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머니 봄날은 간다 - 우리 가슴에 어머니가 살아계시는가?
윤정 지음 / 북보자기 / 2018년 10월
평점 :
우리 가슴에 어머니가 살아계시는가?
어머니는 딸도 여자도 아내도 아니다
어머니는 아픈 상처를 먹는 생명의 사랑이다
[어머니 봄날은 간다]는 ,,,
지식과 도덕,철학과 교양의 책이 아니라 생명을 바라보고 느끼는 책이다
우리들의 어머니를 만나게 된다
아버지가 되기 위해 만나야 하는 책이다
어머니의 삶은 비극적인 상처의 연속이었다
"단디 살아라!" 넘쳐도 문제고 부족해도 문제다
"어머니는 살밍 어떻다는 걸 일찍이 아셨기에 상처를 입더라도 피하지 않았고 힘들어도 내색하지 않았다
모든 것을 감수하며 살아가야 하는 삶속에 머문 상처가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유일한 진실이라는것을
어머니는 아셨다
어머니는 나보다 먼저인 나다
어머니 속으로 들어가면 우주와 만난다
우주가 머물러 있는 생명 터전에 대한 경회심의 또 다른 이름이 어머니이다
나의 삶 속에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가 살고 있다
그렇게 나는 어머니에게 가서 생명의 고향을 느끼고 돌아온다
점차 어머니는 자리보존을 하고 누워있는 시간이 길어진다
등에 생긴 욕창의 고통보다 더 힘든 건 마음이 고통이다

어머니
고통스럽다면 그만큼 희망이 있다는 거다
희망이 있다면
살아갈 수 있다는 거다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이야기 속의 아기인 저자의 어머니도 나중에 1남 4녀의 아이들을 홀로 키워야 하는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야 한다
어머니는 그 힘든 삶의 짐을 거부하지 않고 자녀들을 키워냈다
외할머니처럼 자식들을 두고 떠나서는 절대로 안 된다는 강한 생명의 기억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머니 속에 외할머니의 고통의 생명이 머물러 있었기 때문이다
외할머니의 삶과 어머니의 삶은 저자가 살아서 인생의 등불이 되고 있다
절박한 삶은 감동과 진실을 만든다
그 삶은 죽어서 사라지는것이 아니라 새로이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

저자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은 말로 표현할 수 없고
아이들도 진정으로 아버지와 대화하는걸 좋아한다
점점 생각들이 커가는 아이들이 가끔씩 하는 성숙한 말들이 놀래키기도 한다
버림당하는 고통은 크다
어머니가 상처 속에 머물지 않고 그 상처를 사랑으로 꽃피우는 것을 몸소 보여주었기에
저자는 그 고통을 학문이라는 꽃으로 피워낼 수 있었다
내가 상처속에서 차가운 남자로 살아갔다면아이들은 대를 이어 상실의 삶으로 살아갔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어머니에게 받은 선물을 나도 우리 아이들에게 주었다
그것이 삶에서 최고의 선물일 것이다
세상의 모든 여자들은 어머니를 사랑할 수 있어야 자식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는 어머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세상의 남자들은 어머니를 사랑할 수 있어야 아내와 자식들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다
어머니에게 상실당해서 원망하는 아들은 여자를 욕정의 대상이나 보복의 대상으로 보기 쉽다
성폭력이 일어나는 원인이나 가부장적 삶을 요구하는 원인도 어머니의 사랑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이책을 읽으면 한 글자,한 글자가 다 공감이 가는 책이다
이책은 그냥 읽고 장식할 책이 아니다
정말 모두가 이 책을 읽고 어머니를 통해 세상을 다시 봐야할 때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