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롯의 거미줄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35
엘윈 브룩스 화이트 지음, 가스 윌리엄즈 그림, 김화곤 옮김 / 시공주니어 / 200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이야기는 작지만 모든지 할 수 있는 특별한 거미 샬롯이 무녀리 돼지 윌리를 구하는 이야기이다. 돼지 윌리를 처음 구한 이는 샬롯이 아니었다. 처음 구한이는 돼지 윌리가 태어난 집의 아이 펀이었다.
무녀리 돼지는 작고 약해서 어차피 죽을 것이라며 잡으려는 아빠에게 펀은 말한다.
내가 작고 약했다면 나도 버렸나요?
이 책에서 내내 강조하는 것은 생명의 소중함이라고 느꼈다. 너무 작고 약하게 태어나서 당연하게 죽게 되는 무녀리 돼지도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얼마나 애정을 갖고 보살피느냐에 따라 아주 대단하고 근사하고 특별한 돼지가 될 수 있다.
쓸데없는 것을 주워모으고 남의 일엔 도통 관심없어 보이는 작은 쥐도 꼭 필요할 때가 있기 마련이다.
쓸모없는 것은 없고 저마다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가며 그것을 소중히 여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이책은 아주 재미나게 알려주고 있다. 거미가 거미줄로 글씨를 쓸수 있을까? 글씨를 쓸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마음을 아주 적절하게 이용하여 거미 샬롯은 거미줄글씨로 돼지를 살려낸다.
작은 거미가 어떻게 돼지를 살릴 수 있을까? 그러나 무녀리 돼지 윌리는 샬롯을 믿고 의지한다.
믿음은 모든 것을 이뤄낼 수 있지 않을까?
샬롯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서도 돼지 윌리를 응원하였고 돼지 윌리는 샬롯의 알을 쥐의 도움으로 헛간으로 옮긴다.
샬롯은 말한다 자신이 하는 가장 휼륭한 그리고 멋진 일은 바로 알을 낳는 일이라고.
윌리는 마치 엄마의 마음으로 알들을 지켜보며 돌본다. 그리고는 회색거미 샬롯의 딸들과도 친구가 된다.
한해 살이 곤충들의 작고 여린 생명과 끊임없이 그 소중한 생명을 이어나가는 위대함을 느낄수 있고 동물과 하나되는 마음을 느낄수 있어 아이들에게 정말 좋은 동화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水巖 >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일시 2006.04.21~2006.05.13
관람시간 화-일 11:00am~06:00pm / 월요일 휴관
  장소 갤러리 팩토리
  문의 Tel. 02-733-4883 www.factory483.org
  티켓  

오프닝 리셉션:

2006년 4월 21일 (금) 오후 6시



최슬기와 최성민은 '슬기와 민'이라는 이름의 듀오로 지난 5년간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다.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전은 2005년 귀국한 이 듀오가 한국에서 갖는 첫 전시회다.

시리얼 넘버를 연상시키는 전시명은 타이포그래피와 디자인에 대한 슬기와 민의 태도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무엇보다, 그들은 시스템에 대한 매혹을 숨기지 않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모든 시스템이 지니는 외견상의 합리성과 내적 강박의 긴장에 대한 매혹, 그리고 시스템이 현실 세계에서 어쩔 수 없이 노출시킬 수밖에 없는 균열에 대한 관심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그들의 작업이 체계가 강조되는 타이포그래피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자연스럽기도 하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분야에 내포된 긴장과 불안정성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의식적이기도 하다. 그들이 즐겨 채택하는 접근법은 '사고(accident)를 체계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의 고안'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를 통해 슬기와 민은 '삶이 지닌 모순과 어색함, 임의성과 우발성'을 포용하는 디자인을 창조하려 한다.

아울러, 슬기와 민은 이해할 수 없는 기호들에도 큰 관심을 갖는다. 디자인이 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주는 행위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암호들'에 대한 관심은 일견 적절치 않아 보인다. 그러나 눈을 크게 뜨고 보면, 우리 주변에는 너무나 많은 암호들이 존재한다. 우유곽에서 자동차나 건물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인공물에는 누군가의 기능적 필요에 의해 새겨진 문신과도 같은 암호들이 숨겨져 있고, 우리는 그것들의 거의 대부분을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슬기와 민은 그러한 암호들에 대한 나름의 미적 태도를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다. 우유곽에 깨알 같은 크기로 인쇄되어 있는, 불가해한 숫자와 알파벳 문자의 조합은, 그들이 보기에 상상을 자극하는 현대 문명의 하이쿠와도 같다. 우리는 그 암호의 의미를 알지 못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그 의미가 명백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더욱 해석의 욕구를 자극하는 하이쿠라는 것이다.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전에서는 그러한 그들의 접근법이 물질적으로 구현된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그간 국내외 단체전과 지면을 통해 간헐적으로 소개되어온 그들의 작업들과 아울러, 이 전시를 위해 제작한, 일상에 숨겨진 암호와 코드들을 탐구하는 신작 시리즈 역시 선보일 예정이며, 전시기간 동안 슬기와 민이 디자인한 한정수량의 책과 포스터, 배지등이 판매될 예정이다.


[전시 예정 작품]

1) 슬기와 민이 지난 3년간 디자인한 미술, 건축, 문화 서적 10여 권
2) 영상 매거진 : '보이지 않는 힘'을 주제로 한 영상 매거진. 1호 '스텔스', 2호 '현상수배자', 3호 '박테리아', 4호 '마스트리히트의 유령들'
3) 가변적 영상 지도 : 언론 매체의 세계관을 반영하여 다양하게 변형되는 세계지도
4) 슬기와 민이 디자인한 웹사이트 프로젝트 5-6점
5) 포스터 시리즈 Functional Typography(신작)
6) 배지 시리즈 Button Buttons(신작)


[슬기와 민 약력]

최슬기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서, 최성민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각각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두 사람 모두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거기서 만난 인연으로 2001년부터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

2003년에서 2005년까지, 그들은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의 얀 반 아이크 아카데미에서 리서처로 활동했다. 그 기간 동안 슬기와 민은 벨기에 뢰벤 시의 도시 문화 아이덴티티에 대한 리서치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얀 반 아이크의 다양한 출판물과 홍보물을 디자인하는 한편, 댄€마이클슨•타마라 말레틱과 함께 헤이그 스트롬 미술관의 전시회 퓨즈드스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를 기획하고 디자인했다. 2005년 한국에 돌아온 그들은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슬기와 민의 작업은 아이디어 (일본), 아트 앤드 디자인 (중국), 아이템스 (네덜란드)를 위시한 디자인 전문지와 나나 프로젝트 3 (한국) 등의 서적에 소개되었고, 그들이 디자인한 책들은 네덜란드의 우수 서적 디자인 2004와 미국의 AIGA 50 북스 / 50 커버스 2004에 선정되어 전시된 바 있다.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선에서 활동하는 슬기와 민은 퀵샌드 (데 아펠 미술관, 암스테르담), 이것은 러브레터가 아닙니다 (마로니에 미술관, 서울), 평행적 삶 (프랑크푸르터 쿤스트페어라인) 등의 현대미술 전시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출처 : 아트센터

 

갤러리 팩토리  가는 길 :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758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水巖 >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일시 2006.04.21~2006.05.13
관람시간 화-일 11:00am~06:00pm / 월요일 휴관
  장소 갤러리 팩토리
  문의 Tel. 02-733-4883 www.factory483.org
  티켓  

오프닝 리셉션:

2006년 4월 21일 (금) 오후 6시



최슬기와 최성민은 '슬기와 민'이라는 이름의 듀오로 지난 5년간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다.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전은 2005년 귀국한 이 듀오가 한국에서 갖는 첫 전시회다.

시리얼 넘버를 연상시키는 전시명은 타이포그래피와 디자인에 대한 슬기와 민의 태도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무엇보다, 그들은 시스템에 대한 매혹을 숨기지 않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모든 시스템이 지니는 외견상의 합리성과 내적 강박의 긴장에 대한 매혹, 그리고 시스템이 현실 세계에서 어쩔 수 없이 노출시킬 수밖에 없는 균열에 대한 관심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그들의 작업이 체계가 강조되는 타이포그래피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자연스럽기도 하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분야에 내포된 긴장과 불안정성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의식적이기도 하다. 그들이 즐겨 채택하는 접근법은 '사고(accident)를 체계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의 고안'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를 통해 슬기와 민은 '삶이 지닌 모순과 어색함, 임의성과 우발성'을 포용하는 디자인을 창조하려 한다.

아울러, 슬기와 민은 이해할 수 없는 기호들에도 큰 관심을 갖는다. 디자인이 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주는 행위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암호들'에 대한 관심은 일견 적절치 않아 보인다. 그러나 눈을 크게 뜨고 보면, 우리 주변에는 너무나 많은 암호들이 존재한다. 우유곽에서 자동차나 건물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인공물에는 누군가의 기능적 필요에 의해 새겨진 문신과도 같은 암호들이 숨겨져 있고, 우리는 그것들의 거의 대부분을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슬기와 민은 그러한 암호들에 대한 나름의 미적 태도를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다. 우유곽에 깨알 같은 크기로 인쇄되어 있는, 불가해한 숫자와 알파벳 문자의 조합은, 그들이 보기에 상상을 자극하는 현대 문명의 하이쿠와도 같다. 우리는 그 암호의 의미를 알지 못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그 의미가 명백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더욱 해석의 욕구를 자극하는 하이쿠라는 것이다.

<슬기와 민, 팩토리 공육공사이일-공육공오일삼> 전에서는 그러한 그들의 접근법이 물질적으로 구현된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그간 국내외 단체전과 지면을 통해 간헐적으로 소개되어온 그들의 작업들과 아울러, 이 전시를 위해 제작한, 일상에 숨겨진 암호와 코드들을 탐구하는 신작 시리즈 역시 선보일 예정이며, 전시기간 동안 슬기와 민이 디자인한 한정수량의 책과 포스터, 배지등이 판매될 예정이다.


[전시 예정 작품]

1) 슬기와 민이 지난 3년간 디자인한 미술, 건축, 문화 서적 10여 권
2) 영상 매거진 : '보이지 않는 힘'을 주제로 한 영상 매거진. 1호 '스텔스', 2호 '현상수배자', 3호 '박테리아', 4호 '마스트리히트의 유령들'
3) 가변적 영상 지도 : 언론 매체의 세계관을 반영하여 다양하게 변형되는 세계지도
4) 슬기와 민이 디자인한 웹사이트 프로젝트 5-6점
5) 포스터 시리즈 Functional Typography(신작)
6) 배지 시리즈 Button Buttons(신작)


[슬기와 민 약력]

최슬기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서, 최성민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각각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두 사람 모두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거기서 만난 인연으로 2001년부터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

2003년에서 2005년까지, 그들은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의 얀 반 아이크 아카데미에서 리서처로 활동했다. 그 기간 동안 슬기와 민은 벨기에 뢰벤 시의 도시 문화 아이덴티티에 대한 리서치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얀 반 아이크의 다양한 출판물과 홍보물을 디자인하는 한편, 댄€마이클슨•타마라 말레틱과 함께 헤이그 스트롬 미술관의 전시회 퓨즈드스페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를 기획하고 디자인했다. 2005년 한국에 돌아온 그들은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슬기와 민의 작업은 아이디어 (일본), 아트 앤드 디자인 (중국), 아이템스 (네덜란드)를 위시한 디자인 전문지와 나나 프로젝트 3 (한국) 등의 서적에 소개되었고, 그들이 디자인한 책들은 네덜란드의 우수 서적 디자인 2004와 미국의 AIGA 50 북스 / 50 커버스 2004에 선정되어 전시된 바 있다.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선에서 활동하는 슬기와 민은 퀵샌드 (데 아펠 미술관, 암스테르담), 이것은 러브레터가 아닙니다 (마로니에 미술관, 서울), 평행적 삶 (프랑크푸르터 쿤스트페어라인) 등의 현대미술 전시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출처 : 아트센터

 

갤러리 팩토리  가는 길 :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758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주까지 마치려던 논술원고를 반밖에 못한 탓에 오늘내일 죽었다.

급고 마치면 쉬려니까

한참 전에 해 주었던 원고 수정이 들어왔다

수요일까지 해달라고 하는데 허걱이다. 불가능한 일

난 몰라

난 몰라

아무래도

논술이 다 나는 여름쯤에는 한 두어달 아무것도 안하고 쉬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게 얼마만인가?

서재 순위 30위안에 들기란 언제부터 하늘에 별따기였다

그런데 내 순위가 20권 안이니

어찌 기버하지 않을 수가

하지만 왜 적립금이 보이지 않는 걸까?

이상하다 뭔가 잘못된 게 분명하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비돌이 2006-04-10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립금은 하루쯤 지나서 나오는거 아닌가요? 암튼 축하해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하늘바람 2006-04-10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요? 감사합니다.

물만두 2006-04-10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하늘바람 2006-04-10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그런데 만두님은 적립금 받으셨나요? 혹시 제가 서재순위를 잘못본게 아닌가 싶어요

물만두 2006-04-10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립금은 오후나 내일 멜로 알려줍니다^^

하늘바람 2006-04-10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전에는 아침에 바로 보였는데 그렇군요. 아 정말 오랫만이라 흥분됩니다. 호호 사소한 걸로 기뻐하는 제 모습이 우습네요

울보 2006-04-10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축하,,

울보 2006-04-10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05635

하늘바람 2006-04-10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보님 어인 암호십니까? 혹시 방문자?

실비 2006-04-11 0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카추카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