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처 주지 않고 할 말 다하는 말솜씨 - 똑같은 말이라도 이렇게 해야 마음이 다치지 않지
허야거 지음, 김경숙 옮김 / 센시오 / 2020년 5월
평점 :
저자는 허야거는 정신과의사이자 스피치 훈련 전문가이다.
그는 정신과의사로서 임상되어진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통의 문제속에서 상처받고 있는 이들을 바라보며 말이란 것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이렇게 말한다.
"말은 누군가를 감동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도구다. 반면에, 손 하나 까딱하지 않고서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는 무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자는 '상처 주지 않는 말을 어떻게 마음에 담을 수 있을까?'에 대한 연구와 임상속에서 "말솜씨"를 알게 되면서 말솜씨의 변화에 따른
삶의 변화를 나누게 된 것이다.
말솜씨는 자신과 타인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말에는 다양한 색깔이 있다. 말하는 이의 색깔이 말에 담겨있다. 그런데 말이 많으면 실수가 많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은 말하지 않고는 살
수 없다. 자신과 함께 하는 이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말을 한다.
그런데 말을 통해 상처를 주고 받는다는 것이다. 의도하지 않는 문제들도 말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말하는 이의 의도를 달리 해석하는 듣는
이가 있다. 이를 두고 말하는 이의 잘못이요, 실수라고 할까, 아니면 듣는 이의 문제라고 해야 하나, 쉽게 결론 짓기 어려운 것이다.
이 책의 주요부분은 2부이다.
"상처 주지 않고 할 말 다하는 말솜씨"이다.
상처 주지 않고 할 말 다하는 말솜씨를 가질 수 있을까. 성자가 아니면 가능해 보이지 않다. 그런데 저자는 가능함을 설명한다.
저자는 '누구나 듣기 좋은 말을 좋아한다'는 사람들의 마음을 살피면서 핸드위치 전략을 사용한다. 칭찬, 비판 또다시 칭찬 등의 과정을 통해
비판을 위한 칭찬, 비판을 교정시키는 칭찬의 기술을 통해 '자존심에 상처 주지 않고 잘못을 바로잡"는 방법을 사용한다.
옛말에 채찍과 당근을 잘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말이다. 말 한마디가 천냥 빚을 갚는다고 한다. 말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엄청난 역사를 이루었다.
우리들은 말로 인해 가까운 가족과 동료들에게 상처를 준다. 이제는 말로 서로의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저자의 책을 통해 배워야 한다.
제대로된 말솜씨는 제대로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대로된 인간관계를 원한다면 저자의 책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