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체국
찰스 부코스키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찰스 부코스키의 데뷔작 "우체국"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다.
부코스키는 12년 동안 우체국에서 일했던 경험으로 소설의 주인공이 자신의 분신이기도 한다.
자신의 세계를 사랑했을까 아님 시대적인 반항아로 시대에 기대고 싶었을까.
저자 부코스키는 독특한 내면의 세계를 그의 글속에서 끼여넣은 듯 하다.
끼여 넣었다는 것은 현실 도피의 인생은 아지만 현실을 뛰어넘고자 했던 그의 삶의 모습을
갖고자 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애매하다. 그의 글속에서 전개되는 방식이 모호하다. 이해하지 못한 부분들이 많다.
흥미롭지도 않다. 그러나 무엇을 말하고 있나 하는 의구심은 자꾸 들어간다.
부코스키가 우체국에서 일했던 생활도 평범하지도 보범적이지도 않다.
이런 부류가 진정한 노동자의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방항아이다. 그의 삶에서 결국 주인공 헨리 치나스키가 구성된 것이다.
하층민에 대한 비애와 그들의 삶에 모습들은 결국 밑바닥의 인생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숨김이 없는 적나라한 인생의 단면을 품고 살아가는 이들의 삶의 모습이 결국이
다르지 않는 일생의 모습인 것이다.
모두가 자신의 삶에서 만족할 수는 없다. 이탈하고 싶어한다. 자신만의 세계를 마음껏
펼쳐보고 싶다. 자유로운 인생이 여러가지 제약속에서 자신의 삶을 살지 못한다.
인생의 모습은 결국 올무에 붙들려 있는 것이다. 헨리 치나스키는 노동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노동은 신성한 것으로 말한다. 땀의 의미를 우리는 말한다.
그러나 노동을 원하는 이들이 얼마나 있을까. 자유로운 인생에 노동은 제약이다.
저자는 헨리 치나스키로 통해 자신의 우체국 생활에 대한 세계에 다시금 들어간다.
성실하지 못했던 직장생활은 자신의 세계로 탈피하였다. 노동의 신성함보다는 노동의
자유를 누리고 싶어했다. 그는 자신만의 세계를 향해 달려간 것이다.
차별화된 직장 생활, 여자, 술 등의 기회들을 갖고자 했던 탈피된 존재.
그는 이 시대에 가장 고민하면 껴안고 가는 사회이념적 모습을 나누고 싶어했다.
우체국이라는 좁은 공간에서도 정규직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과 삶에 대한 기회, 탈피 등을
통해 이 시대에 인간의 삶을 그리고자 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