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리적으로 글 쓰는 테크닉 ㅣ 데구치 히로시의 논리 시리즈
데구치 히로시 지음, 현유경 옮김 / 인포더북스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직장생활을 하면서 봉착했던 문제들 중 만만치 않았던 점은 바로 보고서 작성이었다. 다니던 직장 선배들이 그동안 작성, 보고했던 문서들을 토대로 나름의 양식과 패턴을 뽑아 참고하면서 글쓰기 향상을 노렸지만 상당한 노력이 필요로 한 부분이었기에 무척 고통스러웠던 기억이 난다.
그 이후로 글쓰기는 어려우면서도 넘어서야 할 과제가 되었던 기억이 난다. 현재 홍보업무를 맡고 있다보니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과 희열이 교차하는 만감을 갖고 있는데 <논리적으로 글 쓰는 테크닉>을 읽게 된 이유도 바로 이러한 만감에서 더 큰 희열로 옮겨가고 싶은 욕구 때문이기도 하다.
위에서 말했듯이 글쓰기는 모든 직장인들은 물론 현대를 살아가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반드시 달성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영어 등 외국어에 능통한 것이 사회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점은 분명하나 그렇다고 글쓰기의 중요성을 제칠 정도로 비중이 크다고 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바로 회사내에서 보고서 작성이나 타인에게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이해시키는데 있어서 글쓰기가 말하기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거나 중요성을 절감하더라도 어디부터 고쳐야 할지 막막해서 아무런 조치도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한창 쓰다보면 자신이 주장하는 바는 온데 간데 없고 횡설수설과 장광설만 늘어놓다가 허겁지겁 결론을 내려 버리면 보고를 받는 윗사람은 물론 내가 쓴 글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당최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인지 핵심을 파악하지 못한 채 어리둥절하게 되고 결국 글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실패로 돌아가기 때문이란다.
<논리적으로 글 쓰는 테크닉>은 결국 이러한 고민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해 준다. 가장 기초적인 주어와 술어를 명확하게 드러냄으로서 자신이 말하려는 것을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자기주장만 늘어 놓는 글은 가장 금기시 해야 하는 것이 글쓰기의 중요 핵심임을 저자는 설명한다. 특히 논리적인 글쓰기의 범주에 속하는 회사 내 보고서나 프레젠테이션 자료 등을 작성할 때는 상대방에게 내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이 주장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가미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조언한다. 의견과 주장을 말했는데 단순히 자신의 생각만으로 밀어붙인다면 글을 읽는 이들을 설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자료와 객관적인 분석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또한 저자는 글을 잘 쓰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바로 좋은 글을 많이 읽는데 있다고 충고한다. 이는 흔히들 유명 작가들이 초년병시절에 세계적인 문호들의 작품을 필사하면서 글쓰기를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고백하는 것과 동일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좋은 글은 간단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을 강조한다. 과도하고 현란한 미사여구나 사족에 가까운 부연설명 등 수식어의 과도한 사용은 그만큼 글의 명료함과 이해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란다.
글쓰기는 이렇듯 쉬운듯 하면서도 어려운 분야다. 하지만 저자가 이 책에서 언급하였던 기본적인 원칙을 토대로 차근차근 하나하나 내공을 쌓아 올려간다면 결코 어렵기만 한 분야는 아니다. 어느 작가가 말했듯이 머리로 쓰는 게 글이 아니라 엉덩이로 쓰는 게 글임을 이 책을 펼친 글쓰기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배우고자 했던 나를 비롯한 독자 제위가 명심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