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벽이 오기 전이 가장 어둡다 - 고난을 깨달음으로 바꾸는 헤밍웨이 인생 수업
박소영 지음 / 유노책주 / 2025년 3월
평점 :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헤밍웨이 소설에서 발견한
시련을 거름삼아 성장하는 삶을 만드는 법
삶에 피로감을 느낄 때마다 예술가들의 강인한 삶에서 위로 받고 이 경험을 살려 인생에 가장 큰 버티목이 되어 주었다고 헤밍웨이의 삶과 작품을 저자는 소개한다.
우리 모두는 어느 한 구석이 부서져 있다.
그 깨진 틈이 있기에 빛이 새어 들어오는 것이다. 무사하게 하루하루 건너가는 날들을 꿈꾸지만 살아있는 한 문제는 생기게 마련, 이 세상에는 완벽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제부터 헤밍웨이가 우리에게 하고 싶었던 말들을 좀 더 자세히 알아가자
헤밍웨이는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쓴 문학사의 상징적인 존재이지만 그의 소설 가운데 가장 위대한 작품은 역시 <노인과 바다>, 이 작품은 헤밍웨이의 문학 인생을 대표하는 걸작이자, 헤밍웨이를 모르더라도 제목 정도는 누구나 들어 본 적이 있을 정도로 명성이 높다는 것이다.
<노인과 바다>의 주인공은 오직 단 한 명, 산티아고라는 노인뿐, 소설 맨 앞부분과 맨 뒷부분에 '마놀린'이라는 소년이 등장하긴 하지만 내용의 대부분을 노인 한 명이 이끌어 간다.
이 작품 속 노인은 드넓은 바다에서 외롭게 혼잣말을 하며 물고기를 낚는다. 이것이 전부인 이야기
무엇이 그토록 대중을 매혹했는지 산티아고 노인의 경이로운 여정을 엿본다.
이렇게 노인과 바다 원서 같이 읽기도 나와 있다.
기회가 된다면 원서 필사를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면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는 헤밍웨이 작품으로 희망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이 소설의 처음은 평생토록 어부로 살아온 산티아고 노인은 84일간 물고기를 낚지 못했다는 간결하고 단단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노인에 대해 빙산의 윗부분만 건조하게 말하고 있는 헤밍웨이, 빙산의 숨겨진 거대한 아랫부분, 즉 노인의 상심과 절망,자기 의심,초조함,짜증등의 다채로운 감정을 읽을 수 있다. 작가가 대놓고 쓰지 않았지만 저저로 알게 되는 것이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늘 하던대로 누구보다 일을 제대로 하는 것, 줄을 정확히 드리우는 것이다.
세상이 나를 인정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 이토록 노력하는 나에게 아무런 결과도 보여 주지 않는 것처럼 보일때 모든 걸 원망하고 싶을 때, 주변에서 '넌 운이 없어'라는 말을 할 때 실망하거나 절망할 수 있다. 하지만 산티아고 노인처럼 그저 묵묵히 하던 일을 정확하게 계속하는 것이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일지 모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