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의 인생 강의 - 논어, 인간의 길을 묻다
신정근 지음 / 휴머니스트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경쟁과 효율을 중시하는 시장중심의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는 장점과 달리 인간보다 시스템을 우선으로 두는 특징으로 인해 소외된 인간의 말살로 인한 각종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 IMF이후 우리나라도 부득이 신자유주의를 수용하면서 겪게 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의 상실, 상시적 구조조정을 통한 고용불안, 자본의 자유로운 국제이동이 가능해 짐으로서 야기되는 투기자본의 경제 초토화로 인한 중산층의 몰락은 1%의 소수와 99%의 빈곤층만이 양산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되었다.
각자도생의 시대, 우리는 연대보다는 남을 짓밟거나 당하지 않기 위해 아둥바둥 살아 왔으며 운좋게 기득권층에 속하게 된 장년층과 노년층 엘리트들은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알면서 뻔뻔하게도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 탓으로 돌리며 고난도 기꺼이 수용하고 살라고 종용하고 있다. 야비하기가 이를데 없는 현 상황에 답답하기만 하다.
이처럼 인간이 인간성을 부정하거나 외면하는 시기에 다시 인간성을 되찾고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커지는 것은 당연지사. 국내에서 불고 있는 인문학 열풍은 그래서 결코 일시적이거나 즉흥적인 거품이 되어서는 안되고 또 소멸되어서도 안되는 인간성 회복의 소중한 기제로 작용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공자의 인생강의>는 제자백가 시대에 ‘인의예지신’을 강조한 공자의 유가사상을 토대로 인간성을 회복하고 인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을 깊이있게 바라보자는 인문학 열풍의 중간에 발행된 책이다.
2년전 EBS를 통해 방영된 강연내용을 원고로 하고 저자의 강의 녹취록을 토대로 발행한 이 책은 삶의 과정에서 난관에 부딪히거나 길을 잃은 현대인의 고민을 풀어가는데 있어서 조언이 되어주기에 충분하다. 왜 그러냐고?
공자가 유가사상을 정립했던 춘추전국시대는 그야말로 140여개국이 우후죽순 일어나 숱한 전쟁과 후안무치의 모략을 통해 정권이 뒤바뀌는 잔인한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만큼 현대의 경쟁사회와 비교해서 더 심하면 심했지 결코 덜하지 않던 시기이기도 하다. 남보다 우월하거나 적어도 경쟁에서 살아남을 능력이 있어야 가능했던 시기에 공자는 ‘인의예지신’을 부르짖었던 것이다. 지금의 시대와 비교해 전혀 다를게 없는 상황이 아닐까?
이 책에서 저자는 학(學), 정(政), 서(恕), 군자(君子), 예(禮), 신(信), 인(人) 등 7개의 핵심키워드 속에 공자의 삶이 담긴 유가사상 중 정수의 하나인 고전 논어에 대해 친절히 설명한다. 길을 잃어버린 우리에게 논어가 줄 수 있는 해답이 있을까 의구심이 든다면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현 상황과 굳이 연결시키지 못하더라도 왜 우리가 인간성을 회복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 연대해야 하는지, 구조적 모순을 지닌 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왜 우리가 뭉쳐야 하는지 가슴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