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 하면 괴롭고 안 하면 외롭고 - 장경동의 사랑과 결혼에 관한 힐링 에세이
장경동 지음, 홍전실 그림 / 아라크네 / 2014년 10월
평점 :
행복한 결혼생활을 연인들은 꿈꾸며 기대와 설레임 가운데 결혼에 이르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결혼적령기를 훌쩍 넘기는 커플들이 의외로 많다. 결혼보다는 자신이 중요하다는 인식아래 결혼에 대한 생각들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결혼은 투자도 낭만도 아니다. 결혼은 현실이다. 현실적 결혼을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유지, 지속하는 것이 부부의 과제이다. 옛날 어르신들은 결혼하면 평생을 동반자로 살아간다. 어떤 문제가 드러난다 하더라도 여자와 남자들의 받아들임으로 마지막까지 함께 한다. 어른들은 결혼하면 그냥 평생가는 것으로 여겼다. 도중에 남자와 여자에게 문제가 발생해도 자식과 가정을 위해 덮는 일들이 많다. 요즘 세대가 볼 때는 답답하고 한심하다. 자신의 인생을 버리고 자식과 남편, 가정과 아내를 위해 참아야 했다는 것에는 무능한 어른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어르신들은 결혼에 대한 약속이 분명했다.
현대인들의 결혼생활에 많은 문제가 있음은 부부들의 가치관과 사고의 변화이다. 그렇지만 불변한 것은 결혼은 사랑에서 시작된다. 서로에 사랑을 기대기보다는 서로에 사랑에 함께 하고자 함이 결혼이다. 결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사랑이기에 사랑이 사라지면 결혼은 유지되기 어렵다는 논리적 답이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사랑만으로 결혼은 유지되지 못한다고 한다. 여기에 동의하지 못한다. 사랑하지 않고 결혼을 유지한다는 것은 비참한 것이다. 결혼을 통해 무엇인가 이루고자 함이 결혼에 대한 부담감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결혼하는 이들에게 사랑을 통해 행복한 삶을 유지, 지속될 수 있도록 이 책을 저술했다. 부부관계의 위기가 현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된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결혼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부부관계에 대한 사고를 전환하였을 때 상대가 보지 못한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지혜가 생기게 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가정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아름다운 힘을 비축하게 했다. 독자인 제가 비축이라고 함은 원활한 결혼생활에 있는 이들은 위기의 부부보다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혼은 실패와 성공보다는 잃어버린 사랑을 찾는 것이 더욱 급선무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의 가정과 현 상태를 다시금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원할하고 행복한 가정을 꿈꾸며 지금도 땀을 흘러 살아가는 부부들의 삶에서 아름다운 열매가 맺을 것을 저자는 소망하고 있다.
이 책은 사랑, 남편, 아내, 행복이라는 것이 집중하다보면 결혼에 대한 효과를 보게 될 것이다. 집중하자는 것이다. 결혼생활속에 부부에 집중하여 사랑하는 부부의 진정성을 찾는 것이 결혼에 대한 급선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