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살리는 회개 - 마태복음 5 김양재의 큐티노트 마태복음 5
김양재 지음 / 두란노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따뜻한 어머니와 같은 가슴을 가진 저자는 마태복음 5를 저술했다.

현실앞에 목놓아 부르짖고 싶은 답답함을 진정한 친구가 되어 보듬어 주는 저자는

마태복음 5권을 통해서 다시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음을 보게 된다.

예수님이 모두의 친구가 되었던 것처럼 저자도 독자들에게 친구가 되어 주었다.

회개라는 무거운 주제를 갖는 것 갖지만 아픔을 갖는 이들을 보듬어 가는 과정속에서

함께 회개의 자리에 서 있는 느낌을 갖게 만들었다.

진정한 친구는 아픔을 방치함이 아니라 함께 한다는 것이다.

아픔이 결국 고통으로 연결되어지지만 그 고통의 과정속에서 외면하지 않고

묵묵히 곁에서 친구가 되어주는 친구가 진정한 친구가 아닌가 싶다.

예수님은 이런 고통의 현장속에서 함께 하시고자 우리에게 찾아오셨다.

김양재 목사는 설교의 트렌드가 가정인 듯 싶다.

많은 가정이 지금도 아픔과 고통속에 있기에 그 아픔과 고통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자신이 경험했던 눈물의 시간을 바탕으로 아픔의 현장속에 있는 이들을 위로하고자 한다.

고통을 경험했던 이들만이 갖는 위로일까.

저자는 매번 가정의 소중함을 역설한다. 가정에 대한 지킴이가 되고자 한다.

가정에 대한 아픔을 공유하여 함께 나눠 갖기를 원한다.

본서에서도 어김없이 가정에 대한 중심을 잃지 않았다.

한쪽으로 치우친다는 느낌을 받는다. 가정과 직장, 사회와 교회, 경제와 돈에 대한

수많은 난제들이 있음에도 가정에 대한 어머니의 마음, 아내의 마음을 고수한다.

그의 삶의 아쉬움인가. 그의 삶의 아픔을 통해 많은 이들의 가슴을 품고자 하는 것인가.

그의 웃음과 음성에서 우리는 엿볼 수 있다.

그렇지만 많은 독자들은 다양한 삶의 방식에서 살아간다.

그들에게 가장 요구되어지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이 목사일 것이다.

그 중에 김양재 목사는 가정에 대한 큰 테마 주위를 벗어나지 않다.

현실에서 가장 기초가 되어야 하는 것이 가정이기에 고수함이 아닌가 싶다.

진정한 어머니, 아내의 자리를 고수하고자 한다.

하나님의 나라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 것인가.

본서는 이러한 고민들을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회개라는 은혜속으로 초대되어 회개의 열매를 갖기를 원한다.

회개만이 살길이며, 회개만이 새로운 삶의 첫 출발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본서를 통해 회개는 하나님의 나라를 받을 자만이 누리는 은혜임을 말한다.

진정한 회개의 모습은 하나님의 기뻐하는 모습이며, 미래가 보장되어지는 모습이다.

본서를 통해 다시한번 따뜻한 마음을 가진 저자를 만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에게 묻고 싶은 24가지 질문
정래홍 지음 / 수선재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서는 신에 대한 궁금증을 갖는 이들에게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람들에게 갖는 24가지 공통적인 질문을 통해 저자 정진홍은 신을 찾고자 한다. 저자는 영적 스승을 통해 자신의 영적 세계를 이해하고자 노력한 사람이다. 그가 만난 신의 존재를 이 책에 기술하고자 한다. 기술이라기 보다는 정확하게 본다면 신에 대한 궁금증을 함께 밝혀보고자 함이 아닐까 싶다. 종교는 어떻게 발생했으면 종교를 통해 사람들은 무엇을 얻고자 했는지에 대한 사람들의 근본적인 종교심에 대한 궁금증을 나누고자 했다. 일방적인 질문을 만들어 글을 쓰고자 함이 아니다. 모두가 갖는 신에 대한 질문들을 집약하고 있다. 신이 있다면 인간들이 이렇게 살아갈 수 있을까. 신에 대한 존재적 질문이 본서의 시작이다. 신에 대한 존재는 지금도 찬반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신에 대한 존재를 믿는 것이다. 사람들은 부인하지만 부인속에서 존재적 확인을 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피조물인 사람들의 모습이다. 사람들에게는 증명될 수 없는 신에 대한존재를 신에게 묻고자 한다. 자연세계속에서 우리는 신에 대한 부정을 갖고자 한다. 진화에 따른 산물들은 신에 대한 거부에서 일어난 것이다. 사람들이 스스로 존재함으로 인해 가장 가치있는 존재로 두각하고자 한다. 신에 의한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존재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 사람들이다. 그렇지만 신에 대한 존재를 부정하기에 무엇인가 꺼림직한 것이다. 그래서 신에 대한 존재를 넘어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신이 계시다면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나?라는 질문을 던진다. 신에 대한 부정을 끌어내고자 한다. 저자는 이러한 사람들의 내면적 요청과 질문들을 글을 통해 함께 나누고자 했다. 종교는 지역마다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신에 대한 접근을 갖고자 하는 인생들의 바램에서 나온다. 저자는 종교, 특히 천주교에 대한 깊이를 이해하고자 한다. 종교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람이 신적 존재를 찾는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신은 존재한다는 명제아래서 종교와 사람들의 모습에서 답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이 책에서 계속 제시되어지고 있다. 명확한 답을 제시하는 것보다 함께 고민하면서 종교와 신에 대한 궁금을 풀어가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인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긍정적 예언의 힘
로리 베스 존스 지음, 조용만.송경근 옮김 / 한언출판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서는 흔히 영적 세계의 예언을 말하고 있지 않다. 예언으로 좋아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세계인 예언의 세계를 보여주는 것이 사실적 예언인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예언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열망하는 이들이 지구안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본서는 이러한 예언의 모습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었다. 예언이라고 하면 거부감이 들게 마련이다. 사실, 예언의 세계에 대한 궁금증으로 이 책을 펼쳤다. 그러나 우리들이 생각했던 예언적 세계를 이 책에서는 기술하지 않았다. 진정한 예언의 힘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현실탈피에 대한 예언의 힘을 우리는 원한다. 현실에 대한 불만족과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가 예언의 힘으로 끌어들인 것이다. 오늘날 수많은 예언이 발생한다. 지구의 종말부터 개인의 삶에 예언까지 지구상에 인류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계속 되어질 것이다. 예언이 필요없다는 것이 아니다. 예언의 긍정적인 면들이 많다. 예언을 통해 삶을 점검하고 자신의 삶에 가치를 두는 것은 중요하다.

  본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예언적인 힘에 대한 역발상이다. 본서에서 말하는 긍정적인 예언의 힘은 말과 연결할 수 있다. 하나님은 말씀으로 천지를 창조하셨다. 말씀에 대한 힘은 성경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말씀의 능력은 세상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저자는 말씀에 대한 힘과 중대함을 통해 말에 대한 힘을 발견한 것이다. 말은 인생을 바꿀 수 있음에 따라 긍정적 예언을 찾은 것이다. 긍정적 예언은 말의 힘과 함께 사용해도 될 것 같다. 생각하는 것을 말하게 된다. 또한 말하는 대로 행동하게 된다. 말과 행동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말은 마음에 나온다. 채워져야만 나오는 것이 말이다. 말을 통해서 자신의 삶에 긍정적 예언을 하는 것은 자신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진정한 말의 힘을 통해 갖는 긍정적 예언을 통해 인생의 전환점을 갖기를 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성공은 자신에게 달려 있음을 확인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힘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큰 영향을 끼친다. 긍정적 예언의 힘은 모두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저자의 확신을 이 책을 통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의 마음 어머니 마음 - 우리의 삶을 양육하시는
다이앤 리틀톤 지음, 정동섭 옮김 / 카리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서는 여성성의 특징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보고자 했다. 하나님의 어머니 마음이라고 하니까, 안상홍의 어머니 하나님에 대한 오해를 가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이것은 우려일 뿐이다. 도리어, 하나님의 마음을 깊고 넓게 보는 저자의 믿음을 보게 된다. 우리는 하나님을 남성상에 비춰 바라보고자 했다. 즉, 한 가정의 가장의 역할을 하는 아버지로만 보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남성에 한정할 수 없다. 하나님은 우리를 낳으시고 우리를 기르시는 분이다. 나으시고 기르시는 양육에 대한 부분들을 볼 때 어머니의 마음을 가진 하나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남성과 여성에 대한 저자의 설명중에 권위와 양육을 말하고 있다. 권위에서는 아버지를 양육에서는 어머니를 즉 남성과 여성에 대한 조화를 이루시는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보게 된다. 특히, 본서는 여성성의 특징을 통해서 하나님을 이해하게 했다. 하나님과 함께 오늘날 어머니, 여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서 성적 정체성을 갖게 했다. 남성은 여성위에 굴림하는 존재가 아니고 여성은 남성에게 굴복하는 존재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며 사랑으로 하나된 존재임을 말하고 있다. 본서가 하나님의 어머니 마음을 보게 하는 동시에 여성에 대한 중대한 정체감을 갖게 하는 목적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여성들이 무시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 인권에 대한 우려를 많이 하는 시대적 요청이 곳곳에서 본다. 여성들의 사회진출 등을 범제화하는 경우들이 많다. 이는 그동안 여성에 대한 차별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 우리는 여성에 대한 정체감을 새롭게 조명하면서 여성에 대한 따뜻함과 배려, 헌신 등을 보아야 한다. 본서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보다는 여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모성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를 하나님의 마음으로 기르시는 하나님을 만나게 한다. 우리를 양육하신 하나님의 대한 사랑을 통해 완전한 사랑에 초대받는 우리들은 행복아인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낳으시고 기르시면서 사랑을 쏟으신다. 우리는 사랑받기에 합당한 존재로 창조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하심이다. 본서를 통해 진정한 하나님의 마음을 느낄 수 있어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기, 사람이 지나가네
고금란 지음 / 여성신문사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본서는 고금란 작가의 작품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람 냄새를 맡게 된다. 사람들의 살아가는 방식을 통해 그들의 소박한 꿈들을 이루어가고자 하는 삶의 이야기가 본서에 담겨져 있다. 삶이라는 치열함을 갖는 모두의 이야기일 것이다. 저자는 삶에 대한 모습을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한반도의 정세와 세상 살아가는 이들의 작은 움직임을 포착했다. 남북한의 대치 상황속에서 남한을 동경했던 탈북자들의 삶에 모습과 여운을 말하고 있다. 탈북을 통해 새로운 인생을 꿈꿨던 이들에게 남한 사회는 무엇을 주었는가. 그들은 무엇을 기대하고 죽음의 고비를 넘어 이곳에 정착하고자 했는가에 대한 고민들을 두 남자로 통해 비춰보고자 했다. 삶에 대한 고민도, 남북문제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여운을 남겼다고 생각한다. 독자만의 생각일 수 있겠지만, 진정한 삶의 자유와 가치를 찾고자 하는 이들의 움직임은 우리들에게 많은 것을 고민하며 생각케 하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여인들의 이야기이다. 남성과 여성에 대한 비교적 이야기라고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남성에 대한 고민과 여성에 대한 고민을 말하고자 함이 아니다. 삶의 자리에서 펼쳐진 남성과 여성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남편을 따라 귀농했던 여인들의 이야기이다. 삶에 적응과 삶에 대한 자유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삶은 적응을 갖게 한다. 삶속에 자신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타적인 삶의 자리가 아니라 하나된 삶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한 여성이 삶에 자리에서 만족하며 적응해 가는 모습이 마치 우리들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작은 것을 찾게 되었다. 소중한 것을 찾는 것보다 나의 삶에 자리를 찾고 있다는 것이 그들의 모습에서 보인다. 그러나 삶에 자리를 찾지 못하고 여행으로 삶을 찾고자 하는 여인의 원함도 우리는 살펴야 한다. 어디론가 나만의 세계가 있음을 찾고자 하는 욕망은 모두의 바램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많은 이들의 모습을 통해서 자신의 삶의 자리와 바램을 갖는 것보다 자신의 자리에 대한 현 위치를 보게 만들고 삶에 특별한 과제보다는 자신의 것에 스며든 인생을 보고자 하는 것이 저자의 의도가 아닌가 싶다. 사람들에게 주어진 삶의 자리.. 다시한번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