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 글을 쓰지 않으니 몇줄 감상을 남기기도 어색하다. 하지만 쓰지 않으면 머리와 마음에서도 곧 사라져 버릴 것 같은 기분에 짧게 쓴다.
'맨스필드 파크'는 기대 이상으로 재미있게 읽었다. 읽으면서 제인 오스틴의 주제, 결혼과 재산에 몇번이나 팩폭을 당했는지 모른다. 이백 년 전에도 이랬는데 난 뭔 배짱으로 21세기를 낭만주의자로 살고 있었는지. 남는건 쌓인 책과 블로그 뱃지 뿐. 흑. 이 소설, 19세기 초 속세의 가장 중심에 있는 노리스 부인 만큼 찰지고 꾸밈 없이 속내를 드러내는 사람이 없다. 바로 이 인물에 집중하며 줄거리를, 그러니까 이십대 초반의 애송이들의 사랑 이야기를 읽어갔다. 애들이 몸은 냅두고 말로만 사랑을 합디다.
나보코프의 해석과는 달리 (이래서 비평서만 믿지 말고 원전을 만나야) 크로포드 남매는 완전 악의 화신은 아니다. 적어도 (전쟁과 평화에 나오는) 엘렌과 아나톨 쿠라긴 남매와는 매우 다른 남매다. 그들은 좀더 빠른 현실 감각과 제대로 인생을 즐길줄 아는 사람들이다. 이 소설에서 구미호처럼 마지막 마무리를 못해 흐트러지고말지만. 그저 헨리 크로포트에게 쓸쓸한 마음이 들....지만 결혼 3년 후를 상상하면 미리 쪽박을 깬 것이 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 챕터들에서 후루루 주인공 패니가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일이 벌어졌는지 설명하는 저자의 쨍한 목소리가 많이 어색했고 (차라리 우리의 노리스 이모를 불러오지 그랬어요) 좋게 좋게 주인공 중심으로 이야기를 급하게 마무리 하는 통에 열심히 소설을 따라가는 유부만두는 맘이 조금 식어버렸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이 소설은 매우 재미있고요, 결혼과 돈 타령에 아침드라마 같고 지겨운 인상을 줄 지언정, 그 사이사이 묘사나 인물들 사이의 갈등, 그 텐션, 그 안 보는 척, 배려하는 척, 모르는 척, 하는 온갖 척들을 읽으면서 '아, 나는 독자라서 다행이야' 라는 느낌이 들다가 ... 아 그래, 이백 년 전에도 중요했던 돈과 지위를 나는 왜 아즉도 모르고 이리 허덕대며 살고 있을까, 라는 냉혹한 깨달음을 만나게 됩.... 하지만 이 씁쓸한게 또 좋...다??

쨋든, 재밌어요. 노리스 이모가 너무 낯익어서 징그럽게 좋았고, 크로포드 남매는 이라이자 니일 남매와 달리 친해지면 재밌을 사람들이더라고요. 반면 에드워드는 판에 박힌 공무원 스타일이라 (이 시대의 교구 목사는 어쩌면 7급 공무원쯤 아닐까 생각합니다) 마지막에, 끝에 가서야 여자의 성품이나 마음을 알아보는, 그러면서 이야기 듣는 주인공 패니 생각은 전혀 안해주는 (이눔아, 패니의 기분을 읽었어야지) 무덤덤 사나이 입니다.
짧게 남긴 이야기, 맨체스터 ... 아니 맨스필드 파크 재미있습니다. (설득은 그에 비해 노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