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400. 검피 아저씨의 뱃놀이 (존 버닝햄)

애들은 싸우기 마련, 고양이는 뛰고, 강아지는 고양이를 쫒고, 닭은 푸드덕 거리고, 돼지는 더럽히고, 소는 쿵쿵대고, 다 그러기 마련. 그러다 배는 뒤집어지고 홀딱 젖어서 강가까지 헤엄치고. 따스한 햇볕에 말린다음 티타임을 가지고. 그리고 집으로 각각 돌아가면서, 내일 또 만나~

어른인 나도 이렇게 기분이 좋아지는데! 아이들은 두 말하면 잔소리!.... 아, 그래도 나는 아이들한테, 게임 그만해 공부해.... 잔소리를 하는..... 아름다운 여름 방학...

 

255/400. 행복한 우리 가족 (한성옥)

웃는 게 웃는 게 아니다. 이런 모습, 이런 '행복한' 가족의 모습은 너무나 흔하(리라 믿지만) 지만, 겉으로는 아닌척 하고 살고있다. 작은 실수, 작은 무시, 그리고 작은....결례들. 어른들의 이런 모습을 아이들은 배우고 보고 따라하겠지. 찔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53/400. 조선기담 (이한)

역시나, 이번 책도 야한 표지에 저렴한 제목이라 슬펐다. 하지만 내용은 저자가 꽤 고심해서 추린 게 분명했다. 표지만큼 선정적인 내용이 아니다. (그래서 좋다고요...) 조선시대에도 어린이나 여인, 그리고 하층민들은 사람 취급을 못받고 억울하게 힘겹게 살았구나. 힘없는 이가 말을 가지지 못하고 자기 이야기를 이런 식으로 피해자의 간략한 몇 줄로 남아서 슬펐다. 성균관 학자 두명의 성추행 사건 이야기는 언뜻, 현대적으로도 읽혀서 흥미로웠다. 다만, 책 마무리가 성급한 느낌이다. 저자가 조선기담 책을 정리하는 말 한 쪽이라도 해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운 마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50/400. 새벽의 인문학 (다이앤 애커먼)
아주 오랫동안 서너 장씩 읽어서 이제서야 완독. 줄거리 없는 글이라 처음엔 어색했지만 새벽빛과 공기, 새소리 곤충에서 이런 풍부한 - 몇억년 지구의 역사와 인류의 문명 - 이야기가 튀어나오다니 그저 신기하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다시 읽고싶은 책.

251/400. 책읽는 강아지 몽몽 (최은옥)
아! 귀엽고 사랑스럽고 존경스러운 몽몽이! 시리즈 동화책을 읽고 그 다음 권을 찾는 강아지!

252/400. 축구왕 차공만(성완)
솟대가 그런거인걸 난 몰랐네. 공만이의 고민에 우리집 막내가 겹쳐보여서 좀 짠 했다...깔끔하고 재밌는 이야기. 성완 샘 책을 더 찾아봐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5-07-27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벽의 인문학은 저도 다시 읽고 싶은 책이에요!! 그녀의 박학다식이 부러운데,,, 전 노력을 안 하니~~~그저 부러운 것으로...^^*

유부만두 2015-07-27 16:31   좋아요 0 | URL
아우~ 저도 그저 부러워 하고, 그 멋진 책을 즐기는 것에 만족하려구요.. 정말 멋진 책이에요.
 

도서관에서 만난 그림책들. 시각장애아들을 위해서 얇은 점자 플라스틱 판이 부착되어 있어 특이했다. 볼 수 없어도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니 다행이다 싶다가, 아 어떤 아이들은 이 예쁜 그림들을 못 보는구나 하는 생각에 미안하고 슬프기도 했다...

 

245/400. 지각 대장 존 (존 버닝햄)

그러니까요, 선생님. 우리 동네에도 사자가, 거센 파도가 있어요. 악어 때문에 지각할 수도 있고요. 아주 깜빡 우리 엄마가 소풍 날을 잊어서 과자만 가져갈 수도 있어요. 그래도 내 친구들은 김밥을 나눠준다고요. (라고 막내가 몇 년 전 어린이집 추억을 잊지도 않고 말해줍니다;;;) 그렇다. 세상엔 별별일이 일어난다. 그러니 지각 했다고 300번, 400번, 500번 씩 벌을 주는 선생님 너무하셨음요. 마지막 장면의 존의 복수는 아주 쿨했음.

 

246/400. 한이네 동네 이야기 (강전희)

귀여운 동네 그림, 귀여운 한이랑 강아지가 싸돌아다니는 골목 그림은 초등학교 2학년 책 (아마도? 3학년이 된 녀석에겐 너무나 먼 과거라 다 까먹으신 모양)에 실렸는데, 아기자기한 생활의 모습이 그림을 구석구석 보게 만든다. 아, 이런 책이 점자그림책이라니.. ㅠ ㅠ

 

247/400. 책이 정말 좋아 (주디 시라 글/ 마크 브라운 그림)

동물원에 책대여점이 가서, 각 동물들이 책을 보고, 즐기고, 자신의 시와 책을 만들게 까지 된다면! 얼마나 멋질까, 마는..... 동물들이 틀어박혀 책만 읽을까 살짝 걱정도 된다고. 귀엽다. 그림 속 책 제목들에 살아있는 디테일도 멋짐.

 

248/400. 공짜표 셋 주세요! (홍종의 글/국설희 그림)

이제 예순여섯이 된 동갑내기 할아버지 두 분과 내일이면 일곱살이 될 꼬마가 전철 공짜표로 오이도 까지 다녀오는 이야기. 공짜표, 라는 데 창피하다고 느꼈던 할아버지가 (사람이 많아서 오랫동안 서서 전철을 타는 할아버지 모습이 의외) 돌아오는 길엔 씩씩하게 '노인'임을 인정하는(?) 장면도 인상적이다.

 

249/400. 비는 사과 소스를 만들어요 (줄리언 쉬어 글/마빈 밀렉 그림)

클래식한 그림과 노랫말. 원어로는 말놀이가 있었겠지만 우리말로는 살짝 겉도는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44/400. 집으로 가는 길 (히가시 지카라)
아스팔트 위의 흰 선, 횡단보도의 흰선을 따라서 집으로 `혼자` 용감하게 가는 초등 저학년생 주인공. 이 꼬마의 상상 속엔 저 흰 선들이 깊은 골짜기에 솟아 있는 생명의 길이다. 맨 마지막 절벽에 다다랐을 때 나타나는 엄마! 우리집 꼬마는 이제 3학년인데도 아직 이 그림책을 좋아한다. 자기도 이런 상상한다고, 집에 올 땐 절대 빨간 벽돌은 안 밟는다고. 실은 엄마도 어릴 때 그랬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