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사랑해도 될까요?
제임스 패터슨.가브리엘 샤보네트 지음, 조동섭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사랑이라는 아름다운 것이다. 사랑을 희망과 소망을 갖게 한다. 이 책을 통해서 아름다운 사랑을 보게 됩니다. 완성된 사랑을 모두가 꿈을 꾸게 된다. 사랑에 의해 우리는 살고 사랑에 의해 우리는 힘겨워할 때도 있다. 그러나 사랑은 아름답다. 사랑해도 될까요? 지금 ~ 얼마나 기다리는 사랑일까. 사랑은 지금해야 한다. 나의 것이 되도록 사랑해야 한다. 이 책을 통해서 잊혀졌던 사랑을 다시한번 내 마음속에서 끄집어 내보았다. 이 책은 사랑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나 생각하게 되면서 이런 사랑도 한번쯤은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 주인공 제인은 늘 바쁜 엄마 밑에 자랐다. 그는 엄마의 활동에 자신이 외로웠다. 제인은 친구를 사귀게 되었다. 멋진 남자친구 마이클이다. 요즘 아이들의 말로 표현하면 짱이다. 남자다운 면들이 가득했다. 제인은 그 남자친구와 만남으로 인해 사랑을 키워갔다. 남자친구 마이클은 제인을 포근하게 감싸주고 안아주었다. 제인과 마이클은 사랑하게 되었다. 제인은 자신의 상상속에서 마이클을 만났고 사랑을 키워간 것이다. 마이클은 상상의 인물이다. 이들은 상상속에서 만났지만 장성하게 된다. 제인은 숙녀가 되었다. 상상속의 인물이었던, 상상속에 만나 사랑을 키웠던 마이클을 현실에서 만나게 된 것이다. 이들은 아름다운 결실을 맺으면서 결국 외롭고 힘든 어린시절 마이클과의 만남으로 이겨갔다. 제인은 과거를 이겨내고 결국 사랑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 마이클을 만나 사랑하고 결혼에 이르렀다. 또한 행복한 결혼 생활을 이루고 아이들을 낳고 행복하게 살았다는 진부한 내용이지만 아름다운 사랑의 이야기로 결말을 맺는다. 저자의 사랑의 가슴이 이렇게 절실할까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사랑은 많은 것을 낳는다. 희망을, 기대를, 미래를 낳는다. 그런데 이 책의 반전이 일어난다. 행복하기 그지 없는 사랑, 그 결실로 인한 행복은 결국 마이클이 제인을 데려가는 것이라고 할까 그렇다 어떻게 보면 가슴아픈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제인의 행복한 결과일 수 있지만 보는 이들의 마음에 안타까움을 주게 된다. 사랑하는 이들은 끝까지 함께 한다. 제인은 사랑하는 마이클과 영원히 함께 하고픈 마음이 아닐까 싶어진다.
사랑은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다. 마이클과 제인의 사랑은 결국 어떤 것도 나눌 수 없었다. 제인은 마이클을 품었고 마이클은 제인은 안았다. 그들의 사랑이 지금 사랑해도 될까요?하는 제목에서 더욱 느껴진다. 이 책을 통해서 사랑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