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가 믿는 만큼 크는 아이 - 용기 있는 아이로 키우는 아들러 육아
기시미 이치로 지음, 오시연 옮김 / 을유문화사 / 2015년 6월
평점 :
미음 받을 용기가 왜 그렇게 인기인가를 사실 전 멀리서 지켜보면서 왜일까 생각만했지 읽진 않았어요
그런데 얼마전에 아이들 학교 도서관에 새책이 와 있더군요
도서관 책을 많이 이용하는지라 얼렁 인기도 있고 어느서점에서나 일등을 하고 있으니
관심이 더더욱 가더라구요
읽었답니다
그런데 읽는 도중에 이책을 대출 받아서 읽을 책은 아니구나를 알고 구매합니다
그런데 그 저자의 책이 또 이책 이라니 초등 세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로써는 이미 그분을 알기에 기대가 되고 이책으로 인해 하루의 시작의
전쟁의 두터운 갑옷을 입는다
이제 울 세아이와의 전쟁을 벗어던지고 두터운 갑옷도 던져버리고 싶다
완력으로 하는 것은 해결책이 아님을 알면서도 완력으로 해결하게 된다
완력을 쓰는 방법 대신 어떻게 하면 좋을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같은일이 되풀이 된다
부모에게 당한 일을 그대로 부모에게 할 수도 있다
의미심장한 말이다
세상에서 학대는 결코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야단치는 것과 학대하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양적으로 다를뿐
질적으로는 동일한 행위라고 한다
아이 마음속에 두고보자 절대 잊지 않을꺼야 라고 생각한다면
이런 상태가 되면 부모 자식 간의 관계는 여간해 선 회복되지 않는다고 한다
아이가 부모에게 반항하는 것은 부모가 아이보다 우월한위치에서 아이에게 야단치거나 명령하거나 아이를 지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반항기라는 시기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반항하게끔 만드는 부모가 있는 것뿐이다 부모가 아이를 반항하게금 만드는 태도를 취하지
않으면 반항기는 아예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반항할 필요가 없도록 아이에게 대응했기 때문에 아이에게 반항기라고 할 만한 시기가 없었던 것이므로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아이도 부모에게 자신이 무엇을 원하지 않는지 정확하게 말로 주장할 줄 알아야 한다
부모도 아이가 어떤 문제를 일으키면 완력으로 억누르려 하기 때문에 당연히 아이도 같은 식으로 부모에게 반항하게 된다
반항기 없는 것은 부모가 적절하게 대응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에 반항기가 없으면 문제가 있다는 견해가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아이가 반항기가 없는 것은 지금 아이와의 관계를 잘 형성하는 일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이다
그동안 잘못된 생각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반항은 일찍 할 수록 좋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반항도 부모와 잘 형성만 되어 있으면 이런 반항조차도 없을 수 있다고 하니 끝없는 노력을
해야겠다
아이의 언행이 향하는 상대역이 반드시 부모만은 아님 또한 알게 된다
야단치는데도 문제 행동을 멈추지 않는 것이 아니라 야단치기 때문에 아이는 문제 행동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야단만 안 맞으면 뭐든지 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며 결국에는 자신의 행동이 적절한지 아닌지를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분노란 아들러는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갈라놓는 감정이라고 했다
관계가 먼 사람이라면 그사람이 아무리 옳은 말을 해도 그사람이 하는 말은 더 들으려 하지 않는다
아이와 가까워져야 하는데 아이를 야단치면 그 아이와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아이를 지원한다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아이를 야단치는 부모는 백이면 백 아이를 자신보다 아래에 존재라고 여긴다
그동안 우리도 그렇게 배우지 못해서 일까
야단만 치고 어떻게 하면 좋은지 뭐라고 하면 좋은지 가르쳐 주지 않으면 똑같은일이 반복되는 결국 아이들에게 부탁하는법과 행동등을 가르쳐
줘야할 것 이다
육아와 교육을 할 때는 야단치는 행위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차분하지만 단호한 태도로 아이를 대하면 될 뿐 위압적인 태도를 취할 필요는 없다
위압적인 태도를 취하는 사람은 분노의 칼 끝을 상대방에게만 향하지 않고 이러저리 휘두르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마치 자신에게 화를 내는 것
같이 느끼게 된다
칭찬한다는 것은 상위에 있는 사람이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식으로 평가하는 말이기 때문에
상대방을 능력이 없고 자신보다 아래라고 여기기 때문에 칭찬할 수 잇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도 자신이 인간관계에서 아래에 위치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는 않지 않을까
대등한 관계가 아니라 아이를 자신보다 아래라고 여기기 대문에 야단치거나 칭찬 할 수 있다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아이를 야단차지도 칭찬하지도 말고 아이에게 용기를 주라고 권한다
타인에게 관심이 있는 사람은 타인이 자신에게 무엇을 해 주는지가 아니라 자신이 타인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