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죽음의 조건
아이라 바이오크 지음, 곽명단 옮김 / 물푸레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내가 오늘 죽는다면 가장 후회하는 것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풀어가고 있다. 이 질문에 30년동안 죽음을 지켜본 호스피스 전문의로 통해 해답을 찾고 있다. 다시말해 일찍 자신이 깨달았다면 더욱 소중한 삶, 즉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 것이었는데 하는 아쉬움도 함께 쓰여진 책이다. 추락한 비행기안에서 가족들과 사랑하는 이들에게 짧은 통화로 "사랑해, 사랑해"라는 말을 전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의 얘기를 많이 들었다. 또한 바다속으로 빠져들면서 가족들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남기기도 한다. 죽음은 모두에게 숙연함을 준다. 죽음은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죽음을 맞이하는 이과 죽음을 배웅하는 이들의 공통점이 아쉬움이다. 그래서 죽음 직전에 자신이 삶을 마무리하면서 가장 아쉬운 것들을 하고자한다. 미움과 증오로 가득했던 사람을 찾아서 용서를 구하고 화해를 하는 경우도 있다. 즉 관계를 풀고자 하는 이들이다. 가족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를 풀고자 한다. 특히 가족과의 관계에서 때를 놓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것을 하고자 한다. 가족은 평생 자신과 함께 했다. 그 안에서 아픔도 즐거움도 주었다. 때로는 시집살이를 당했던 며느리가 죽음을 기다리는 시어머니 앞에서 용서를 구한다든지, 아님 시어머니가 미안하다 며느라하는 분들도 있다. 이것은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의 맺혔던 관계를 풀고자 함이 보인다. 또한 사랑하는 이들에게 나눈 것이다. 사랑과 용서이다. 이곳에서 관계를 단단히 할 수 있는 고리는 용서와 화해를 통해 얻는 기쁨과 감사이다. 기쁨은 최고의 영양분이다고 했다. 또한 함께 했던 이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며 사랑으로 도약하고 관계를 치료하는 것을 보게 된다.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은 모든 것을 포기한 상태이다. 아니 받아들이는 상태이다. 죽음보다 더 깊은 것은 없기에 용서를 화해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더 늦기전에 해야 한다. 즉 죽음을 갖기 전에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죽음을 맞이할 때의 모습과 죽음을 보는 이들의 마음이 함께 나눌 수 있어야 죽음은 아름다운 것이 된다. 이런 관계적인 회복이 죽음안에서 서로 작별 인사를 나누게 된다.
혼자왔다 혼자가게 된다. 그렇지만 혼자였지만 우리는 서로에게 소중한 존재가 증오의 존재가 되었다. 그런데 죽음을 앞둔 이들을 증오할 수 없다. 화해하게 된다. 용서하게 된다. 이러함으로 진정한 죽음속에서 작별을 나누게 된다. 이 책을 정리하면서 한마디로 죽음직전에 해야 할 분명한 것은 관계 회복이요 용서와 화해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