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마음 다친 줄 모르고 어른이 되었다 - 힘들 때 나를 지켜 주는 내 손안의 작은 상담소
김호성 지음 / 온더페이지 / 2025년 3월
평점 :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상처 입은 마음을 돌보지 못하고 어른이 된 나에게
16년 차 심리 상담사가 알려 주는 치유와 성장 프로세스
왜 그리 힘들고 아픈지도 모른 채, 삶의 아슬한 기로 속에서 온갖 방법들을 찾아 헤매고 스스로 살리고자 심리학 공부 시작, 그것만으로도 해결이 안 되어 온갖 교수님들을 찾아가 상담했으나 해결책을 찾을 수 없었고 더 근본적인 방법을 알아야 한다고 느낀 저자는 미국으로 건너가 의학최면,무의식을 공부하고 결국 뇌과학까지 공부하기에 이른다.
상담을 하다보면 무엇보다 가장 필요한 것이 '공감'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공감을 제대로 받아 볼 경험이 생각보다 정말 적다는 걸 우리는 안다.
'자기공명의 단계로 안내한다. 자신의 살아온 인생을 되돌아보는 일, '진정한 공감'이 무엇인지, '어떻게'해야 하는지에 대해, 그 공감하기를 통해 자신의 마음아이에게 위로와 사랑을 전달하는 방향을 알려준다니 회기때마다를 통해 다친 나를 위로하려고 한다.
어린아이일 때를 생각해 보면 우리는 해맑고 솔직하다. 아이였다면 우리는 금방 도움을 청하거나,아프다고, 힘들다고표현했겠지만 괜찮은 척을 하거나 상처받지 않은 척을 하는 건 하기에는 다소 어른스러운 반응을 한다.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내리누르다, 참다 참다 결국 무기력해지면서 찾아오는 마음의 변화를 구태여 이름 붙이자면 '우울증'이라 부르곤 한다.
힘들었던 일 리스트를 직접 써 보려 한다.
마음 속 아이를 찾는 감정지도 그리기를 시작해본다.
하나하나 감정을 짚어 나가기까지 얼마나 걸렸을까, 마지막 감정까지 체크한 사례를 보게 된다.
이제 책을 읽고 있는 내 차례로 이어지게 된다.
마음지도 감정표 체크하고 생각보다 다채로운 감정들이 안에 있어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고 하니 마음이 일단 설레고 풍경이 선명하게 보일수록 마음아이에게 공명하기가 수월해지고,치유의 여정도 명료해지니 마음을 알면,어떻게 위로를 해 줘야할지, 무슨 말을 전하면 좋을지도 더욱 선명해질 수 있다니 설레고 기대가 되니 내마음을 다시 정리하고 나를 안아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