기에는 서로의 과거가, 그리고 치부가 부끄러웠을 게다. 글쓰기를 둘러싼 그 둘의 이야기가 더 발전되지 않고 은근슬쩍 은교에 대한 감정싸움으로 방향을 튼 것이 못내 아쉽다. 은교를 내세우고 여신으로 치켜올렸으니, 덩달아 젊음도 칭송되어야 했다. 그러니 늙음은 죄요, 추함이라는 대비가 만들어진다. 죽어가는 이적요의 존재감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다시 한번, 책 읽는 내내 노시인의 나이가 절감되는 순간은 노랑머리가 등장하는 그 한 장면 뿐이다.  아무리 은교가 "할아부지~" 하면서 콧소리로 부르고 큭큭 거려도, 그는 정정한 몸과, 문장으로 내 앞에 있었다. 

박범신 작가의 책은 <고산자>만 읽었다. 지루하게 읽었던 전작에 비해 생생하고 관능적인 이 책은 주제나 문학적 의의는 제껴두고 (이야기 속에도 경직된 문단에 대한 비판도 많다) 즐겁게 읽을 수 있다. 그런데 폭풍같이 읽어냈지만, 끝내고 나서도 남는 이 찜찜함은....음....내가 열일곱의 따블도 이미 넘었기 때문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뱀에게 피어싱
가네하라 히토미 지음, 정유리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라노 게이치로의 <책을 읽는 방법>에 인용되었던 부분이 매력적이었다. 사라진 애인을 향해서 원망을 내뱉다가 어금니를 꽉 깨물어서 부러뜨린후, 우적우적 씹어서 삼켜버리는 여 주인공. 

아, 이때 알아봤어야 했다. 이 책이 그저 예사스런 사랑이야기가 아니란 걸, 드러내놓고 줄거리를 말하기 뭣한 SM 장면이 넘친다는 걸. 

하지만 번역자의 해설에도 나오듯, 깔끔한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상황은 끔찍하고 외설스러운데 주인공의 말이 이해가 되는....지경에 이른다. 아, 내 친구는 이 책을 읽다가 던졌다는데, 던지지 않고 끝까지 읽어낸 나는, 그럼, 정상이 아니란 말씀? 

번역자는 사랑이야기 보다는 생에 대한 강한 집착과 열정을 읽었다고 했고, 루이의 등에 새기는 문신에서 그 답을 찾았다. 나는 그녀가 씹어 삼키는 어금니, 그리고 아마가 건넨 이빨 두개를 빻아 맥주와 함께 넘기는 장면에서 ....엉뚱하게 사랑을 읽었다. 

물론, 아마의 사랑은 그의 겉모습과는 너무나 동떨어지게 '정상'이었고, 그의 표현도 '어리숙'했지만, 그의 살과 살이 맞닿고, "누가 널 만지기라도 하면 죽여버릴래" 하는 일차적이고 유아적인 사랑은 (아, 그래서 그는 루이의 가슴에 매달렸겠지) 시바의 "널 아프게 하면서 난 흥분해"라는 사디스트 적인 사랑(이라고 부르기엔 뭣했지만, 결국, 그도 루이에게 결혼을 해버리고 싶다고.... 고백을 하니까) 과 비교되면서, 그 사이에서 정작 루이는 자기 자신 (살아내는 루이와 죽고 싶은 루이 둘다)에 대한 애정으로 어쩔줄 모른다. 혀에 꽂아 넣은 피어싱을 점점 더 굵은 것으로 바꾸고, 혀 끝을 갈라내어 뱀처럼 만들어 가는 과정을 그리면서, 몸을 바꾸는 것은 신의 영역일까, 그럼 생명을 주고 뺏는 신이 되는 걸까, 생각하는 루이.  

아, 뭔가, 나는 왜 루이의 이 느낌이 이해되는 건가? 번역자의 말처럼, 나도 변태인거야?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 데까지 가보자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962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억의집 2010-05-15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님, 방금 독자모니터 봤는데 무슨 책 했어요? 궁금하네~~ 요!
오늘 우리집은 완전 쌩쇼했어요. 흑흑 우리집 목욕탕 누수되서 아침부터 밑의층 아줌마 올라와서 물 샌다고.... 와서 보라고 해서 하루종일 누수땜시 난리도 아니였다는.
주인아줌마하고는 연락도 안 되고.
결국 제 돈으로 하기로 하고 대강 땜방 해 놓았는데
밑의 층 목욕탕 천장이 완전 나가서 수리해 달라고 하네요.
돈을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주인아줌마 핸폰이 일시정지더라구요. 어흐~~~
 
천사와 악마 - 확장판(2Disc) [일반판]
론 하워드 감독, 이완 맥그리거 외 출연 / 소니픽쳐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로마로 간 동생을 부러워하면서 티비를 틀었는데 마침! 어떻게 내 맘을 알고 이 영화가 나온다. 줄거리야 아주 친절하게 나쁜놈, 착한놈, 억울한놈을 갈라서 잘 보여주는데 (아, 난 처음부터 그 놈이 의심스러웠었거든요) 사건의 트릭이랄 것도 없는 것들도 자세하게 설명을 다 해주면서 지나간다. 그리고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는 로마 시내 관광 영상들. 1편 다빈치 코드에선 별로 파리 시내 관광 느낌이 없었는데 이번엔 더욱 친관객의 자세를 취한 듯.  

 나도 1편과는 달리, 영화의 내용과 구성에 대해 별다른 적의없이 맘 편히 먹고 봤다. 뭐 어때? 보는 동안 시계 안 보고, 하품 안 하면 됐지, 뭘 더 바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0-05-15 2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생이 로마로 여행갔어요?
그 놈이 누군지 모르겠지만 관객이 알아챌 정도면 뭐 문제가 있는 그 놈 캐릭터네요^^
 
서기 2095 블레이드 러너
블루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뭐, 이런 영화도 있더라. 얼핏 <왓치맨>과 <fifth element> 생각도 나고, 요즘 다시 시작한 <2010 v> 도 생각나고, 이집트 고대 신을 들먹이는 데 그래도 뭔가 있으려니 하고서 끝까지 봤더만, 막판까지 허거덕... - -;;  차라리 더한 활극을 보여주던가, 더 야하기라도 하던가!

다 보고 났더니 제목이 <블러드 러너> 가 아니라 <블레이드 러너>였던거다. 남편과 나는 언젠가 피 터지는 복수극이 펼쳐지려니 하고 공포물이 좀 색다르다고만 생각하면서 참았다.  결국, 우린 장르를 잘못 알고 엉뚱한 상영관에 앉았던 셈.

 


댓글(1)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0-05-15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차라리 야하기라도 하면 눈이 호강이라도 하죠! 남자주인공의 몸매가 식스팩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