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지금부터 나의 무지를 말해보자. 나는 지금까지 스페인에 있는 그 유명한 성당에 이름이 있다고 단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다. 내 무식함을 고백하자면 가우디 대성당이라고 만 알고 있었을 뿐 정식명칭이 ‘사그라다 파밀리아‘인 걸 오늘 책을 읽고 알았다. ‘까사 밀라‘도 존재는 알았지만 명칭을 오늘 알았다. 다행히도 책이 가독성이 있다. 이 기회에 무지한 경계선을 넓혀봐야지. 정확히는 성당도 아니었다.
🗼제목을 다시 본다. 인간적인 건축이란 무엇일까. 뭘 모르는 나는 한 번 마음대로 생각한다. 시간을 거슬러 우리 문화가 계속 다음 세대로 건네지는 것에 주목해 본다. 건축도 문화의 부분으로 마찬가지. 내가 다 완공하지 못한 건축물을 다음 세대 혹은 다른 주체가 이어 받는 것. 유감이지만 지금 대한민국에서는 쉽지 않다. 우리로 치면 시공사 바뀌면 완전 꽝. 그렇다면 이런 명성의 건축물은 진짜 무언가가 있구나.
🗼질서와 복잡성. 작가 토마스 아저씨의 말처럼 이 두가지, 상승과 하강은 건축 뿐만이 아닌 모든 것을 흥미롭게 하는 듯하다. 이 책은 유명한 건축물에 대한 대중의 상식을 늘리는 책이 아니다. 토마스 아저씨는 독자에게 집요하게 묻는다. 그리고 나는 그 대답으로, 내가 만들어갈 세계의 가능성은 무엇일지 고민을 하고 있다.
🗼유명 도시의 비인간적인 설계의 건물 사진을 차례차례 보다가, 작가의 질문을 받는다. ˝지금까지 본 건물이 당신에게는 어떤 느낌을 주는가?˝ 작가가 우리나라 건물을 봤다면 뭐라 말했을까.
그래도 홍콩 건물 보다 낫지 하다가도 꽉찬, 그리고 복잡한 느낌도 홍콩의 정체성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지만 책 속 홍콩 사례로 나온 건물은 너무했다. 문제는 우리 나라 아파트에도 요즘 이런 식이 있다는 ㅠㅠ
🗼 그저 단순히 녹지나 오래된 옛 건축이 아닌 따분한 건물은 사랑받지 못한다는 저자의 견해를 뒷받침 하기위해 예시로 영국과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건물 10선을 한참 바라봤다. 내가 주목한건 저자의 의견이 맞다는 확인이 아닌 나의 무지 혹은 무관심이었다. 그리고 철거되는 건물에서 나오는 폐기물이 전체 폐기물에서 차지하는 비율. 건물을 오래 써야하는 이유. 그렇지만 단지 디자인때문에 건물을 폐기하는 건 아닐텐데.
🗼 작가인 토마스 아저씨는 비인간적인 모더니즘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토마스 아저씨가 왜 그러는지 책을 읽다 보니 알 것도 같다. 왜 모더니즘이 자격이 있는 건축가에게 계속 이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작가의 서술이 꽤나 논리적이다. 그럼에도 대부분 건물은 비용때문에 같은 직선과 비슷한 건물을 만들었을것 같은 경제적 이유가 더 컸을 것 같은데.
🗼 왜 모더니즘의 건축이 지금까지 대세인지 관련하여 효율성의 집착은 한국 사람으로서 동의도 되지만 변명도 하고 싶은 부분이다. 저자의 말이 다 맞다. 맞는데 우린 땅이 좁은데. 우린 집 살때 큰 돈 들일수 가 없단 말이지. 방도 보통 작아서 침대나 책상은 사각이고 벽이 붙이는 게 당연한 대한민국인데 ㅠㅠ 내가 새로 건물을 짓는다면, 혹은 기존 건물을 재사용 한다면 어떻게 문가와 겉모습을 만들고 싶을까. 어떤 용도의 건물에서 어떤 정체성을 보여주고 싶을까. 지금 집을 다시 샤샥한다면 어떤 모습을.
🗼토마스 아저씨는 강경하다. 불편하다가도 가치관을 바꾸고 싶어진다. 꼭 건축뿐 아니라 모든 것에 대해서. 작가의 제안처럼 의견을 가지고 대화를 하고 더 나은 것을 요구할 수 있는 생각, 격분, 호기심, 감탄을 가질 수 있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