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프레이야 > 이쁜 순수우리말 시어

* 까치노을 - 풍랑이 일 때 솟아오르는 하얀 물거품

* 구슬눈물 - 구슬처럼 둥글게 맺힌 눈물

* 다소니 - 사랑하는 사람

* 다손말 - 사랑하여 하는 말

* 명주바람 - 부드럽고 화창한 바람

* 미리내 - 은하수

* 발편잠 - 마음 놓고 편안히 자는 잠

* 보득솔 - 작달막하고 가지 많은 어린 나무

* 살싸하다 - 맵고 아리다

* 싸울아비 - 무사

* 작달비 - 굵고 거세게 내리는 비

* 장어구름 - 모양이 길고 빛깔이 몹시 검은 구름

* 할림비치 - 눈흘기기를 잘 하는 사람

* 희나리 - 채 마르지 아니한 생나무 장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프레이야 > [퍼온글] '못'의 띄어쓰기

'못'의 띄어쓰기

"술을 못 마신다/ 잠을 통 못 잤다"에서 '못'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다. 그렇기에 일반적으론 서술어를 꾸며 주면서 띄어 쓴다. 그러나 '못나다, 못마땅하다, 못생기다'처럼 완전히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은 붙여 쓴다.

'못' 뒤에 '하다, 되다, 쓰다'가 올 경우는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두 단어가 하나의 합성어가 돼 뜻이 변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노래를 못하다/ 음식 맛이 예전보다 못하다/ 잡은 고기가 못해도 열 마리는 된다/ 바빠서 동창회에 가지 못했다/ 보다 못해 간섭을 하다"처럼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거나 할 능력이 없다, 비교 대상에 미치지 아니하다, 아무리 적게 잡아도'의 뜻을 나타내거나, '-지 못하다, -다(가) 못해' 꼴로 쓰일 때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그러나 "어제 병이 나서 일을 못 했다"처럼 단순히 어떤 동작을 할 수 없다는 부사의 뜻이 살아 있는 경우는 별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 쓴다.

"못되게 굴다/ 그 일이 못된 게 남의 탓이겠어"처럼 '성질이나 품행 따위가 좋지 않거나 고약하다'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즉 잘못되다의 의미'일 때는 한 단어지만 "한 시간도 채 못 돼서 돌아왔다"처럼 단순히 '되다'를 부정하는 경우에는 두 단어다.

"얼굴이 못쓰게 상하다/ 그는 너무 게을러서 못쓰겠다"처럼 '얼굴이나 몸이 축나다, 옳지 않거나 바람직한 상태가 아니다'의 뜻일 때는 붙여 쓰고, "컴퓨터가 고장나 못 쓰게 되었다"처럼 '쓰지 못한다'의 뜻이면 띄어 쓴다.

중앙일보 한규희 기자<khhan@joongang.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프레이야 > 깎아내기

갈수록 태산이다.

나만의 색깔을 살리자니 교수님의 가지치기가 매섭다.

살리고 싶은 구절과 비유와 단락들이 많이 잘려나간다.

일반적이고 순탄한 길을 따라가는 주제표현을 좋아하시는 교수님의 성향에 때때로 반기를

들고는 싶은데 아직은 역부족이다.

쳐내야한다. 깎아야한다. 줄여야한다. 말, 말, 말... 삼가야한다.

그만큼 내실을 길러놓고 깊은 눈도 갖춰놓고, 모든 면에서 너무 앞지르려는 욕심도 버려야겠다.

하기야 욕심대로 잘 되지도 않는 부족함이 내 욕심을 부추기는 면이 있지만...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나은 내가 되고 싶다. 나의 경쟁자는 바로 나..

오늘 부경문학수필 전문반 수업 있는 날.

수업을 마치고 점심을 먹고나서 솔숲 등나무 의자에 앉아 시원한 바람을 맞았다.

50대, 60대의 언니들에게서 살아가는 이야기도 듣고, 이래저래 넉넉해지는 것 같았다.

대학생들의 풋풋한 모습들도 보기에 유쾌했다.

내 나름대로 새겨본다.

- 결미에서는 미화하지 말고 단촐하게 말을 최대한 줄여라.

- 설명하려들지 말고 인식을 형상화하라.

- 문장 내에서의 군더더기도 깎아내라.

- 의미를 중첩하지 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사람이 그렇게 될 줄알았다. 누구나 다 그러니까

돈앞에서는 모두 변한다.

자기가 하는 일이 돈이 되고부터는 첨에 돈을 받고 일할 수있다는 것만 기뻐하다가

그 일을 힘들다하며 몸값을 높이고 웬간한 일은 하지 않으려 한다.

아는 언니가 그랬다. 내가 일을 줄때는 소박하던 언니가 이제 입장이 바뀌어 내게 일을 준다한다. 그리고 내게 일을 준 수수료를 뗀다 한다.

나는 그러라고 했다.

내가 언제나 한모습이 아니듯 누구나 다 그러하겠지.

그러나 웬지 슬펐다.

윤동주-p 일러스트러에터의 부인 아기낳을 예정일이 오늘낼 오늘낼 한다고 한다.

진심으로 축하해주는 맘에 앞서서 나는 왜 내 책의 그림이 언제 되는 것부터 신경써야 하는지

참 사람이란게 야박하기만 하다.

그도 그걸 알고 걱정하지 말란다 그 말을 벌써

올 6월부터 듣고 있다.

제발 제발 부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랑 H는 파김치를 좋아한다. 그런데 늘 파의 앞머리족만 좋아해서 푸른 색 파 줄기는 언제나 김치 통에 남겨진 채 있다가 찬밥신세 처럼 버림을 받곤 했다.

그래서 이번엔 파머리만 잘라 파김치를 담고 파줄기는 잘게 썰어서 냉동실에 보관하기로 했다.

그런데 파를 써는데 익숙치 않아서 인지 왜케 매운거야? 대체?

매워서 눈물반 콧물반 파를 쓸고 파김치를 담갔는데 하는말

파김치 너무 맴다.

우이씨

 

그러나 어쩌랴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0-14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쪽파로 하는 거 아닌가요? 쪽파는 덜 매울텐데요^^ 저도 파김치 좋아해요^^

하늘바람 2005-10-14 1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그런데 맵더라고요^^ 이러다 저랑 물만두 님이랑 요리책 쓰겠어요

물만두 2005-10-14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저는 본 것뿐이죠. 담그는건 엄마가 하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