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두뇌의 숨은 힘을 깨우는 하버드 예술교육법
예술하는 아이의 뇌는 특별하다
다양한 예술 영역을 통합해 영유아에게 놀이로서 접근하게 하는것이 필요하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가지 방법, 즉 미술, 음악,율동,문학,극놀이 등의 영역에서
동시에 접근하는 예술교육은 영유아의 뇌발달은 물론이고
전인격체로의 성장,다양성과 융통성 발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에는 창의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부모나 교육 전문가들이 사람의 창의력과 다중지능의 개발에 큰 도움을 주는
만6세이전 영유아기의 예술교육에 대한 이론부터 실제 교육현장의 모습까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월령에 따른 아이의 신체적 특징,아이의 인지적,사회적,감정적 특징을 더 깊이 알기
미국의 교육학자인 존 듀이는 예술교육의 목적이 예술교육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인격체로서의 인간의 성장을 도와주기 위한것이라고 정의했다
다시 말하자면 화가나 음악가가 되기 위한 훈련이 아니라 예술을 경험하면서 교육의 목적인 인격의
자발적인 개발을 하는것이다
한편 영국의 미술비평가인 허버트 리드는 예술을 통한 교육에서 예술교육의 목표는 예술가의 육성이
아니라 인격의 자발적인 계발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예술교육의 3가지 측면으로 자기표현,관찰,감상을 이야기 했다
영유아기에 예술 교육을 해야하는 이유는 ,,,놀이는 예술이고 예술은 곧 놀이라고 했다
유아기에 아이는 모래놀이,가상역할놀이,공놀이,물놀이,노래하기 ,춤추기 등을 통해서 예술이라는
개념을 인지하지 못한 채 생활 속에서 예술을 경험한다
젠킨스는 영유아기에 예술을 배움으로써 얻는 장점에 대해
첫째,,,창의적인 생각을 길러주고
둘째,,,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셋째,,,감정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주며
넷째,,,자신감을
키워주고
아섯째,,,스스로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여섯째,,,미학적인 감각을
길러주며
일곱째,,,시작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여덟째,,,문제해결력과 결정력을
향상시키며
아홉째,,,다른 사람과의 협동심 등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 등이다
무용은 신체자각능력, 미술은 표현능력,연극과 음악은 공감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등 같은
예술이라도 분야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가 다르다고 할렌드는 예술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학업성적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영유아기에는 아이의 뇌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때문에 다양한 예술적 방면에 노출될수록
뇌의 발달 정도가 높아진다
음악교육 역시 연극교육의 가치와 마찬가지로 영유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일상 속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는 것은 자연스럽게 시작,청각에 영향을 준다
예술교육의 또 다른 효과는 융통성의 학습이다
예술 교육은 다양한 영역에서 하나의 주제로 접근하므로 다양성과 더불어 융통성을 기를 수 있다
예술교육은 스트레스를 이기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다
예술적 창의성이란,,,말 그대로 예술 관련 영역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산물을 의미하며
예술 활동을 하면서 나타나는 사고의 동기,성격,그리고 지능까지도 포함된다
성인기의 창의성과 유아기의 창의성은 차이점은
성인기의 창의성은 교육을 받은 범주 안에서의 구체적인 창의성이라면
유아기의 창의성은 자기중심적이고, 자유로우며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점이 다르다
음악적 지능은 어린 시기에 만들어지며 특히 음악과 율동,음악과 공간능력, 음악과 감정,
음악과 언어, 음악과 수학이 관련이 있다고 했다
가드너는 음악과 공간지능을 이야기할 때 우반구에 있는 음악적 능력과 공간적능력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음악과 수학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매주 1회씩 3년동안 피아노 레슨을 받은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언어지능과 수학적 지능이
더 높다고 하니 다중지능이론과 예술교육의 밀접한 관계를 뒷받침하고 있다
예술교육만큼은 예술을 즐기는 것이
핵심
부모들의 기대가 커서인지 예술교육에 있어서도 교사가 주도하는 성과 및 결과 위주의 주입식 교육으로
가는 경향이 보인다
아이들이 예술을 통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보다는 결과를 중심의 프로그램이 더 많다
최근 오케스트라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에 참여하는 예술강사가 전인교육으로서의 커리큘럼을 충분히 소화할 역량이 많다고 보기는
어려운 둣하다
따라서 아직까지 연주에 필요한 기술만을 가르치는데 치중된 경향이 많다
교육같은 교육보다는
놀이로서 예술교육이 좋다
예술교육은 기술교육이 아니라 삶의 문제를 다루는
활동
이책으로 우리 아이의 두뇌 잠재력이 폭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