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8%의 미래, 중년파산 - 열심히 일하고도 버림받는 하류중년 보고서
아마미야 가린 외 지음, 류두진 옮김, 오찬호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열심히 일하고도 버림받는 하류중년 보고서
패자부활을 용인하지 않는 사회
성실히 일해도 배고픈 노년이 기다리는 대한민국
중년 파산은 이미 시작되었다
나자신 또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큰소리 치는 사람중에 한사람인데
이책을 보니 이렇게 큰소리 치기만 할 것이 아닙을 뼈저리게 느낀다
열정만으로 원하는것을 얻는 시대가 아니라는것 또한 알게된다
이책이 경제적인것 만 주목하지 않고 안정적인 노동활동을 하지 못하는 현실이 사람의 정신을 어떻게 피폐하게 만드는지를 주변의 평범한 사례에서 찾는다는것이다
중년파산은 한 세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이사회 전체를 향한 엄중한 경고로 이해되어야한다. 중년파산은 곡 가족의 위기고 모든 세대를 병들게 한다
가난한 사람들은 오히려 물건을 많이 갖고 있다 미니멈은커녕 불필요할 정돌로 물건이 넘쳐난다
이는 결코 귀찮아서 그런것이 아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항상 돈이 고갈될 위기감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한번 손에 넣은 물건을 쉽게 내려놓지 못한다
설령 사용하지 않는 물건이라도 언젠가 사용할 일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 당연히 물건을 버릴 수가 없다
자산이 있던 측은 보호흫 받고 처음부터 자산을 갖지 않은 사람은 쫒겨났다
결국 가진 사람이 잃ㄱ은 것에 대한 동정은 강하지만 애초에 갖지 못한 사람에 대한 동정은 부족한 것이 오늘날의 현주소
기업에 선택받은 사람이 되어야 설령 뭔가 불행한 일이 생기더라도 거기에 대한 보상이 사회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자산을 가진 사람은 모든 면에서 우대받고 지진피해라는 유사시에조차 자산을 갖지 못한 가난한 중년에게 사회는 계속 냉혹할 뿐이다
중년의 빈곤은 자기 책임일까? 지금의 일본 사회는 사회적인 책임을 묻게 되는 사안은 뭐든 자기 책임이라며 책임을 개인에게 떠 안기는 경향이 있다
원래 있어야 할 사회 책임이라는 말이 사라지고 사회책임의 대부분이 개인에게 전가되어 있다
앞으로 펼쳐질 세상은 우리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빨리 다가오고 변해 갈 것이다
저자는 하늘을 나는 슈퍼카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나는 이 또한 금방 이뤄질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30년후이면 많은 세상의 변화가 다가올 것이다
기계가 생산을 대신해가는 사회속에서 신의 가호를 받는 사람의 수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미래에 우리들은 증오나 원망속에서 그저 오로지 괴로워하며 발버둥 칠 뿐이다
이제 회사라는 신을 위해 일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자
가족이나 이웃과 행복하게 살기 위한 일을 위해 한단계 인식의 도약을 이루어야 할 때이다
부모가 빈곤하다는 이유료 자녀에게 제대로 된 교욱을 받게 하지 못하고 그때문에 자녀도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빈곤의 연쇄를 이런 방법으로 완화할 수 있고 정부재정에도 플러스가 된다
가능하다면 아이들에 대한 빈곤 대책 중에 괴롭힘 등에 대한 대책도 적절히 수립해야 한다
젊은 세대가 물질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되고 또 건전한 자기 긍정감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평범한 삶의 궤도를 이탈한 사람들의 사례를 보면서 단 한번의 탈락으로 모든 것을 잃는 사회
정말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사례를 통해 많은 고민에 빠지게 된다
이게 현실일진데
청년도 중년도 노년도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향해
하루노인 문제는 하류 중년층의 불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런 상황을 해결하려면 누구나 안심 사회를 누릴 수 있게 되어야 한다고 도쿄 수도대학의 아베 아야 교수가 말한다
노인문제의 답은 중년 문제에 있다
중년층은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곳이 없으면 결코 행복할 수 없다
윤택한 생활 보호를 받더라도 소용없다
사회에 자기 자신의 역할이나 존재감을 가질 수 있으면서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
그런 직장의 존재가 중년층에게는 중요하다
절대적 빈곤율은 먹을 것이 없고 집도 없는 상황
확실히 일본 내에서 아프리카 최빈국에 잇을 법한 절대적 빈곤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가난하지만 먹고는 살지 않느냐는 의견을 지닌 사람이 아직 일본에는 많이 보인다
노숙인인 사람과 이야기보면 버려진 편의점 도시락을 먹을때는 인간으로서의 자존감을 버려야 했다고 한다 자기 자존감이나 자기 긍정감을 버려야만 하는 것이 바로 ,,,상대적 빈족의 본질
다른 사람과 관계하며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나라에 따라 다르다고 하지만
결국 읿본이든 어느나라이든 사회속에서 평범하게 사람과 어울려가는 당연한 생활을 보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돈이 필요하다
그런 상황속에서 상대적 빈곤에 빠지면 사람은 괴로워진다
하류 노인의 등장으로 사실 나자신이 이책을 구매해 읽었지만
불안과 두려움을 선동하게 되는 것은 맞는 말인듯하다
불안요소가 많기는 하지만 지나친 선동 역시 문제이니
혹독한 상황에 내몰린 사람들에게는 지원이 필요하며
우리나라 현실과 다르겠지만
우리또한 노후문제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