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상록 수업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공부와 그의 시대
피에르 아도 지음, 이세진 옮김 / 복복서가 / 2023년 11월
평점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스토아 철학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지니고 있으며, 2000년 가까운 세월을 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고전이다. 하지만 사실 '명상록'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을 성찰하기 위해 쓴 일종의 자경문으로, 즉 스스로를 더욱 성장시키기 위해 썼기 때문에 앞뒤 맥락을 모르는 현재의 독자들에게는 이해가 쉽지 않다.
저자인 피에르 아도는 이런 현대 독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명상록'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 책을 통해 잘 설명했다. 이 책의 저술 배경에는 피에르 아도가 명상록을 강의한 내용이 바탕이 되기 때문에, 그의 설명을 읽다보면 어렵게만 생각했던 스토아 철학이 어떤 것인지 감을 잡을 수 있다.
내가 느끼는 스토아 철학은 어찌 보면 유학과 괘를 같이 하는 것 같다. 유학 또한 통치자가 반드시 가져야 할 덕목을 윤리학에 두고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 하여 먼저 자신의 덕을 기를 것을 요구하는데, 이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명상록'을 쓰게 된 동기와 같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훌륭한 통치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는 것이다.
다만 내가 이 책을 보며 느낀 것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사람의 악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한게 아닌 듯 싶다. 그의 철학은 대단히 귀족적이며, 기본적으로 인간을 고귀하게 본다. 아마도 그는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아들 콤모두스의 본성을 알지 못했고, 그리하여 그의 계승은 로마에 엄청난 재앙을 가져다 온 계기가 되었다.
아니, 나로서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훌륭한 철학자이자 통치자였는지는 모르겠지만, 훌륭한 부모는 아니었지 싶다. 기본적으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자식들에게 부정의 따사로움을 주었을지 의문이다. 내가 느낀 그의 철학은 너무 이성적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훌륭한 철학자이자 인격자로 존경하지만, 통치자로서는 그다지 훌륭한 점수를 주지는 못할 듯 싶다. 인간에게는 선함 뿐만 아니라 악함도 있고, 이번 대한민국의 내란 사태를 통해 주권자 또는 주권자인 국민은 그 점을 분명히 직시해야 함을 깨달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