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로 읽어낸 우리 고대사 - 대륙에서 열도까지
정형진 지음 / 휘즈북스 / 2017년 9월
평점 :
품절
저자는 오랫동안 한국의 상고사와 고대사를 연구했던 분으로 알려졌다. 저자는 한반도의 역사 특히, 한국 고대사의 정신을 국민들이 알고 국민들이
역사적 자부심을 갖게 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그의 저서와 강의를 통해 읽히 알 수 있다.
이 책의 역사적 배경은 한반도를 기점으로 하는 고대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한반도에
일어난 다양한 역사 왜곡들이 오랫동안 진행되어지고 있음에 역사적 사실을 고찰하여 역사적 사실을 분명하게 밝히고자 함을 볼 수 있다.
국민들이 역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만 국민의 대부분이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하여 대한민국 국민으로 자부심을 갖고자 하나, 역사는
왠지 어렵고 고리타분하게 여긴다. 교육의 부족이라고 할 수 없다. 국민성이다. 자신이 사랑하는 나라에 대한 역사를 어렵고 고리타분하게만 생각하는
경향이 문제이다. 타국은 실리에 가까운 자국의 편파적 역사라고 하더라도 교육을 받고 자국의 이익을 위한 역사관을 설정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은
한반도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우리의 역사를 자신들의 속국의 역사로 보고 있음은 이 나라 백성의 한 사람으로써 통탄을 금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는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국민들에게 역사에 관심을 갖도록 문화로 읽어낸 고대사를 저술했다. 문화는 결국 일상생활에서 비롯된 산물이다.
고대의 일상적 생활을 역사로 해석해 가는 저자의 필체를 따라가다보면 우리에게 이러한 흥미로운 역사적 사실이 있었는가 생각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쓰여졌는지를 궁금해 하는 이들은 이 책에 대한 도움을 많이 받을 것이다. 저자는 다양한 역사를 문화로 읽어내려고
노력했다. 역사에 대한 흥미를 국민과 독자들이 갖도록 방대한 자료를 문화적 관점에서 해석해 내는 저자의 탁월함을 이 책을 통해 보게
된다.
우리 나라의 역사는 왜곡되어서도 안되지만 왜곡 될 수 없는 깊이와 넓이가 있다. 신민사관으로 인해 한반도의 역사가 너덜너덜 거린다. 우리는
이러한 국민적 아픔을 현대사에서도 보게 된다. 국가의 정체성이 이데올로기로 인해 흔들렸던 우리의 과거의 역사가 국민들에게 하나되지 못한 아픔을
주고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속에서도 하나되지 못한 역사관을 통해 국민들은 식민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안타까움을 주었다.
이제 새로운 역사적 관점을 통해 중후한 우리의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면서 국민적 자부심과 역사적 자존심을 살려가야 할 때이다.
저자의 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역사가 어떤 역사인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갖게 했음을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