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저자 시몽 위로는 우리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소명을 제시한다. 그것은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이 어떤 곳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 P4
정원에서 우리는 이해하려 노력한다. 관찰한다. 그리고 너무나 오랫동안 잃어버렸던 놀라움을 느끼며 깨닫는다. 우리가 자연과 함께살기로 마음먹을 때 자연 역시도 우리와 함께 살기로 결심한다는 걸... 왜 아무도 우리에게 이것을 진작 알려주지 않았을까? - P5
새로운 하루는 새로운 의문을 던지고, 모든 의문이 곧 자연과의 열려 있는 대화이다. 정원에서 우리는 대화한다. 이 생기 가득한 대화에서는 어떤 언어 하나가 특권을 누리지 않는다. 모든 언어는 생명과 그것이 사람이든 아니든 관계를 맺을 힘을 가지고 있다. 정원에서의 교류는 모든 이의 언어로 이루어진다. 어쩌면 그것은 우리가 진정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인지도 모른다. 질 클레망 Gilles lement원예기사, 조경사, 정원사, 작가, 베르사유 국립조경학교 교수 - P7
"생태다양성은 태양 아래 눈처럼 녹아내리고 있다..." 맞는 말이지만, 왜 아무도 생태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 더 나아가 망가진 생태계를 복구하고 새로운생태계를 만들어내는 것이 생각보다 훨씬 쉽다는 말은하지 않는 걸까요? 이건 마법이 필요한 일이 전혀 아니에요. 그걸 가장 잘 보여주는 증거가 우리네 정원이고요..…네? 책이요? 좋아요, 한번 써보죠! - P9
우리는 계획도 세우지 않았었고, 원대한 목표를 정한 것도 아니었고, 특별히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한 것도 아니었다. 우리는 신념도, 방향성도 전혀 구체화하지 않은 상태였고, 충동적으로나마 이곳에 오게 된 데에 만족할 뿐이었다. - P14
자연은 그 혼잡함 속에서 행복해한다. 그것은 자연의 본성이고, 우리가 손을 댈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모든 것은 걸레질할 수 있어야 하고,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위생적이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생명은 관상용 도자기가 아니다. 생명은 더럽다. 우리가 허락하기만 한다면 생명은 온갖 곳에 오물을 남길 것이다. 그렇기에 인간은 생명과 거리를 유지하려 하는 것이다... 자연은 공허를 혐오한다. 나도 그렇다. - P91
모든 것들이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스스로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면 한시도 지루해지지 않는다. 나는 만약 개구리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면 왜가리나 지나가던 뱀이 우리를 위해 상황을 정돈해줄 거라는 사실을 단 한 순간도 의심하지 않는다. 나는 개인 정원이라는 나의 영역, 그리고 스스로를 즐거운마음으로 스스럼 없이 이 정원에 초대하는 야생의 불확실한 흐름 사이에 존재하는 이 경이로운 스며들의공간에서, 내가 차지하고 있는 관찰자이자 행동가로서의 자리가 좋다. - P112
나에게 정원은 간섭과 밤이 길들임과 야생, 통제욕과 통제 불가능성, 인공과 자연... 그 사이에 영원히 존재하는 숙여야 한다. 발이 두 개든지, 여섯 개든지, 여덟 개 혹은 그 이상이든지 아니면 아예 없든지, 긴털이 있든 없든지, 털로 덮였든지 안 덮었든지 모든 존재가 만나 조화를 이루는이 정원에서 우리는 같은 것을 소망한다. 내 집 같은 공간에서 무탈히 지내는 건... - P115
이 살아 숨 쉬는 정원에 어찌 흥미를 잃을 수 있겠는가? 정원을 보며 지루해지는 이가 있다면 "그건 정원을 제대로 보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가장 작은 정원조차 언제나 우리에게새로운 발견거리와 마음을 사로잡는 볼거리를 끊임없이 제공해준다. 생명과 다양성을 창조하고 싶다고 해서 신이나 부자나 학자가 될 필요는 없다. 사실 그저 손에 흙을 조금 묻히기만 하면 되는 일이다. - P116
나는 이 세상을 구하지는 못할 것이다. 하지만 지구 위 작은 한구석에서, 삶은 괜찮게 굴러간다. - P117
비록 우리가 오늘 실패하더라도 결국 자연은 텅 빈 틈새를 우리가 기대한 이상으로 메우고 결국 이 세계를 가득 채울 것이라는 믿음 말이다. - P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