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는 또한 ‘예술을 위한 예술‘을 주창하는 유미주의도 비판한다. 유미주의는 예술과 도덕을분리하려고 하면서 도덕과 무관한 순수한 아름다움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니체는 예술은 우리의삶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고 본다. 삶은 자신의 고양과 강화를 위해서 항상 모든 것을 평가한다.
다시 말해 그것은 자신의 고양과 강화에 유리한것은 좋은 것으로, 그렇지 않은 것은 나쁜 것으로평가한다.
- P118

비극은 삶의 비참함과 허망함을 표현함으로써 욕망을 버리라는 가르침을 주는 게 아니다. 비극이 주는 메시지는 건설과 파괴를 거듭하면서 놀이하는 세계의 충일한 생명력을 닮으라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의 생명력은 운명의 장난으로 급격하게 비상했다가 급격하게 추락해버리는 비극 주인공의 삶으로 나타난다. 비극 주인공은 비참한 운명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을 받아들인다.
- P122

니체가 사유하는 과정에서 대결했던 괴물은 니힐리즘과 염세주의다. 니체는 그리스도교의 붕괴 이래 근대인들이 니힐리즘에 빠졌다고 보았다. 니힐리즘은 삶과 세계에서는 아무런 목적도 의미도 없이, 모든 것이 덧없이 생성되고 소멸할 뿐이라고 보는 사상이다. 니힐리즘은 당연히 염세주의로 귀착된다. 사람들은 아무런 목적도 의미도 없이 결국은 허망한 죽음으로 귀착되는 삶에 대해 염세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 P123

물론 마르크스는 그리스도교의 인격신을 허구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 역시 그리스도교와 마찬가지로 공명심과 승부욕을 배격하면서 자신이 지향하는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경쟁과 승부욕 대신에 사랑과 연대가 지배할 것을 기대했다. 이 점에서 니체는 마르크스 사상을 비롯한 모든 평등사상은 그리스도교의 연장이라고 본다.
- P126

그리스인들은 경쟁과 투쟁을 인간사회뿐 아니라 우주를 지배하는 원리로 보았다. 이러한 생각은 "투쟁은 만물의 아버지"라고 말한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에서 잘 드러난다. 모든 것이 경쟁과 투쟁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하고 변화하는 우주가 바로 그리스인들이 생각하는 우주였다. 경쟁과 투쟁이 사라진 세계는 조화롭고 평화로운 세계가 아니라 죽은 세계라는 것이다.
- P129

이에 반해 악의적인 힘을 향한 의지는 자신보다 약한자들만을 찾아서 괴롭히고 지배하려는 의지다.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갑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 예다. 자기보다 불리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통해 자신의 강함을 손쉽게 느끼고 싶어 하는 비겁한 의지다. 자기보다 강한 자와의 대결을 통해 자신을 고양하거나 강화하려고 하지 않기에 아무런 발전도 없다.
세상에는 흔히 악의적인 의지가 판치기에 이 세상은 비극이다. 
- P130

니체는 우리가 경험하는 고통스러운 현실과 아폴론적인 가상은 서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리스인들은 다른민족들과는 달리 삶의 고통과 고뇌를 극히 민감하게 느끼는 민족이었기에, 고통과 고뇌를 견디기 위해 올림포스 신화라는 환희에 찬 신들의 질서를 창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는 그리스인들이 올림포스의 환상적인 세계로 도피해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리스인들은 신들도 인간과 동일한 삶을 산다고 봄으로써 인간의 삶을 정당화하고 신성한 것으로 만들었다.
- P138

『비극의 탄생』은 니체 자신이 인정하는 것처럼 한계를갖고 있지만, 그럼에도 후기 니체의 사상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강력한 맹아를 가진 책이다. 후기 니체가 전개하는 힘을 향한 의지 사상은 디오니소스 신의 충만한 생명력에 대한 사상을 발전시킨 것이다. 그리고 영원회귀 사상은 디오니소스 신을 표출하는 현상세계가 갖는 완전성에 관한 사상을 발전시킨 것이다. 그리고 초인 사상은 『비극의 탄생』에서 말하는 디오니소스적인 힘의 화신인 프로메테우스에 관한 사상을 발전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극의 본질은 가상이나 아름다움과 같은 아폴론적 범주로 이해할 수 없다. 사람들이 비극을 보면서 경험하는
‘개체의 파멸에서 느끼는 기쁨‘은 음악의 정신으로 봐야 비로소 이해된다. 디오니소스적 음악이야말로 개별화의 원리 배후에 있는 저 전능한 세계의지, 모든 현상의 피안에 존재하며 어떠한 파멸에도 굴하지 않는 충일한 생명력을표현하는 예술이다. 
- P99

바그너는 니체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혁신은 그리스의 문화와 정신을 기준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바그녀는 그리스 문화의 정점을 아이스킬로스와 소포클레스의 비극에서 찾았다. 이들 작품이 자유롭고 강력하며 아름다운 그리스적 인간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유롭고강하며 아름답다"라는 말은 바그너의 책들에서 거듭해서나온다. 그는 자신의 오페라 <니벨룽겐의 반지> 속 지크프리트를 통해서 ‘자유롭고 강하고 아름다운 정신‘이 어떤 정신인지를 당대 사람들에게 분명하게 보여주려고 했다.
- P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마음씨에 사람들은 붐빌까요

자기 자신의 관객이자
감독이며 배우인 세상에서

투박하고 조용한 마음은
흥행하기 어렵습니다
- P188

내가 아는 나 자신이 나올 때까지
그래도 어떻게 되는지 끝까지
보고 싶다는 생각
- P1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사 체험도, 꿈도존재하는 정보는 전부 현실이자 동시에 허구이지….
- P92

난 종종
‘진짜 나는 이미 죽었고지금 이 나는 의체와 전뇌로 구성된 모사 인격이 아닐까?‘
싶을 때가 있어.
- P102

그렇게 인간과 똑같은 로봇을 만들 수 있으면 그건 로봇이 아니라 인간이잖아?! 외형만 다를 뿐......
- P102

로봇은 호의로 미소 짓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으로 미소 짓는다. 요즘은 인간도 그렇다.
- P104

잠깐! 저들에게도 인권이 있잖아.

그런 게 진짜 있으면 온 세상은 평화롭고 우린 실업자 신세겠지!
- P136

자식은 부모를,
로봇은 인간을닮는 법이지.
자네도 언젠가 나처럼 될게야.
- P143

옛날 어느 모험가가이런 말을 했지.….
‘인간은 가끔씩 잠시 멈춰 서서 생각하는 시간이필요하다.‘
‘그리고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인간뿐이다.‘라고.
- P144

현대과학으로는 생명을정의할 수없으니 말이다.
그것을 증명하기란 불가능하다.
- P244

소비중심적 삶이야말로 빈곤국들에 대한 폭력이에요.
- P303

만약 세포가 한없이 늘어난다면?
사람이 죽지 않고계속해서 지식이나경험을 쌓는다면?
어느 쪽이든 더 이상 옴짝달싹도 못하고 파국을 맞게 될 거다...
- P337

다양성과 흔들림을 얻기 위해 너와 융합하고 싶다.
- P3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 단행본은 주석으로 보충 설명이 많이 달린 관계로 작품과 주석을 동시진행형으로 읽으실경우 혼란스러울 수가 있습니다. 또한 작품의흐름이 끊겨 재미가 덜할 수도 있는 관계를 주석은 따로따로 즐겨주시는 편이 나을 거라고생각합니다.
또한 이 이야기는 픽션이며, 등장하는 명칭·설정·소품 · 설명은 전부 가공의 산물입니다.
이 단행본 내 정보로 인하여 독자 여러분 또는 그 주변 분께서 모종의 피해를 보거나 또는착각을 하셔도 전 아무 책임 없으니 부디 양해를 이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즐겨주시면 좋겠습니다.
시로 마사무네 1.7.19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