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짐 콜린스 지음, 이무열 옮김 / 김영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좋은 기업은 많지만 위대한 기업은 많지 않다
괜찮은 기업에 머물것인가,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할 것인가?
콜린스와 그의 연구팀이 2000페이지의 인터뷰, 6000건의 논문조사 3,8억 바이트의
정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견한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하는 핵심요인들
경영전략과 실천의 모든 영역에 새로운 빋을 던져줄 가치 있는 교훈들
"성고아하면 그만이지 굳이 위대해지려고 할 필요가 있습니까?
촉망받는 청년기업가가 물었다 ,,,
짐콜린스는 이렇게 대답했다
"위대함의 규칙을 따르게 되면 힘의 낭비가 없어져 오히려
홀가분해집니다
또 의미 있는 일을 할 때 비로소 삶은 의미를 지니게 되지요
위대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고요가 찾아오고
마침내 희열을 맛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왕 세상을 산다면 멋있게 살아야하지 않겠습니까"
정말 정확한 답인듯하다
이왕 세상을 산다면 멋있게 살고 싶다

5단계의 계층구조
우리가 매번 모든 것을 리더십 탓으로 돌린다면 우리는 1500년대 사람들과 조금도 다를바 없다
우리의 무지함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일뿐, 우리가 리더십 무신론자가 돼야 한다는게 아니라
매번 좌절할때마다 그래 답은 리더십인게 틀림없어로 되돌아가며 두 손을 들어버린다면
위대한 회사를 움직이는 동인에 대한 보다 깊고 과학적인 이해로부터 스스로를 차단해 버리는
셈이 된다
얼마나 큰 회사였느냐는 것도 상관없었다
좋은 회사에서 위대한 회사로 도약한 기업들은 전환 시점에 모두 단계 5의 리더십을 갖추고 있었다
싱클턴은 70년대까지 회사를 잘 꾸려 갔지만 후계자문제는 진지하게 생각한 적이 없었다
무엇보다도 모든 것이 탁월한 천재의 재능을 떠받쳐 주는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는
바로 그 시점에 승계 문제를 걱정할 이유가 어디 있었겠는가?
휴계자의 문제가 그만큼 중요하다
뉴커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는 옛 격언을 거부했다
좋은 회사에서 위대한 회사로의 변환에서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 아니다
적합한 사람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위대한 회사를 만드는 사람들은 어떤 회사의 경우에도 성장의 궁극적인 동력이 시장도
기술도,경쟁도, 상품도 아님을 이해한다
다른 모든 것 위에 한가지가 있다
그것은 적합한 사람들을 충분히 확보하고 붙들어 두는 능력이다
사람먼저 ,,,다음에 할 일
완전 성숙한 고습도치 컨셉들 가지려면 세 개의 원이 모두 있어야 한다
최고가 될 수 없는 일을 하면서 많은 돈을 벌고 있다면
당신은 고작해야 성공한 회사를 만들뿐 위대한 회사를 만들진 못할 것이다
무슨 일에 최고가 된다
하더라도 당신이 하고 있는 일 그자체에 열정이 없다면 결코 최고로 계속 머물진 못할 것이다
당신이 하는 일에 열정은 대단하지만 그 일에 최고가 될 수 없다거나 경제적으로 별 의미가 없다면
재미는 좋을지 모르나 큰 성과를 내진 못할 것이다
최고가 된다는 목표, 최고가 되는 전략, 최고가 되려는 의사, 최고가 되기 위한 계획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당신이 무엇에서 최고가 될 수 있겠는지 아는 것이다
그 차이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