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브루타 Q&A - 질문, 대화, 토론, 논쟁 ‘유대인 교육법’
이일우 지음 / 피스미디어 / 2017년 4월
평점 :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학부모,사회교육자들의 질의 응답서
하브루타의 모든 궁금증 해결
질문 대화,토론,논쟁 유대인 교육법
이스라엘이 창업국가가 되는 이유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의 기업이 몇년 만에 세계 최고가 되게 한다
학생들이 즐겁게 공부하면서도 실력은 쑥쑥 자라게 하는 방법이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시간이 짧으면서도 효율성이 높은 방법이다
시끄럽게 떠드는데 공부가 된다
저저로 친구 관계가 좋아진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자란다
소통,혈벽,사회성,대화 방법을 익히게 된다
자기주도학습이 저절로 된다
비판적 사고력,논리적 사고력이 계발된다
이런 모든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것 그것이 하브루타
유형의 재산보다 무형의 재산이 진정한 재산이었고 그것이 바로 지식과 지혜였다
후추파정신이 오늘의 이스라엘을 만든 도전정신이라며 일곱가지 요소
1,,,형식타파
2,,,질문의 권리
3,,,섞이고 섞임
4,,,위험 감수
5,,,목표지향
6,,,끈질김
7,,,실패로부터 교훈 얻기
일곱가지 후츠파 정신은 유대인들에게 있어 가정 학교 직장 사회 전 분야에서의
교육이고 삶이자 문화였다
오늘날 유대인이 세계를 선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각자의 특성과 자질 그리고 재능을 키워 모두를 특별한 아이로 키우려한다
누구와도 비교하거나 비교 받게 하지 않고 각자의 특성을 키우며 자라도록 양육한다
어려서부터 이런 양육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당연히 자신을 소중한 사람으로 인식하며 자라게
된다 비교와 경쟁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나 강박,피해의식,패배의식이 없기 때문이다
강한 자존감을 가지며 자라는 유대 아이들이 세계를 선도하는 인물로 자라는 것이다
유대인은 남자 13세,여나 12세가 되면 성인식을 한다
성인식을 마치면 법적성인은 아니지만 종교적 성인으로 인정되어 종교 공동체에서 의사결정권을
갖는다
우리 나이로 겨우 초등학령을 벗어나는 시기
부모들은 이 시기까지 자녀 교육의 책임을 갖는다
하브루타는 유대인의 삶을 관통하며 수천년간 변함없이 지속되어 온 그들만의 공부방법
하브루타를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것으로 정의한다
이야기 나누기는 곧 대화이고 대화가 지속되려면 질문이 선행되거나 이어져야 한다
하브루타교육은 인간은 " 남보다 우수한 사람"이 아니라 "남과 다른 사람"이다
남보다 우수한 인간이 되고자 하면 최고는 한사람뿐이고 나머지는 낙오되거나 종속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남과 다른 인간이 되고자 하면 각각의 적성과 재능분야에서 모두 특별한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불필요한 경쟁이 없어 이겨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진정한 관게와 소통과 협력이
가능해진다
다른 관점을 추구하는 하브루타 과정에서 진정한 독창성과 창의성이 계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