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하나와 딸 하나를 둔 오미실여사를 그나마 살뜰하게 돌봤던 것은 딸인 저자였다.
내가 병원에 입원해있으면서 느낀 것은 환자를 돌보는 자식들이 대부분 딸이라는 것이었다.
아들이나 며느리는 그냥 손님이었다. 간병인이나 붙여주고 가끔 얼굴이나 들이미는.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헤매고 진찰을 위해 병원을 뺑뺑돌고 불친절한 병원하고 싸워야 하는 현실에서 살아남아서 다행이다. 창문넘어 탈출하다가 큰일이라도 당했으면 자식에게 대못을 박는 일이었을텐데 정성이 하늘에 통했던지, 병원들의 폭력에 정신이 번쩍 들었는지 오미실여사는 일상을 되찾았다고 한다. 다 살았다.
저자의 말마따나 실버세대의 폭발적 증가로 의료비의 증가도 문제이지만 요즘 자식들이 누가 저자처럼 알뜰하게 부모를 챙길 수 있을까. 저자의 남편처럼 자신의 부모는 절대 요양병원에 보내지 않겠다고 결심하지만 큰소리칠 수 없는 현실이다. 읽는 내내 동갑 오미실여사에서 내모습이 겹쳐져서 불안하고 겁나고 화가났었다. 그래도 직시해야 할 현실임을 안다.
제발 나는 자식들 고생시키지 말고 곱게 딱 한달만 병원에 있다가 죽어야 할텐데.
간밤에 죽어버리면 더 좋겠지만 남은 자식들 말에 의하면 그런 죽음도 너무 힘들단다.
자식들과 이별할 시간정도는 주고 가야 아쉬움이 덜하다니 큰일이다. 오는 것도 옵션이 없더만 가는 것도 옵션이 없다. 쩝. 미션이라도 잘 완수하고 떠나야 할텐데 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