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콩 아리랑 - 캠코 2세의 삶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모순을 지적한 문제작
김건형 지음 / 대경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표현 중 '단일민족,'한핏줄' 이라는 말이 있었으나 불과 20~30년이 지난 지금, 어느 누구도 대한민국을 위와 같이 표현하지는 않는다.
그만큼 동남아시아,구주,미주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대한민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의 비중이 이미 전체 인구의 5%을 넘을 정도로 '다문화 가정'의 수는 날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으로의 이주민 유입방식은 '국제결혼,유학,이주노동'의 다양한 방법이 있긴 하겠지만 그들이 한국 사회에 뿌리내리는 초기 정착기에 언어,문화,가치관 차이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가 아직까지 크게 개선, 해결되지 않은 채 다문화 가정 자녀에게까지 대물림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저자는 국제결혼으로 한국 사회 부적응 문제를 일반화하여 전체 이주민 사회의 어려움과 고통을 대변하고자 한다.
이 책을 통해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이슈들, 이주민 정착 단계에서의 초기 정착 지원금,거주 공간확보,한국어 강사 및 심리 상담지원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업 및 직업 선택에서 정부 차원의 특별 지원등을 포함하여 대한민국 원주민의 관심을 이끌어 내어 그들과 더불어 잘 살아가고자 하는 바람으로 만들어졌다.
캠코(캄보디아와 한국인 혼결 2세)
한국어에 서툰 어머니 밑에서 자라면서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는 데 문제가 많았고 절반은 한국인의 피를 물려받았지만 한국 토종 아이들이 그들의 부모로부터 부지불식간 터득하게 되는 자연스러움이 없었던 탓에 또래 문화에도 끼어들지 못한다.
캄보디아 국적의 한 여성이 국제결혼을 통해 대한민국으로 이주하게 되고 그의 아들인 녹이 이주민 2세로서 성장하면서 겪게 되는 한국 사회 부적응 문제를 일반화하여 전체 이주민 사회의 어려움과 고통을 다룬 이야기로 청소년기에 비행의 길로 접어들면서 불법 마약 유통,판매에 손을 대야만 했던 것을 단순히 개인의 일탈일까, 참으로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지만 이대로 있을 수 없다는 것 또한 알기에 앞으로 우리나라도 이주민에 대한 대책 마련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