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킬레우스의 노래
매들린 밀러 지음, 이은선 옮김 / 이봄 / 2020년 6월
평점 :

그리스 로마 신화를 한 번이라도 읽은 사람이면 아킬레우스를 모를 수가 없다
트로이전쟁의 영웅~
인간 남자와 여신 사이에서 태어나 어머니인 바다의 님프 테티스가 아기 때부터 온몸을 스틱스강에 담가 온몸이 창이나 화살을 막을 수 있지만 단 한군데 어머니가 그를 잡고 있던 발뒤꿈치만이 강물이 묻지 않아서 약점이 되었다
그리스 최강의 전사인 그는 나중에 자신과 비교해서 전사로서의 재능이라고는 전혀 없는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가 쏜 화살에 발뒤꿈치를 맞고 죽게된다
어머니 테티스가 아버지보다 강한 아들을 낳게 된다는 신탁을 받고 이에 겁을 먹은 신들, 특히 바람둥이로 유명한 제우스는 자신 역시 아버지를 누르고 최고의 신이 되었기에 아름다운 테티스를 신이 아닌 평범한 인간과 결합시키기로 한다
신화에서는 그래도 괘 아름다운 부부로 등장한 거 같은 아킬레우스의 부모는 이 소설에서는 신들이 테티스를 인간에게 강제로 맡기는 식으로 나온다
생각해보면 아무리 님프라도 여신인데 평범한 인간 그것도 작은 나라의 왕인 펠레우스와 결혼한다는 것이 내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니 오히여 소설의 이야기가 더 공감이 간다
무엇보다 이 소설의 화자는 아킬레우스가 아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도 단지 아킬레우스의 친구로 등장해서 나중에 그가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고 나가 싸우다가 헥토르의 손에 죽임을 당하는 것이 계기가 되어 그리스군의 대장이었던 아가멤돈과의 불화로 전장을 떠났던 아킬레우스를 다시 돌아오게하는 계기가 되고 결국 아킬레우스를 죽음으로 이끄는, 신화를 읽는 내내 아킬레우스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이들로부터 '저런 멍청이~" 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파트로클레스이다
이 소설에서는 파트로클레스는 아킬레우스의 친구이자 동성애 연인으로 등장한다
소설의 곳곳에서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테티스는 그가 아킬레우스의 곁에 있는 것을 못마땅해하고 둘을 떼어놓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쓴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파트로클레스는 아킬레우스를 찾아 나서고 둘은 짧은 헤어짐을 극복하고 다시 만난다
아킬레우스의 옆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는 자신의 태생과 신분으로는 도저히 누릴 수 없었을 많은 것들을 누린다
아킬레우스의 친구라는 이유만으로 아킬레우스의 궁전에서는 특별한 대접을 받았으며, 아킬레우스를 위해 그의 어머니가 특별하게 부탁한 스승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함께 가르침을 받는다
반인반마의 이 켄타우로스 케이론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들을 거의 대부분이 그의 제자였을정도로 최고의 스승이다
파트로클레스가 원래대로 왕자의 신분이었다고해도 그에게 교육을 그것도 아킬레우스와 함께 받을 수 있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헬레네가 납치되고 트로이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 테티스는 아킬레우스는 여자로 변장시켜 어느 왕의 궁전에 맡긴다
하지만 이 계획 역시 아킬레우스를 찾아간 파트로클레스로 인해 오디세우스에게 간파당한다
아킬레우스는 아니지만 어린 시절 파크로클레스는 헬레네의 구혼자로 나선적까지 있어서 맹세를 지켜야한다
어머니에게 자신이 그 전쟁에서 돌아오지 못하고 요절한 운명임을 듣지만 그는 아버지의 대를 이어 작은 나라의 왕으로 오래 사는 것보다 영웅으로 짧은 생을 선택하고 전쟁에 나가기로 한다
아직 자신 때문에, 자신이 먼저 죽음으로써 그 복수를 나선 아킬레우스가 죽는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파트로클레스는 아킬레우스와 함께 죽을 것을 결심한다
여기까지는 대부분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은 사람이라면 대충은 아는 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소설은 트로이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10년간 그리스군 특히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레스가 어떤 트로이에서 어떻게 지내며 또 10대의 소년이었던 그들이 어떤 어른이 되는지 보여준다
아킬레우스가 자신의 명예에 맞춰 그리스의 최고의 전사가 되지만 그의 부족한 정치적 수완은 삼국지의 여포가 생각나기도 한다
자신과 자신에게 중요한 몇몇 사람외엔 전혀 인식하지도, 관심도 없는 뛰어난 전사이지만 거만하기 그지없는 반인반신의 전쟁영웅~
그에 비해 파트로클레스는 자신에게 전사로서의 자질은 없지만 케이론의 수업에서 배운 의술로 지금으로 말하면 군의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그리스군 모두에게 사랑받는 인물이 된다
10년이 지나 드디어 그 둘의 죽음에 관련된 사건이 시작되고 파트로클레스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과 아킬레우스를 죽음으로 몰라갈 일을 하게된다
지난 10년간 전쟁의 전리품으로 끌려온 여자들을 구해주고자 했던 그의 따뜻한 마음이 사실은 자신들의 죽음으로 몰고 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했던 거 같다
드디어 아가멤돈과 아킬레우스의 자존심 싸움이 시작되고 자신의 전리품을 빼앗긴 아킬레우스는 전투에 나서지 않게 된다
지난날 자신이 의술로 살려준 많은 그리스군이 죽거나 다치는 모습을 보며 파트로클레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다시 전투에 나서줄 것을 부탁하지만 자신의 목숨과도 바꾼 명예를 짓밣혔다고 생각하는 아킬레우스는 그의 부탁을 거절한다
아킬레우스가 없는 그리스군은 트로이군과 헥토르 앞에서 처참한 패배를 거듭하게 되고 급기야 그리스군이 만든 방어벽마저 뚫는다
아가멤돈에 아킬레우스의 계획을 알지만 파트로클레스는 이제 그리스군들에게 아킬레우스 미움을 받고있는 아킬레우스와 자신이 치료해주고 좋아했던 그리스군 동지들을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빌려입고 전쟁터에 나선다
그는 아킬레우스처럼 하루하루 죽어가는 그리스군을 외면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후의 이야기는 이제 누구라도 알 것이다
파트로클레스의 죽음은 아킬레우스를 전장으로 돌아오게 하는 계기가 되고, 헥토르가 죽으면 자신도 죽는다는 것을 알지만 복수를 한다
파리스가 쏜 화살이 발뒤꿈치가 아닌 그의 심장을 맞아서 죽게 된다는 부분은 조금 의외였지만 이 책의 해설을 보니 발뒤꿈치에 대한 이야기는 호메로스가 아닌 한참 뒤에 나온 이야기라고 한다
이미 죽은 파트로클레스는 여전히 이 책의 화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그리스신화에서는 그저 아킬레우스의 옆에 있던 사람정도로만 인식됐던 파트로클레스가 이 소설 속에서는 한 사람의 인간으로 자신의 이름을 밝히고 있는 듯하다
죽어서도 아킬레우스의 곁에 있고 싶다는 아킬레우스와 그의 소망을 들어주는 않는 아킬레우스의 아들 피로스로 인해 그는 무덥에 자신의 이름조차도 없이 버려지지만 역시나 자신의 아들을 위해 테티스가 그와 아킬레우스의 무덤에 그의 이름을 새겨줌으로써 그를 아킬레우스가 있는 저승으로 보내준다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의문이기도 한 부분은 나 역시도 어린 시절 그리스 신화를 읽을 때 조금은 의아했었다
아킬레우스라는 영웅이 전 그리스인이 다 죽어나가도 모른 척하더니 왜 파트로클레스라는 한 인물의 죽음에 그토록 절망하며 아가멤돈과 지신의 편들지 않았다고 미워하던 그리스군을 위해 다시 전장에 나섰는지, 이 소설에서는 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으면 자신이 죽는다는 예언을 알고 있음에도 복수를 한다
소설 속의 파트로클레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부족한 여러가지 인간적인 감정을 지니고 그를 보필하며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고 있는 사람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작가는 파트로클레스라는 인물에게 그저 아킬레우스의 친구라는 이름이 아닌 "파트로클레스"라는 이름을 돌려준 것인지도 모르겠다.
* 이 리뷰는 예스24 리뷰어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