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으로의 긴 여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희곡을 읽을 때, 분명 원문이 아니라 번역문임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온몸으로 고통을 느끼며 썼다는 느낌이 왔다. 그리고 이 희곡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었을 때, 나의 느낌이 틀리지 않았음을 알았다. 이 희곡은 그야말로 저자 유진 오닐이 눈물로 쓴, 자신의 자전적인 글이며, 사후에 발표된 것이다.

이 극에서는 한 가족이 나온다. 한 때 촉망을 받았으나 결국 돈을 쫓다 진실된 배우로 올라서지 못하고, 결국 돈에만 매달리는 아버지, 배우인 아버지를 따라 다니며 정해진 거처가 없이 외롭게 지내다가 인색한 남편 때문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마약에 중독된 어머니, 제대로 된 인생을 살지 못하고 알코올 중독에 빠진 형, 그리고 외국으로 떠돌다가 중병에 걸려 돌아온 둘째 아들. 이 가족은 저자 유진 오닐의 원가족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들의 집 주변에는 짙은 안개가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고, 이들의 인생은 너무나 고통스러우며, 가족들 각각은 서로의 상처를 회피한다.

나는 이 희곡을 읽으면서, 유진 오닐은 자신의 가족들을 이해하기 위해 이 글을 쓴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작가는 등장인물의 심리를 깊이 이해해야 하기에, 유진 오닐은 가족들 각각의 고통에 그야말로 뼛속깊이 고통스러웠고, 결국 용서와 연민으로까지 이르른다. 그 덕분에 이런 걸작이 탄생했으리라.

어쩌면 이 희곡은 유진 오닐 개인의 내밀한 이야기일지라도, 각각의 캐릭터는 인간 본연의 모습을 그려낸다. 그래서 이 희곡은 지금도 그 가치를 잃지 않는다. 그야말로 대단한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3
밀란 쿤데라 지음, 김병욱 옮김 / 민음사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밀란 쿤데라의 작품을 많이 읽은 것은 아니지만 밀란 쿤데라는 소설 제목에 자신이 쓰고자 하는 주제를 적는 듯 싶다. 즉 이번 소설 '불멸'은 정말 '불멸'을 향해서 정면으로 직진한다.

이 소설은 특이하게 소설가가 자신의 소설 속 인물을 수영장에서 만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렇게 작품 속 인물과 소설가가 만남으로서 시작하는 소설은 괴테와 괴테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름을 불멸로 남기고 싶은 베티나의 이야기와 소설가의 인물 아녜스 주위의 인물이 교차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또한 불멸로 남기고 싶은 모습은 타인의 시선에 비춰진 모습, 즉 타인의 시선이 자신의 자아를 결정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즉 불멸을 향한 인간의 헛된 욕망과 그로 인해 깊어지는 인간의 고독에 대해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나 '농담'처럼 이 소설도 쉽게 읽혀지지는 않는 소설이다. 특히나 이 소설에서는 작가의 철학과 문학론이 더욱 깊이있게 다루어진다. 하지만 밀란 쿤데라를 좋아한다면 거를 수 없는 소설. 역시 거장은 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