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하게도 11장에서 살펴볼 연구들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람에게 적어도 몇 가지 편견과 고정관념이 있고, 이러한 느낌과 믿음은 종종 타인에 대한 차별로 이어진다. - P512
그 결과 사람들은 특히 낯선 사람에게 편견 있는 사람으로 보이기 싫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그리고 이제 편협한 관점은 대개 편견 없는 근거로 방어할 수 있는 주장에 감추어져 미묘하게표출된다.이를테면 이렇게 말하는 식이다. "그렇다고 내가 성차별주의는 아니야. 그저 차별 철폐 조치가 역차별을 불러온다고 생각할 뿐이지." 차별 철폐 조치 같은 정책에 반대해 이념적이고 편견 없는 주장을 하는 건 가능하기 때문에 편협한 관점을 취하는 사람들은 종종 이러한 주제를 이용해 자신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편견을 감추기도 한다. - P512
요컨대 편협한 느낌. 믿음, 행동은 여전히 우리 사회와 세계에 확실히 존재하지만 과거에 비해 더 복잡하고 미묘하게 표현되곤 한다. - P513
흥미롭게도 위협과 관련된 고정관념과 편견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주변에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 어렴풋이 알고 그에 맞춰 반응하는 듯하다. 리베카널(Rebecca Neel, 2013)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젊은 흑인 남성들은 사람들이 자신을 두려워한다는 사실을 알고, 비만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역겨워한다는 사실을 안다. 그 결과 젊은 흑인 남성들은 좋은 첫인상을 남기고싶을 때 미소 지음(위험하다는 인식을 낮추는 행동) 가능성이 높은 반면, 비만인 사람들은 깨끗한 옷을 입을(더럽다는 인식을 낮추는 행동)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 P525
현실 집단 갈등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부정적 편견과 고정관념이 집단 간의 경제적 갈등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은 힘 있는 사람들과 단체가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고정관념과 편견을 전략적으로 조작한다고 주장했다. - P526
어린 엘리스에게 이것은 깨달음의 순간이었다. 그는 자신이 가난하고 가족이 사람들에게 숱하게 무시당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자신이 결코 ‘깜둥이‘가 될 수 없음을 사회계층이 자신보다 낮은 사람이 반드시 있으리라는 사실을 알았다. 그러고는 자신이 누군가보다 낫다는 믿음에 안도했다. - P537
심하게 부정적인 편견이 성격에 이상이있는 사람들에게만 나타난다는 자기 본위적믿음을 피해야 하는 이유가 하나 더 있다. 그것이 사실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11장에서 지금까지 배웠고 앞으로도 배우겠지만 우리 모두에게 어떤 종류든 부정적 편견이 있고, 우리 모두에게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이 있으며, 우리 모두 가끔 사람들은 차별한다. 물론 권위주의적인 사람을 비롯해 일부 유형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편견이 더 심하기는 하다. 그렇다고 해서 나머지 ‘우리‘가 자신에게 있는 부정적 편견, 고정관념, 차별적 행동의 과정과 결과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 P542
자아상이 좌절, 실패 등의 위협에 흔들릴 때 사람들은 부정적 낙인이 찍한 집단의 사람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더 높아진다. - P543
내집단을 높이거나 외집단을 깎아내리는 행동이 위협받은 자존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자존감이 상대적으로 낮아 지아 감각이 만성적으로 위협받는 사람은 그런 회복 전략을 적극적으로 취할 것이다. - P544
정형화는 개인을 특정 집단의 일원으로 범주화하고 그 집단 구성원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 사람에게도 있으리라고 추측하는 과정이다. 정형화가 항상 존재하는 것번째 이유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데 인지적 노력이 덜 드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누군가가 그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과 비슷하리라고 추정함으로써 그를 개인적으로 이해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고정관념을 통해 특정 집단의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설명하고 자세하게 예상할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누군가가 속한 집단을 확인하자마자 그 사람에 대해 많이 한다고 느낀다. 셋째, 고정관념은 모호한 행동에 대한 손쉬운 해석을 제공한다. 그래서 경찰관들이 디알로가 지갑이 아니라 총을 꺼낸다고 짐작한 것이다. 넷째, 고정관념은 어떤 사건이 일어난 이유에 대한 손쉬운 설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남자아이가 수학 시험을 망치면 운이 나빴다거나 노력이 부족했다고 생각하고, 여자아이가 수학 시험을 망치면 능력 부족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다섯째. 고정관념은 다양한 집단 구성원들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을 제공한다. - P547
즉, 사람들은 자신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리라고 믿을 때 집단에 들어갈 가능성이 더 높다. - P586
비슷한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팀에는 성취동기가 강하고 활동적인 사람(팀원들이 일을 하도록 끌고 가는 역할), 상상력이 풍부하고 호기심이 강한 사람(좋은 아이디어를 내놓는 역할), 포용력 있고 잘 수용하는 사람(팀원끼리 삐걱거리지 않게 조정하는 역할)이 1명씩은 있어야 한다. (Morrison, 1993) 또한 사교성이 좋은 팀원이 너무 많으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계속 붙잡고 있는 경우가 많고, 너무 없으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놓는 데 필요한 협조적 분위기를 만들지 못한다. (Barry & Stewart, 1997) 따라서 전반적인 결론은 다음과같다. 구성원들이 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과제에 필요한 요소에 잘 맞는성격 특성을 갖춘 집단이 가장 생산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 (Bell, 2007) - P588
더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질적 집단은 새로운 방식, 융통성, 변화하는 조건에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이 필요한 과제를 가장 잘해내는 경향이 있다. (e.g.. Nemeth, 1992) 창의력과 혁신이 필요한 직종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이 광범위한 영역의 협력자들과 함께 일할 때 생산성이 높아지는 게 대표적이다. (Pelz. 1056) 마찬가지로 전문성과 교육적 배경이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된 경영 팀은더 혁신적인 성과를 낸다. (Bantel & Jackson, 1989: Wiersema & Bantel, 1992) - P589
여기에서 핵심은 남녀를 떠나 가장 유능한 지도자는 환경에 맞춰 자신의 전략을 조정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요컨대 리더십의 발생과 마찬가지로리더십의 효율성 역시 사람(잠재적 지도자)과 상황(집단)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 P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