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민사관의 감춰진 맨얼굴 - 이병도와 그 후예들의 살아 있는 식민사관 비판
황순종 지음 / 만권당 / 2014년 9월
평점 :
‘식민사관’에 대한 논란은 그동안 대한민국의 역사에 대해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는 이들이라면 한번쯤 들어 왔던 단어일 것이다. 실체에 대해 알면 알수록 분노로 떨리며 몸을 주체할 수 없는 이 식민사관은 일본이 자신들의 조선 병탄을 정당화하고 한민족은 근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일본의 근대화된 경제체제를 도입한 통치를 통해 근대화할 수 있었다는, 소위 식민지 근대화론과 함께 일제 지배하에 조선 국민들의 사상적 각성과 광복에의 의지를 꺾는 효율적인 정신개조 프로그램의 핵심이었다. ‘식민사관’에 대해 인터넷의 유명 포털을 통해 검색을 해보면 ‘우리 민족이 열등의식과 무력감에 사로잡히는 심리적 근거가 되기도 하였으나 광복 이후 주체적인 역사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대부분 극복되었다.’고 한다. 정말 그럴까?
<식민사관의 감춰진 맨얼굴>은 아직도 그 망령을 드리우며 우리의 역사를 왜곡시키고 더러운 마수를 거두지 않고 있는 식민사관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리고 그 뿌리를 규명함과 동시에 식민사관의 이론적 왜곡의 근거가 되고 있는 고조선의 실체와 한사군의 위치 논란, 삼국시대 초기의 역사에 대한 부정을 중국의 역사적 사료까지 탐구하고 찾아내어 인용하면서 논리적이고 단호하게 반박하는 책이다.
저자는 우선 한국 주류사학계에 잠입하여 해방이후 지금까지 암암리에 활동하고 있는 식민사관의 망령과 이를 신봉하는 사학자들의 인맥을 고발한다. 우선 저자는 대표적인 한국사 필독서로 꼽히며 많은 사학 전공자들은 물론 수험서로도 그 권위를 인정받았던 ‘한국사신론’의 저자이자 1970년대 대표적 사학자이지만 식민사관을 숨기며 활약해 온 이기백의 발언에서 그 연원을 찾는다. “아직도 식민사관이 청산되지 않았다면 차라리 비극”이라며 겉으로 식민사관은 이미 이 땅에서 사라졌다는 식으로 표현했지만 식민사관을 되풀이 하면서 대한민국의 역사교육과 역사관을 더럽혔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 이기백이 식민사관의 태두 이병도의 제자라는 점과 한국사 교육에 있어서 고조선의 기원과 한사군의 위치를 식민사관의 논조를 그대로 이어왔다는 것에서 명백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식민사관을 통해 한민족의 정신을 무너뜨리고 패배감과 무력감을 심어주려 했던 일본의 사학자들에게 사사받은 이병도는 해방 후 일제 청산을 위해 설치되었던 반민특위 등이 이승만정권에 의해 무산되면서 살아남아 아이러니 하게도 대한민국 사학계에 태두로 등극하면서 무수히 많은 제자들을 주류사학자로 키워 식민사관을 주입시켰고 이기백은 그의 장학생이었다는 것이다. 그들의 역사관은 일제 식민사관을 그대로 이식해 놓은 것과 같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우선 한사군의 위치를 한반도로 규정하고 한반도 남부를 자신들의 ‘임나일본부’설에 따라 일본이 점령, 지배하였다고 주장함으로서 한반도의 백제, 신라의 역사를 지워버리고 이후 조선의 수준을 자신들의 중세시대와 정치 및 경제체제가 유사하다고 폄하함으로서 일본의 조선병탄 합리화에 근거를 마련하고 한민족은 일본인에 비해 열등한 존재임을 쇄뇌시켜 왔다는 것이다.
식민사관의 실체와 이를 신봉하는 이병도 이하 주류사학자들이 지금도 대한민국 역사학계를 주름잡음으로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이 책은 결국 한민족의 주체성이 녹아든 민족사관의 회복과 아직도 대한민국 사회에 드리워진 친일 잔재를 청산하는 것이 진정한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향후 통일을 위해 필요한 선제적 조치가 아닐까?
물론 이병도가 식민사관의 본원(?)이라는 실체에 대한 논란이 아직도 진행중이라는 점과 식민사관은 물론 서울대 경제학과 이영훈이 주장하는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해서도 학계의 격렬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좀 더 냉철하게 상황을 바라봐야 하겠지만 식민사관이 가진 그 음모의 근원과 아직도 명확하게 해소되지 않은 논란을 좀 더 많은 독자들과 일반 국민들이 인식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이 책의 발행은 상당히 소중한 발자취로 남기를 바래 본다.
그리고 저자는 물론 식민사관을 청산하고 제대로 된 한민족의 역사관 확립에 열정을 바치는 모든 이들에게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