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사람‘의 비밀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Buonarroti, 1475~1564

당시 서양인들은 인간의 능동적인 정신적 활동, 즉 명상이나 열반(nirvana) 같은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중세 기독교적인 관념에서는 모든 것이 신에 의거하고 있기에 인간이 능동적으로 사유하고 자아를한다는 생각이 자라나올 수 없었다. 명상을 통해 내적인 깨달음과 열반에 도달한다는 것은 곧 자기 안에 존재하는 신성함의 본질을 깨닫는 것이라는 불교적인 개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로렌초상은 유럽적인 맥락에는 없는인간의 "조용한 정신적인 집중 상태"를 표현하게 했다는 점이중요하다고 논문은 강조한다. 
98p

문화적 융합의 힘은 곧 르네상스를 움직인 중요한 힘이다. 각 종교 의 근본주의 분파들, 순혈주의자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모든종교와 문화는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융합해서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10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 앤의 이야기

눈치 빠른 마릴라는 앤의 이야기에서 행간을 읽고 진실을 파악했다. 진짜 집이 생겼다며 그토록 기뻐한 것도 이해가 갔다.
8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 웃는 여자의 웃지 못할 이야기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여자에게 웃음을부여했다는 것은 더욱 과감한 시도였다. 모나리자는 웃기지 않으면서 웃는 여자, 이브가 저지른 원죄로 얼룩진 지상에서 감히웃는 여자였다. 이것은 당시의 통념에서 벗어난 혁명이었다.
84p

그런데 우리가 보고 있는 성모의 환한 웃음은 한 치 앞을모르는 인간, 이 순간만이 전부인 인간, 지금-여기에서 일점소실점을 응시하고 있는 원근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인간의 표 정이다. 종교적 구원이 약속하는 저승의 삶보다 지금-여기의이승의 삶이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질 때야 비로소 웃는 여자가 그려질 수 있었다. 
85p

정확하게 표현하면 그 미소는 가장 이상적인 웃음, 신플라톤주의적인 웃음이다. 이것은 우리가도달해야 할 궁극의 웃음이며, 동시에 일종의 시대를 앞서는 방향 제시적인 웃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가 지금 - 여기에서 웃고 있다는 것은 지금-여기에서행복하다는 의미다. 이 책은 낙원에서 쫓겨나며 우는 여자 이브에서 시작했다. ‘우는 여자 이브‘에서 ‘웃는 여자 모나리자‘로 오기까지 100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8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영원한 사랑, 달콤한 불행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1444/1445~1510

나른한 듯 활기 없는, 때로는 "지치고 침울해" 보이는 보티첼리의 여인들은 모두 사랑 속에서 태어났으니말이다.
62p

숭배는 나는 이렇게 보잘 것 없지만, 그(그녀)는 나보다 우월하리라는 검증 없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나보다 우월한 존재를 통해서 내게 주어진 현실의 비루함을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숭배다.
68p

숭배에서 비롯된 사랑이 플라토닉한 사랑의 경계를 넘어 부부라는 현실적인 관계가 되는 순간, 남는 것은 프루스트의 『잃 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스완이 느낀 것 같은 실망과 환멸뿐이 다. 그러니 실패한 사랑, 가질 수 없었던 사랑은 사랑이라는 감정을 영원한 것으로 만든다는 역설이 발생한다. 
7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 초록 지붕 집에서 맞은 아침

하지만 지금은 아침이었다. 그래, 마당에 꽃이 활짝 핀 벚나무가있었지. 
65p

한쪽은 사과나무 과수원이었고 다른 한쪽은 벚나무가 가득했는데, 여기도 꽃잎이 비처럼 쏟아졌다. 나무 아래 풀밭에는 민들레가 여기저기 피었다. 그리고 눈 아래 정원의 라일락 나무에는 보랏 빛 꽃이 만발했고 아찔할 정도로 향기로운 라일락 향이 아침 바람을타고 창문으로 흘러들었다. 
66p

아름다운 것을 사랑하는 앤은 그 모든 풍경을 허기진 듯 바라보며눈길을 거두지 못했다. 가엾게도 지금까지 아름답지 못한 곳들만 지겹도록 보며 살았는데, 이곳은 앤이 꿈꾸던 모습 그대로라 할 만큼아름다웠다.
6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