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헨쇼 선생님께 ㅣ 보림문학선 3
비벌리 클리어리 지음, 이승민 그림, 선우미정 옮김 / 보림 / 2005년 3월
평점 :
며칠전 어느 동화작가 선생님께 편지를 보낸 적이 있었다.
공교롭게도 그 뒤 읽게 된 이책에서 난 또하나의 리보츠였음을 알았다.
너무나 비슷하게 선생님의 한 작품을 재미있게 읽었다고 말하며 나도 그런 글을 쓰고 싶다고 했다.
리보츠 역시 그렇지 않은가
다른 점은 리보츠는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수 있을까를 물었는데
나는 그냥 원고를 보내드려도 되냐고 들이댔다.
리보츠는 헨쇼 선생님이 바쁘다고 하여 앞으로 글을 써도 봐달라는 부탁은 드리지 않을 테니 걱정말라고 한다. 어린 리보츠도 바로 아는 이런 걸 난 왜 몰랐을까
그리 친하지도 않은 사람의 글을 읽고 평해준다는게 쉬운 일인가
우리 동기 끼리도 오랜 신뢰와 애정이 싸여서 가능한 일을.
아 진작 읽을 걸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그런 실수를 하지 않았을것을.
헨쇼 선생님은 리보츠의 편지에서 보면 좀 퉁명스러운 선생님처럼 보인다.
동화를 왜 쓰냐는 질문에
책을 다 읽어서 더 이상 읽을 게 없기때문이라는 답
마치 책먹는 여우가 책을 먹기위해 책을 쓰듯 말이다.
지금쓰고 있는 동화의 제목은 뭐냐는 질문에 "누가 알겠어."
하하 얼마나 재미있는 대답인가
그 답을 읽는 즉시 나는 이 책이 범상치 않다는 걸 느꼈다.
자상하고 따뜻하고 그래보이는 산생님이 아닌 툭툭거리고 마치 귀찮아하는 듯한 선생님
하지만
틈틈히 멋진 엽서를 보내고
리보츠에게 많은 질문을 하여 리보츠가 열심히 답을 하며 글을 쓰게 만들고
리보츠에게 글쓰는 방법을 조금 씩 제시해 주는 이보다 더 친절한 선생님이 어디있겠는가?
나역시 동화작가선생님은 내게 두 차례 메일을 보내셨다.
읽어 주지 못해 정말 미안하다는 것과 그렇게 글을 보내는 사람 많다는 것. 그리고 일단 공모전에 계속 내보라는 것.
그 말만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난 안돼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헨쇼 선생님은 리보츠에게 리보츠 나이일때 글쓰기 어려웠다는 답장을 보내 리보츠를 깜작놀라게 한다.
이야기 속 등장인물은 문제를 해결하든지 아니면 어떤 식으로 변해야 한다.
정말 뻔하면서도 글쓰는 사람이 놓치기 쉬운 것을 잘 알려준 것이다.
리보츠는 이에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을 더 명확히 한다.
나보다 낫다는 생각이 들어 좀 창피했다.
편지 속에서 보이는 리보츠는 당장 달려가서 안아주고 플 만큼 착하고 그 생각이 귀엽고 안스러운 아이다.
부모의 이혼으로 엄마와 함께 살면서 늘 아빠를 귀여워한다.
도시락 반찬 도난 경보기를 만든 아이를 어떻게 귀여워 하지 않을까
아빠가 전화하기를 기다리고 아빠의 선물을 기다리고 트럭 운전사인 아빠가 가까운 곳을 지나가길 바란다.
아빠 생각만 하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아이.
리보츠는 그렇게 그리움을 통해서 성장해 간다.
리보츠가 어린이 글쓰기에 가작을을 하게 되어 안젤라 배저 선생님을 다른 친구와 함께 만나러 간 이야기는 너무 생생하여 마치 내가 리보츠인 듯한 착각을 들었다.
갈길이 희미할때 나보다 앞선 길에 선 이가 해주는 한마디는 커다란 힘을 준다.
"어떤 상을 받았느냐는 그리 중요한 게 아니야."
늘 도전도 제대로 못해보거나 해도 떨어지는 내게 쿵하는 소리가 들렸다.
나는 상을 받기 위해 글을 쓰고 싶어했던 것은 분명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은 어떻게 하면 상을 받을 수 있을까를 공모하니 참 안타깝고 속상하다.
안젤라 배저 선생님은 헨쇼 선생님과는 달리 상냥한 분이다.
리보츠에 온갖 말로 용기를 준다.
너는 다른 사람을 흉내내지 않고 네 자신 그대로, 가장 너답게 글을 썼잖아. 그게 바로 네가 좋은 작가가 될 수 있다는 증거야.
작가의 말은 리보츠에게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은 말이었는지 자세히 적어두고 싶다고 했다.
나 역시 그렇다
너무나 소중한 말 같아 밑 줄치고 두고두고 들여다 보고 싶었다.
가족간의 사랑과 성장기의 고민과 글쓰는 과정의 고민이 생생히 살아있는 이 책을 나는 채 다 읽기도 전에 여기저기 광고하기에 이르렀다.
아마도 읽는 내내 내가 리보츠가 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