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마천 사기史記 100문 100답
김영수 지음 / 창해 / 2023년 5월
평점 :
인생사 ‘새옹지마(塞翁之馬)’란 표현을 가장 좋아하는데 어릴 때 우연히 접한 삼국지에 푹빠진 후 인간군상의 치열한 처세와 투쟁의 삶을 흥미롭게 지켜봤던 기억이 있다. 워낙 삼국지에 빠져 있던지라 삼국지 외에는 역사서로 인정하지 않던 무모함도 있었다. 그 선입견을 바꿔준 책이 사마천의 사기(史記)였다.
사기는 한무제 치하에 역사가였던 사마천이 지은 ‘본기(本紀)’ 12편, ‘표(表)’ 10편, ‘서(書)’ 8편, ‘세가(世家)’ 30편, ‘열전(列傳)’ 70편 등 모두 130편, 52만 6500자로 이루어진 역사서다. 오제(五帝)부터 한 무제에 이르기까지 천하에 권력을 행사하던 왕조나 군주들의 사적을 연대순으로 엮어 기록한 본기(本紀)부터 제왕보다는 낮은 위치인 봉건 제후들의 나라별 역사 기록인 세가(世家)와 제왕과 제후를 위해 일했던 인물들의 전기를 주로 수록했는데, 때로는 계급을 초월하여 기상천외의 인물들이 포진하고 있는 열전(列傳)으로 분류한 책이다. 워낙 세계사적으로도 중요성을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고 인간과 권력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인간에 대한 성찰을 담은 매력 넘치는 역사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사마천연구회에서 오랜 동안 활동해 온 김영수교수가 권위자로 꼽힌다. 그가 이번에 펴낸 책이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다. 이 책은 <사기>라는 역사책에 대해 알아보고 사마천과 <사기>가 중국에 어떤 영향을 남겼는지, 우리에겐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를 질의응답 형태로 풀어냈다. 따라서 <사기>, 사마천, 한성시(사마천이 태어난 도시 이름)로 구성되어 있다. 130권 52만 6,500자의 사기는 예의 사마천이 소개하는 인물과 이를 저자 특유의 오랜 연륜이 묻어나는 해석으로 어우러져 있다. 특히 사마천 부분은 그의 이력과 사기속 인물 중 그가 실제로 만난 이광, 동방삭등에 대한 일생을 묘사한게 눈에 띈다.
또한 <사기>는 중국사가 아니라 중국을 둘러싼 다양한 국가들의 역사까지 아우르는 세계사라고 칭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사기중 제115권 <조선열전>을 설명하면서 근거를 댄다. 물론 <조선열전> 외에도 <흉노열전>, <대완열전-서역탐험을 다룬 부분>, <서남이열전>, <남월열전>등에서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김영수 교수의 사기 관련 저서들은 늘 후회하지 않게 만든다. 이 책 역시 저자가 남긴 숱한 역작과 앞으로 <사기>관련 펴낼 저술들의 연장선상에서 손꼽힐 결과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