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한 나로 강하게
김양원 지음 / 두란노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김양원 목사은 자신의 아픔과 장애우들의 아픔을 이 책에 담았다.
김 목사는 어렸을 때부터 소아마비였다. 수많은 사람들의 냉대와 멸시는 그를 눈물 짓게 했다.
김 목사는 자신이 겪게 된 장애인의 아픔을 예수님의 사랑으로 승화시켰다.
자신에게 얽매이지 않고 모두 장애인들을 위한 삶을 위해서 일어셨다.
지금의 김목사는 장애인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자신만으로 벅찬 삶을 이제는 사랑과 나눔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김목사를 일컬어서 지금은 사랑의 원자탄이라고 한다.
무엇이 그를 이렇게 만들었을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그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이책에서 소개한 13인을 통해 장애인들을 사랑하신 하나님을 보게 될 것이다.
특히, 그들은 하나님을 만남으로 인생이 변화됨을 경험하게 된다.
하나님을 통해 변화된 이들은 절망가운데 빠져있지 않고 일어서고자 한다.
하나님을 만남으로 삶의 방향을 새롭게 한다.
절망에서 희망, 좌절에서 소망으로 일어서게 된 현실적인 경험을 이 책에서 담았다.
김목사는 신망애를 통해 수많은 장애인들을 돌보게 되었다.
그는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인 무관심과 냉대에 많은 벽을 느꼈다.
그렇지만 사회적인 외면과 비하, 냉대가 있다 하더라도 장애인들을 위해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속에서 장애인 권이고가 권리 회복을 위해 몸을 바치게 된 것이다.
그렇게 태어난 것이 신망애라는 장애인 공동체이다.
신망애는 믿음, 소망, 사랑을 함축해서 만든 이름이다.
작은 평수에서 차별받지 않고 하나님만을 의지하면서 자활하고자 하는 이들의 노력의 산실이 된 것이다.
이런 움직임에 감동적인 만남은 연속되었다. 수많은 사연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의 만남과 그리스도 사랑을 전하는 만남 등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신망애 공동체 이야기라고 할 수 있지만, 하나님의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사람들이 지금도 곳곳에서 사랑을 나누고 있음으로 보여주고 있다.
모든 사람들은 공평하다. 또한, 장애인들에게 공평함이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사랑만이 존재해야만 한다. 공동체와 함께 하면서 수많은 일들이 있었다. 굶주림을 경험했다. 수많은 이들의 비난도 감수해야 했다. 공동체안에서 문제도 끝임없이 일어났다. 순간 순간 마음을 놓을 수 없었다. 그는 그때마다 주님을 의지하며 기도했다. 주님께 간구했다. 해결할 수 있는 힘은 하나님께 있음을 믿었다.
김목사는 이 책을 통해 하나님의 일하심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나님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다. 오늘의 신망애복지재단이 존재하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임을 말하고 있다.
그는 지금도 복지재단을 통해 장애인들에게 희망을 준다. 자활에 대한 의지를 심어주고자 한다. 지금은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많이 사라졌다. 편견이 사라졌지만 지금도 장애인에 대한 불평등한 것이 많음을 안타까워한다.
김목사는 "약한 자로 강하게"라는 신앙을 고백하고 있다. 하나님께 쓰임받고 있음을 행복해 한다. 지금은 행복한 김목사가 되었다.
이 책에서 우리는 행복한 김목사를 만났다. 비록 아무것도 가진 것 없지만 주님으로 인해 행복한 김목사, 장애인들을 사랑하며 희망을 노래하는 김목사를 13명과 함께 만난다.
눈물의 기도, 기쁨의 찬송, 희망으로 노래 등을 이 책에서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