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와 나는 그 나무를 잘생긴 나무라고 불렀다. 우리는 나뭇잎 모양이나 열매를 보며 나무의 진짜 이름을 알려고 애쓰지 않았다. 이름에도 진짜와 가짜가 있을까. 
- P9

 잃어버린 화살을 찾으려면 같은 방향으로 한번 더 활을 쏴야 한다고 할머니는 말했었다. 오래 고민할 것도 없다고 했다.
"그것이 맞나 틀리나 긴가민가할 땐 똑같은 짓을 한번 더 해봐."
- P10

레인코트는 ‘이를테면‘이란 말로 얘기를 시작했다. 그 문어체 말투에 묘한 반감이 들면서도 이 사람은 어떤 걸 보고 어떤 생각을 하길래 그런 단어를 쓸까, 호기심이 일었다. 
- P18

다 울어버리지 말고 울고 싶은 마음에서 한 걸음 물러나 울고 싶은 자신을 바라보라고 했다. 그런 복잡한 설명을 들으면서 차갑고 새콤한 오미자물을 마시면 내 슬픔은 어리둥절한 눈을 한 채 나에게서 멀어졌다. 
- P31

세상은 그렇게 S자 곡선을 그릴 때까지 기다려주지 않는 법이니까.
- P33

어떻게 이 땅이 보리차차가 아닐 수 있을까. 내 눈에는 흙이 된 보리차차의 귀와 나무뿌리가 된 보리차차의 다리가 보였다. 
- P38

누군가를 힘껏 끌어안아도 이 열린 창문은 닫을 수 없을 테니까. 죽은 개는 더이상 만질수 없으니까. 살아 있던 개도 날 안아준 적은 없었다. 
- P38

그날은 굵은 가을비가 내렸고 할머니는 보리차차에게 모자가 달린 우비를 입혀주었다. 
- P39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건, 어떤 이야기는 너무 비참하게 끝난다는 것이었다.
- P39

나는 내 욕구를 설계하는 것도 이렇게 힘든데 세상에는 어떻게 그 많은 불행이 예정되어 있는 걸까.
- P40

왜 목소리에는 주름이 있을까. 내 얼굴에 닿던 할머니의 손과 그 감촉. 하도 떠올리다보니 맛도 느껴졌다. 칼칼한 고춧가루 향.
물엿처럼 달고 끈적거리는 온기, 고사리나물처럼 쓴맛이 맴도는 할머니의 당부. 보리야, 아프지 마라, 아프지 마.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맑은 눈으로 살펴주시지요.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병실로 퇴근합니다
고윤아 (지은이), 제작자 고간호사, 2023-07-07, 에세이, 142쪽

#독립출판 #병실로퇴근합니다 #간호사이자환자 #고간호사

🍊 표지 오른쪽 아래 3줄로 쓰여진 ‘환자 고윤아 /담당 간호사 고윤아 / 글쓴이 고윤아‘ 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표지를 넘기지 못하게 하는 세줄이다. 그 옆 좌측에는 ‘난치병과 함께 사는 고간호사의 담담한 이야기‘라고 적혀있다. 그럴 것 같다. 예전 30일 미션 글쓰기에서 고간호사 고윤아 작가님의 짧은 글을 한 달 글쓰던 동료로서, 독자로서 매일매일 기다렸다. 담담한 이야기. 연약함도 강함도 같이 느껴지고, 슬픔도 따뜻함도 미묘하게 깔린 그 많은 감정들을 담담하게 풀어나간 글이었다.

🍊 책날개의 글을 보며 살짝 나올까봐 힘주던 눈물은 떨어지지 않았다. 눈물 대신 공감을 하고 응원을 보냈다. 특히 ‘바꿀 수 없는 현실은 받아들이고, 억울함과 슬픔은 버리며 삽니다.‘ 이 문장에... 그랬는데 들어가는 글을 읽다가 더 눈에 힘을 주어야했다. 나의 표내지 못하는 감정을 들킨것만 같았다.

🍊 ‘숨기진 않았지만 솔직하게 말하지도 않았던 지난날‘이란 표현을 다는 몰라도 충분히 짐작한다. 내 방식대로겠지만. 아니 더욱더 복잡한 마음이다. 고윤아 작가님 책을 읽으며 나에 대해 생각한다. 차마 표내지 못했던 내 이중적이고 다중적인 마음도. 차마.. 남기진 못하겠다.

🍊 더 남기고 싶은 구절들

🌱불안함과 좌절과 슬픔과 우울과 괴로움을 포장한 채 멋쩍은 웃음을 지으며 씩씩하게 대답했다.
17

🌱간호사와 환자 역할 그 사이에서 늘 양쪽의 마음을 이해해본다.
42

🌱이쯤에서 잠깐 얘기하자면 ‘아픈데 왜일을 하냐‘, ‘집에서 쉬면 되지않냐?‘라고 생각하는 분이 있을지 몰라 말한다. 많은 이들이 그렇겠지만 돈 없이생활하는 건 불가능하다. 나도 생활은 해야 하니 돈은 있어야 했다. 
47

🌱한참을 실컷 울고 정신을 차렸다. 그날, 나는 절대적으로 살겠다는 결심을 했다. 무슨 일이 있어도 반드시 정신차리고 살겠다고, 아프고 힘들어도 버틸 것이라고. 68

🌱슬프면 펑펑 울고, 괜찮아지면 다시 또 살아갈 방법을 궁리했다. 방법은 반드시 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뭐든 해보길 바란다.
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은과 인곤은 함께 생각의 고리를 짚어보고 있었다. 두 사람은 동시에, 각자 서로를 평가하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 P41

자은은 질문만 사슬처럼 늘어지고 있다고 느꼈다.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이반 일리치의 죽음·광인의 수기 (모노 에디션)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은이), 석영중, 정지원 (옮긴이) 열린책들 2024-03-05, 224쪽, 러시아소설

#빈칸놀이터프로그램
#문학을낭독하는사람들
#문낭사

🍊 문학을 낭독하는 사람들, 5월도서로 톨스토이를 만나게 되었다. 열린책들 모노에디션으로 나온 이 책은 중편 <이반 일리치의 죽음>과 미완성 단편 <광인의 수기 > 두 편이, 단편만큼 긴 역자 해설 과 함께 묶여있다. 톨스토이라면 지금은 기억이 99%소실된 학상시절 읽었던 <안나 카레리나>와 너무나도 유명한 단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가 유일하게 읽었던 전부인데, 이 책을 읽으며 그 두 책을 다시 읽어보고, 다른 책들도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강력하게 들었다.

🍊 5월 문낭사 책 두 권의 후보 중 고민할 때, 4월을 함께했던 분께서 봄에는 죽음을 생각해야한다는 멋있는(?) 말씀을 하셔서 최종 선정하게 된 책이다. 그런데 <이반 일리치의 죽음> 뿐 아니라 <광인의 수기>,그리고 내가 유일하게 이전 읽었던 톨스토이 작품까지 모두 ‘죽음‘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역자 해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 네 편 뿐 아니라 평생 톨스토이는 죽음을 성찰했고 작품으로 드러냈던 것이다.

🍊 최근 3년 정도 내가 가장 고민하고 깊게 생각해온 두 세가지 중 하나가 죽음이었다. 책리뷰 때 가끔, 그리고 얼마전 공저로 나온 글에서도 남긴 나의 미완성 결론은 죽음도 삶도 다른 게 아닌가 보다 였다. 대문호 톨스토이에 근접했다는 오만이나 무지는 아니다. 그저 이런 생각을 이미 많은 문인들이 했고 톨스토이가 작품에서 말하는 바라는 걸 역자 해설에서 다시 확인하며, 뭔가 위로와 격려를 받는 느낌이었다.

🍊 꼭 봄 (무언가 시작되는 시기. 생명의 시작) 뿐 만이 아니다. 삶에는 죽음을 생각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