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조선 왕의 업적과 발자취를 통해 이시대 참 리더십이 무엇인지 묻다
조선왕조가 500년 이상 장수한 비결
국가의 성패를 결정지었던 왕의 리더십에 있다
조선시대 27명 왕들의 국가경영과 지혜를 살피다
태조부터 순종까지 조선의 27명 왕 대부분을 언급하였다
왕이 되기까지의 과정,왕의 가족,왕이 된 후의 정책,조언으 받은 참모, 왕의 라이벌 등 왕의 주변 이물이나 주요한 사건들의 면모를 모두 담으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조선의 왕은 고대나 고려의 왕들에 비해 절대적인 권력을 누리지는 못하였다
제도가 정비되면서 왕을 견제하는 장치도 적절히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한다
왕조시대가 끝나고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사회가 도래했다고는 하지만 적절한 정책의 추진,여론의 존중,도덕과 청렴성,소통과 포용의 리더십 ,언론의 존중등 전통사회 와들에게 요구되었던 덕목들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된다고 한다
이책을 통해 조선시대 왕들이 보인 긍정적,부정적 리더십을 반면교사로 삼아 현재의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들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태조와 태종의 관계를 풀기 위해 석린이 조용히 인륜의 변고를 처리하는 도리를 진술하니 태
조는 변색하여 "너도 너의 왕을 위하여 나를 달래려고 온 것이 아니냐"라고
석린은 "신이 만약 그래서 왔다면 신의 자손은 반드시 눈이 멀어 장님이 될 것입니다" 하자 태조는 이말을 믿었다고 한다
그래서 태조와 태종이 다시 화합하게 되었으나 뒤에 석린의 두 아들은 과연 눈이 멀었다고 한다
성석린이 태종을 위하여 태조에게 거짓말을 하고 태조를 설득했지만
결국 그 후손들은 눈이 멀었다는 이야기를 전하며 태조가 성석린에게 속은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말의 힘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깨닫는다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후계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갈등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했고 이것이 당대인들과 후대인들에게 깊이 각인되었다는 점이다
많은 역사책이 나와 있지만 "왕으로 산다는 것"이책은 그냥 교과서처럼 술술 읽어지면서
내용들이 머리에 쏙쏙 들어와 정말 재미가 있다
이책을 중학생인 울큰아이들이 역사 과목을 배우는데 읽게 할 것이다
어느 누가 읽어도 금방 빠져 드는 책으로 현재의 우리 국가를 생각하는 것 사실 어른 뿐 아니라
조선시대 27명 왕들의 국가 경영과 지혜를 살필 수 있다
조선의 왕들을 통해 현재의 국가의 모습을 통해 현재 필요한 리더십을 알아가야 할 것이다
어린 중학생인 울큰아이들도 국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터이라
이책은 중학생뿐 아니라 누구나도 쉽게 읽을 수 있지만 깊이는 있는 책이다
창업과 수성 나라를 세우고 지키는 순간부터 개항과 근대 조선왕실의 마지막 사람들까지
잘 나열되어 복잡하지 않고 자세하게 읽어 나갈 수 있게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