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시대 -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지혜와 만나다
김용규 지음 / 살림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생각을 많이 하라
생각에 대한 생각들을 하게끔 하는 것 같다
당시 에게해 연안에서는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는 놀라운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었기 때문에 지난 2500년 동안 서양 문명을 만들어왔고 지금
이순간에도 인류문명을 다음어 가며 앞으로도 우리를 미지의 땅으로 안내할 생각의 도구들이 당시 그곳에서 하나둘씩 태어나고 있었다
그 중심에 그리스인들이 있었다
생각의 도구들은 먼저 그리스에서 합리적인 지식 창조적인 예술 그리고 민주적인 사회제도를 생산해 오늘날에도 누구나 경탄하는 그리스의 황금기를
일구었다
꽃을 보고는 씨앗을 알 수 없듯이 건물만 보고는 그섯을 지어낸 도구들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우리가 그 꼿을 다시 피우고 싶다면 또는 어떤 구조물을 수리하거나 새로 짓고 싶다면 반드시 그것의 씨앗이나 설계도와 공구가 다시
필요한데 그때가 바로 지금 바로 그때라고 저자는 말한다
축의 시대에 살았던 고대 그리스인들과 오늘날 우리가 처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때까지 유용했던 지식과 그것에 의존해 사는 방식을 버리고 전혀 새로운 생각의 방법과 삶의 방식을 개발해야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어쩌면
그들이 첫번째 생각의 시대를 살았고 오늘날 우리가 두번째 생각의 시대를 맞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같은 해법의 정당성은 두가지
하나,,,신화에서 수학까지 잡담에서 이데올로기까지 수에서 수사학까지 언너에서 과학까지 한마디로 서양의 모든 문명이 이 도구들에 의해
점차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이 철학,고전학,문학등을 통해 역사적으로 증명된다는 사실이다
둘,,,아이들의 인지 발달이 역시 이 도구들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뇌신경과학 ,인지과학,그리고 교육심리학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확인된다는 사실이다
생각은 다른 무엇이 아니다
무한한 대상들 앞에서 혼란스러워진 우리의 정신이 질서를 이끌어내는 방식이다
이책에 소개할 축의 시대에 호메로스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이 약 400년에 걸쳐 개발한 5가지 시원적인 생각의 도구들을
소개한다
언제,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그동안 무슨일들을 해 왔고, 앞으로 어떤 일들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이다
지식의 발생은 프로메테우스 신화처럼 낭만적이지 않았다 추운 지방에 사는 들소들이 추위를 견기디 위해 털을 기르는 방향으로 진화했듯이 인간은
오직 살아남기 위해 불의 사용법을 알아냈고 문화적 방법인 지식을 선택한 것이다
생각의 기원인 지식에 있어서 개체발생이 계통발생을 반복한다 왜 그런지 알아보기 위해 생각이 개인의 정신뿐 아나리 역사 안에서 어떻게 생겨나
어떻게 발달했는가를 살펴본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범주화와 개념적 혼성이 생각의시원이라는 것을 인지과학, 심리학을 통해 밝힌다
그리고 역사적 차원에서 보편화와 범주화가 이서으이 기원이라는 것을 호메로스의 작품을 통해 확인하고 범주화,개념적혼성,보편화가 각각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밝히고 있다
생각을 만든 생각들은 생각의 도구들은 호메로스가 씨앗을 뿌리고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이 키워 얻은 멸매
메타포라(은유), 아르케(원리),로고스(문장),아리스모스(수),레토리케(수사)등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그 자신이 생각인 동시에 다른 생각들을 만드는 도구
이 도구들이 우리의 사고와 언어를 어떻게 만들어가며, 학문과 예술에서 어떤 역할들을
하는지를 밝힌다
동시에 우리가 이 도구드을 어떻게 익혀 사용할 수 있는지도 살핀다
생각의 도구들은 자신이 하나의 생각이면서 동시에
다른 생각들을 만드는
생각이다
그것은 하나의패턴이고 더 큰 패턴을 만들어 간다
인간, 얼마나 오묘한 조화인가!
생각은 얼마나 뛰어나고
능력은 얼마나 무한하며
자태와 거동은 얼마나 훌륭하고
행동은 얼마나 천사 같으며
이해력은 얼마나 신 같은가!
~~~세익스피어가 햄릿의 입을 통해 한 인간에 대한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