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내 안의 우주 - 응급의학과 의사가 들려주는 의학교양
남궁인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몸의 구조가 이렇게 정밀하고 과학적이라니 정말 놀랍다. 몸을 치유하는 의사이지만 마음까지 보듬는 의사의 이야기가 참 감동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몸, 내 안의 우주 - 응급의학과 의사가 들려주는 의학교양
남궁인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주의 크기는 알 수가 없다고 한다. 계속 팽창되기도 하고 너무 어마어마해서 그렇다고 한다.

그런 면에서 보면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속은 모른다'라는 속담도 그렇다.

여기에서 사람속은 마음을 뜻하고 있겠지만 사실 신체 자체도 그렇지 않을까.

MRI나 CT를 찍으면 다 보이니까 다 알지 않냐고 물으신다면 것도 그렇네 싶지만 말이다.



일단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 치료를 하는 사람들은 하늘이 선택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공부를 잘해서, 존경받는 직업이니까, 돈을 잘 버니까 선택한 사람도 있겠지만 사실 우리같이 평범한 사람들 눈으로 보면 참 극한직업이라고 생각한다.

매일 아픈 사람만 만나야 하고 삶과 죽음의 치열한 현장에 있어야 하니 말이다.

물론 아름다움을 위해 얼굴을 고치고 피부를 다듬는 의사도 있긴 하지만.



학창시절 우리 몸에 대해서는 생물시간을 통해 어설프게 배웠다.

'우리 몸의 70%는 물이다'라는 것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영양소는 무엇이고 피부의 구조는 어떻고 정도는 배운 셈이다. 하지만 저자의 말마따나 사람의 이름을 붙인 무슨 병이 나오거나 하면 골치가 아프다. 과거에 의사라는 직업은 환영받지 못했다고 한다. 뼈와 살, 피를 다루는

직업이니 고상할리가 없다. 그래서 초기엔 이발사가 대신하기도 했다던데.



나이가 들어가니 내 몸에 대해 알고 싶지 않아도 알게된다. 먹는 약이 많아지고 여기저기서 고장났다고 아우성이니 알지 못할 도리가 없다. 소화도 잘 안되고 관절도 삐꺽거리고 눈도 침침하다. 노화이려니 해도 걱정이 안될 수는 없다. 오래 살기 보다 건강하게 살아야 하기에.

우리 몸안이 이렇게 복잡하게 되어 있다니. 그야말로 조물주의 명작이 아닌가 싶다.

어떤 세포가 지구의 어떤 환경과 만나 진화했다는 인간의 몸은 과학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장기 하나 하나의 기능과 소중함을 잘 알려주니 늙어가는 몸이 더 소중하게 다가온다.

특히 가장 급한 환자들이 몰려드는 응급의학과에서 일하는 의사이니 처치능력이나 시간이 얼마나 중요할지 짐작이 간다. 그럼에도 사과주스를 들이켜가며 지키는 응급실의 풍경이 잘 그려져 있다. 더구나 우주과 같은 우리 몸의 구성을 어렵지 않게 잘 설명해주어 감사하다.

가장 감사한 것은 최대한 다정하게 대한다는 그의 소신이었다.

병원에가면 무표정하거나 차갑게 구는 의사가 얼마나 많은가. 병도 고치지만 마음도 어루만지는 그런 의사가 많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그런 점에서 어깨에 손을 얹어주고 위로해주는 그의 마음이 그대로 전달되어 마음이 편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 대를 위한 교실 밖 경제학 - 경제 교과서를 뒤집는 7가지 질문 생각하는 돌 27
서재민 지음 / 돌베개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고보니 학창시절 경제학을 따로 공부한 기억이 없다. 대학에서 따로 공부하는 학문정도로만 생각했던 것 같다. 사회과목에서 약간 배운 것 같은데 지금 이 책을 보니 정말 빙산의 일각도 못되는 수준이었다.



우리가 지금 숨쉬고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는 것처럼 경제는 우리 삶에 늘 존재하는 중요한 문제인데도 말이다. 이 책은 청소년 경제 교양서로 현직 사회교사 여러분이 먼저 읽고 추천한 책이지만 어른들도 꼭 읽어야 할 경제서이다. 어른들도 경제를 모르니 말이다.



그러고보니 경제에는 ~~법칙이란 용어가 꽤 많다. 경제를 원할하게 돌아가게 하기위한 장치들이 꼭 필요해서 만든 원칙일 것이다. 엊그제 올해 최저임금이 발표되었는데 고작 몇 백원 정도가 올랐다고 한다.

근로자가 받아야 할 최저임금이 이렇게 낮았었다는걸 인식하지 못했다.

그 몇 백원을 올리기 위해 근로자들이 투쟁을 하고 파업을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공감한 내용은 '부자국가에 살지만 내가 부자라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었다.



내가 미국에서 유학할 때 가장 놀랐던 것은 노숙자가 엄청 많았다는 것이었다.

지나다닐 때 마다 노숙자들이 많다는 것은 알았지만 떠나오는 날 새벽 LA다운타운을 지나오는데 아직 어둠이 가시지 않은 시내보도위에 엄청난 노숙자들이 잠을 자는 모습이었다.

미국은 가장 부유한 국가가 아니던가. 그런데 노숙을 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고?

우리나라도 '한강의 기적'을 말할만큼 급격하게 경제발전을 이룬 나라가 맞지만 저자의 말대로 행복지수는 낮은 편이다. 급격한 경제성장은 오히려 이런 부작용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내가 요즘 자주 쓰는 말이 분명 어렸을 때 보다 풍요로와졌는데 왜 자꾸 헛헛하고 우울한가 하는 것이다. 밀가루와 보리밥이 지겨울 정도였는데 지금은 보리가 쌀보다 더 비싸다.

그럼에도 요즘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니...

일자리가 없어 대학을 나와도 방콕을 해야하고 높은 집값에 젊은이들은 내집갖기를 포기한다.

더구나 요즘의 경제상황은 최악이다. 거리를 지나갈 때 빈 가게자리가 넘치고 몇 백만 자영업자가 폐업을 했다는 뉴스가 나올때나마 과연 과거보다 우리가 잘 살고 있는지 되묻게 된다.

이럴 때 일수록 경제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희망이 보이기 때문이다.

경제공부는 책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 일상이다. 그러기 위해 이 책은 어렵지 않게 쉽게 다가온 경제책이다. 십 대를 위한 책으로만이 아닌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 연애 안 하겠습니다
최이로 지음 / 꿈공장 플러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은 하지 않더라도 연애는 좀 해봐야지. 연애고수의 실패법을 통해 제대로 된 상대를 만나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워낙 찌질한 남자가 많은 시대이다보니 연애참고서도 필요한 세상이다. 별이 다섯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 연애 안 하겠습니다
최이로 지음 / 꿈공장 플러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연애를 많이 해봤다는 것을 부러워해야 할지 그래서 끝난 연애 역시 많았다는 것을 위로해야할지 모르겠다. 마흔이 눈앞인 딸이 결혼에 대해 시큰둥한 편이기도 하고 나역시 굳이 결혼이란 것이 필요할까 싶어 여전히 조급함도 없긴 하지만 연애는 좀 해봐야하지 않나?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맛을 알고 연애도, 이별도 해본 사람이 더 리얼할테니 이미 연애를 하고 있거나 시작해볼 생각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보길 추천한다.

그리고 이미 아픈 이별을 경험하고 슬픔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라면 더욱 더!



고등학교 때 부터 거의 13년을 솔로로 지낸 1년정도를 빼고는 늘 연애중이었다는 것을 보면 남자들에게 꽤 인기가 있었나, 아님 외로운걸 못참는 성격이었던 것일까 생각하다가 남들보다

연습의 기회가 참 많았겠구나로 정리하기로 했다. 나처럼 제대로 된 연애랄 것도 없이 결혼에 직진한 사람이라면 더욱 이 경험치가 아쉬웠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무렵부터 그리 연애를 줄창해댄 친구에게 사랑을 너무 싸구려취급하는거 아니냐고 놀렸던 나는 결혼점수가 꽝이었고

그 친구는 결혼을 너무 잘해서 지금까지도 친구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으니 할 말이 없다.



어찌보면 자랑스러울 일도 아닌 여러번의 연애 이야기를 이렇게 쓸 수 있을 정도로 지금은 면역력이 생긴 것도 같아 다행스럽고 시행착오중인 사람들에게 조언까지 할 수 있다니 지나간 숱한 연애들이 값어치가 없었던 것도 아니었다. 어떤 연애 상대는 이미 하늘나라로 떠나 지금까지도 가슴에 남은 상대도 있었지만 그 것 또한 운명이었다고 생각하자.



그 중에서도 좋은 남자와 나쁜 남자를 구별하는 방법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나도 이 정도로 구별해낼 수 없다. 인생경험은 많겠지만 연애경험은 저자만큼 없기 때문이다.

눈에 콩깍지가 씌면 세상이 별천지가 되고 상대에 모든 것이 다 예뻐보이겠지만 연애는 장점을 봐야 할 수 있고 결혼은 단점마저 감쌀 수 있어야 할 수 있다는 말이 어찌 그리 맞는 소리인지 연애고수다웠다.

혼자 살아도 괞찬을만큼 자신이 단단하다면 결혼은 굳이 권하고 싶지 않다.

하지만 슬픈 이별이 있다해도 연애는 당당히 해보는게 어떨까. 아픈 예방주사 맞는 심정으로 말이다.

그러다가 운명의 짝을 만날 수도 있지 않을까. 결혼은 선택이지만 연애는 필수라는 노래도 있지 않은가.

다만 세상의 모든 연애주의자들이여 이 책을 먼저 꼭 읽어볼지어다. 살짝 콩깍지가 벗겨지는 경우는 있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