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는 새로운 사회적 정보에 완전히 공정하고 열린 마음을 유지하기가대단히 어렵다는 사실도 한몫한다. 그런 태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해도 잘되지 않는다.(e.g.. Lord et al, 1979) 사회적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과학자가 진리를탐구하는 과정보다 변호사가 의뢰인을 변호하는 과정에 가깝다. (Haidt, 2001) - P38
(Wilson & Ross, 2001) 타인은 그러지 않지만 자신은 환골탈태했다고 여기는 경향은 인간이 스스로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사회적 정보를 처리한다는 수많은 발견들과도 일치한다. (Greenwald et al. 2002: Kurzban2012: Vohs et al, 2005) - P38
기존의 관점들은 저마다 그림의 한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므로 큰 그림을보려면 각각의 접근법들을 통합해야 한다. - P39
이제 우리는 사회심리학을 관통하는 2가지 일반적 원리를 책 전반에 걸쳐강조할 것이다. (1) 사회적 행동은 목표 지향적이다. 사람들은 내면의 동기를 충족하거나 일정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상호작용한다. (2) 사회적 행동은 사람과 상황 사이의 연속적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 P41
상관관계인 변인들 사이에 또 다른 연관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관관계에서 명확한 인과적 결론을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원인과 결과에 대해 결론을 내리기 위해 변인과 함께 일어나는 다른 요소들을 변인들과 분리하는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 P56
사회심리학 책을 읽는 모든 사람이 연구자가 되려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누구나 친척, 친구, 연인, 동료, 심지어 길에서 마주치는 낯선 사람들의 행동에서도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회심리학의 기초를 이해하면 우리에게 이토록 크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을 새로운 렌즈를 통해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우리가 사회적 행동에 대해 평소 느끼는 직감은 약간 뒤틀려 있을 때가 많고 가끔 심각하게 틀릴 때도 있다. 다른 사람의 내밀한 동기와자신의 인지적 편향을 인식하려고 노력한다면 언뜻 ‘명백해‘ 보이는 것들에 눈이 멀지 않을 수 있고, 표면 아래에 자리한 복잡함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 P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