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과 즐거움을 빼버린, 너그러움과 행복감을 제외한 모든 감성이
유선의 마음속에서 미친 파도가 되어 출렁거린다.
단단하게 비끄러맨 의식의 틈으로 그것들은
어느 순간 해일처럼 터져 나와
유선을 죽도록 외롭게, 죽도록 슬프게, 죽도록 부끄럽게 몰아붙인다.
(…) 조금만 몸을 기울이면 그것들은 함부로 쏟아져
살을 베고 발등을 깨고 핏줄을 잘라놓을 것 같다.
(…) 점액질의 잠 속으로 가라앉아 버리면 끔찍한 가려움조차 힘을 못 쓰듯
머릿속에서 회오리처럼 맴도는 상처의 조각들도 같이 잠들어줄 것이다.
어두움, 차가움, 배반당한 정절, 만져지지 않는 존재감,
익숙했던 만큼 낯설어져 버린 남자, 지독하게 가려운 육체,
가슴에 가득 찬 그것들 위로 미지근한 밥을 밀어 넣었다.
밥을 씹을 때마다 몸 안에 고인 그것들이 제 존재를 주장하며 출렁거렸다.
사랑이란 어떤 것에 대해서는 너무 예민하게,
어떤 것에 대해서는 너무 둔감하게 만들어버리는
감정의 알러지 상태 같은 것이니까.
(…) 가려움증이 사라진 건 아니다. 잠이 질겨진 것뿐이다.
그저 끈적거리고 질긴 잠이 백혈구처럼 가려움을 감싸고 녹이고 삼켜버렸다.
약이 주는 잠은 폭염 속 한낮의 아스팔트처럼 뜨겁고 끈적거린다.
가려움뿐만 아니라 유선의 모든 감각을 망가뜨려 주었다.
미쳐버릴 것 같은 불면도, 불면이 새끼 치는 깨진 유리 조각 같은
감정의 파편들도 고요히 덮어주었다.
(…) 자신이 망설이는 건 커피의 온도가 아니라는 생각을 했지만
자잘한 얼음알갱이가 든 차가운 컵을 빼드는 순간,
유선은 뜨거운 커피와 코끝에 번지는 온기를 그리워하고 있었다.
… 유선은 제 속에 갈피를 잡을 수 없는 그런 뜨거움과 차가움이
제각각의 온도를 유지한 채 엉겨 있음을 바라본다.
“… 질문이란, 비록 불완전하더라도
어딘가에서 대답을 찾을 수 있는 걸 말하겠지요.
이럴 땐 의사나 보호자나
질문이 아니라 딜레마에 부딪치는 거죠.
끝내 답을 찾을 수 없는.“
- 나의 피투성이 연인, 정미경.(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